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예술계열 대학생들의 NCS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산업체와 학생의 인식차이 연구: 실용음악학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he Industry and Art-related University Students on NCS Professional Basic Ability -Focused on the Department of Practical Mus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329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difference on the ten areas of NCS professional basic ability between art-related university students and art-related industry and to provide the implications of university education to improve the employment competency of the art-related university students, by analyzing and comparing importance perception of art-related university students on the ten areas of NCS professional basic ability, and importance–performance perception of art-related industry. The conclusion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areas that have shown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ortance percep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and industry on the ten areas of professional basic ability were Technical Ability, Mathematical Ability, and Organization Understanding Ability in order.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is needful for the university students to perceive the importance more in the areas of Technical Ability, Mathematical Ability, and Organization Understanding Ability when they prepare ten professional basic abilities to reinforce their employment competency, and that the universities should have this in mind when they operate and proceed educational programs for professional basic ability to improve the employment competency of the art-related university students. Secondly, as a result of IPA, it was shown that B area (which has high importance and high performance in self-development ability, Interpersonal skills, technical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needs to keep up the good work. It was revealed that A area(Concentrate here) has high importance with communication skills and organization understanding, but low performance, meaning it needs to be improved. It was revealed that C area(Low Priority) has both low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in information ability, resource management ability, and mathematical ability. Finally, it was revealed that D area(Possible Overkill) has low importance in vocational ethics ability but relatively high performance.
      번역하기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difference on the ten areas of NCS professional basic ability between art-related university students and art-related industry and to provide the implications of university education to improv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difference on the ten areas of NCS professional basic ability between art-related university students and art-related industry and to provide the implications of university education to improve the employment competency of the art-related university students, by analyzing and comparing importance perception of art-related university students on the ten areas of NCS professional basic ability, and importance–performance perception of art-related industry. The conclusion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areas that have shown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ortance percep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and industry on the ten areas of professional basic ability were Technical Ability, Mathematical Ability, and Organization Understanding Ability in order.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is needful for the university students to perceive the importance more in the areas of Technical Ability, Mathematical Ability, and Organization Understanding Ability when they prepare ten professional basic abilities to reinforce their employment competency, and that the universities should have this in mind when they operate and proceed educational programs for professional basic ability to improve the employment competency of the art-related university students. Secondly, as a result of IPA, it was shown that B area (which has high importance and high performance in self-development ability, Interpersonal skills, technical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needs to keep up the good work. It was revealed that A area(Concentrate here) has high importance with communication skills and organization understanding, but low performance, meaning it needs to be improved. It was revealed that C area(Low Priority) has both low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in information ability, resource management ability, and mathematical ability. Finally, it was revealed that D area(Possible Overkill) has low importance in vocational ethics ability but relatively high perform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NCS 직업기초능력 10개 영역에 대한 예술계열 대학생들의 중요도 인식과 예술계열 산업체의 중요도-실행도 인식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예술계열 대학생들과 예술계열 산업체의 10개 영역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 예술계열 대학생들의 취업능력 향상을 위한 대학교육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기초능력 10개 영역에 대한 대학생과 산업체의 중요도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영역은 기술능력, 수리능력, 조직이해능력 순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예술계열 대학생들이 취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직업기초능력 10가지를 갖추어야 할 때 기술능력, 수리능력, 조직이해능력 영역에 있어서 중요성을 좀 더 인식할 필요성이 있으며, 대학은 예술계열 학생들의 취업능력 향상을 위한 직업기초능력 교육프로그램 운영 시 이를 염두에 두어 진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IPA의 결과, 유지영역의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기술능력, 문제해결능력은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높은 영역으로 지속적으로 유지가 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집중영역의 의사소통능력, 조직이해능력은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은 속성으로 개선이 필요한 능력임을 의미하고 있다. 저 순위 영역의 정보능력, 자원관리능력, 수리능력은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은 역량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과잉영역의 직업윤리능력은 중요도가 낮으나 실행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파악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NCS 직업기초능력 10개 영역에 대한 예술계열 대학생들의 중요도 인식과 예술계열 산업체의 중요도-실행도 인식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예술계열 대학생들과 예술계열 산업...

      본 연구의 목적은 NCS 직업기초능력 10개 영역에 대한 예술계열 대학생들의 중요도 인식과 예술계열 산업체의 중요도-실행도 인식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예술계열 대학생들과 예술계열 산업체의 10개 영역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 예술계열 대학생들의 취업능력 향상을 위한 대학교육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기초능력 10개 영역에 대한 대학생과 산업체의 중요도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영역은 기술능력, 수리능력, 조직이해능력 순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예술계열 대학생들이 취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직업기초능력 10가지를 갖추어야 할 때 기술능력, 수리능력, 조직이해능력 영역에 있어서 중요성을 좀 더 인식할 필요성이 있으며, 대학은 예술계열 학생들의 취업능력 향상을 위한 직업기초능력 교육프로그램 운영 시 이를 염두에 두어 진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IPA의 결과, 유지영역의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기술능력, 문제해결능력은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높은 영역으로 지속적으로 유지가 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집중영역의 의사소통능력, 조직이해능력은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은 속성으로 개선이 필요한 능력임을 의미하고 있다. 저 순위 영역의 정보능력, 자원관리능력, 수리능력은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은 역량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과잉영역의 직업윤리능력은 중요도가 낮으나 실행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파악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제경, "한국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과 발달적 특성"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107-123, 2004

      2 이장희,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기업과 교사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회계학회 (19) : 203-218, 2007

      3 임경희,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개발과 진로설계" 학지사 2015

      4 정기섭, "직업기초능력 제고를 통한 대학생 취업능력 향상 방안" 15 (15): 109-139, 2008

      5 이상명,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통한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기술교육학회 13 (13): 1-20, 2013

      6 김수현, "전문대학 졸업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산업체 교육 요구도 분석" 2014 (2014): 630-633, 2014

      7 김유경, "일부 농어촌지역 예체능전공 대학생들의 교수지지가 진로정체감과 취업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서(섬)학회 29 (29): 47-65, 2017

      8 김은영, "여자대학 인문 사회 예술계열 대학생의 취업 의식 및 교양교육 연구 ― C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565-596, 2017

      9 임천순, "대학졸업생의 직업세계로의 이행과 취업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10 이은화, "대학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51-67, 2011

      1 이제경, "한국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과 발달적 특성"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107-123, 2004

      2 이장희,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기업과 교사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회계학회 (19) : 203-218, 2007

      3 임경희,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개발과 진로설계" 학지사 2015

      4 정기섭, "직업기초능력 제고를 통한 대학생 취업능력 향상 방안" 15 (15): 109-139, 2008

      5 이상명,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통한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기술교육학회 13 (13): 1-20, 2013

      6 김수현, "전문대학 졸업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산업체 교육 요구도 분석" 2014 (2014): 630-633, 2014

      7 김유경, "일부 농어촌지역 예체능전공 대학생들의 교수지지가 진로정체감과 취업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서(섬)학회 29 (29): 47-65, 2017

      8 김은영, "여자대학 인문 사회 예술계열 대학생의 취업 의식 및 교양교육 연구 ― C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565-596, 2017

      9 임천순, "대학졸업생의 직업세계로의 이행과 취업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10 이은화, "대학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51-67, 2011

      11 오세곤, "대학 취업률 조사를 위한 개인창작활동 인정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예술연구소 (12) : 25-39, 2015

      12 김진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직업교육훈련 과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Exploratory Research)" (사)한국직업자격학회 7 (7): 237-265, 2018

      13 Oh., "Revisit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22 (22): 617-627, 2001

      14 허영주, "NCS 직업기초능력의 교양교육과정 도입 전략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425-462, 2016

      15 이진욱, "NCS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4년제 대학생들의 요구: IPA를 통한 사례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75-96, 2016

      16 양영근, "NCS 직업기초능력과 산업체 교양교육 수요를 반영한 교양교육과정 개편 연구 - D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35-65, 2015

      17 Martilla, J. 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41 (41): 77-79, 1977

      18 이흥연, "IPA를 활용한 의료기관 선택속성의 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원 8 (8): 31-45, 2014

      19 공기열, "IPA기법을 이용한 여가활동 평가" 대한관광경영학회 20 (20): 285-303, 2006

      20 이영민, "4년제 대학 예체능계열 졸업생의 취업준비행동과 취업성과 결정요인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52 (52): 1-28,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5 1.25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7 0 1.563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