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부녀지간인 허헌과 허정숙의 미국 여행기를 대상으로 하여 여행기에 담긴 대상 세계에 대한 여행 주체의 태도와 그 서술 방식에 대해 살펴본다. 허헌과 허정숙의 여행기에서 가장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29102
2013
Korean
허헌 ; 허정숙 ; 미국 여행기 ; 자본주의 ; 여행 주체 ; Hur Heon ; Hur Jung Sook ; USA Travel Journal ; Capitalism ; Travel Subject
KCI등재
학술저널
33-57(25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부녀지간인 허헌과 허정숙의 미국 여행기를 대상으로 하여 여행기에 담긴 대상 세계에 대한 여행 주체의 태도와 그 서술 방식에 대해 살펴본다. 허헌과 허정숙의 여행기에서 가장 ...
이 글은 부녀지간인 허헌과 허정숙의 미국 여행기를 대상으로 하여 여행기에 담긴 대상 세계에 대한 여행 주체의 태도와 그 서술 방식에 대해 살펴본다. 허헌과 허정숙의 여행기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은 여성의 문제, 기계공업으로 대표되는 자본의 문제, 그곳에서 생활하고 있는 조선 동포들의 문제이다. 허헌의 여행기에서는 대상 세계에 압도당한 여행 주체의 대상에 대한 감탄과 경이가 주를 이룬다. 허정숙의 여행기에서는 대상 세계에 대한 비판적 거리가 유지되며, 여행 주체의 삶의 자세가 재정비된다. 허헌의 여행기가 해석을 최소화하고 묘사와 나열의 서술방식을 보여준다면 허정숙의 여행기는 해석 및 가치판단을 극대화하여 초점화의 서술방식을 보여준다.
대상 세계를 바라보는 이러한 시각의 차이는 제국주의 내면화의 문제, 사회주의 사상의 문제, 성(젠더)의 문제 등에서 기인한다고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riting compares travel journals of Hur Heon and Hur Jung Sook who visited the United States together during the same period and recorded the experience of travel. Then, the writing tries to find reason for difference of descriptive perspective i...
This writing compares travel journals of Hur Heon and Hur Jung Sook who visited the United States together during the same period and recorded the experience of travel. Then, the writing tries to find reason for difference of descriptive perspective in their travel journals, since they viewed same object differently during the travel.
Travel journals of Hur Heon and Hur Jung Sook mainly talk about women’s problem, problem of capital which is represented as machine industry, and problem of overseas Koreans who live in the United States. In Hur Heon’s travel journal, Hur Heon is overwhelmed by the world of object. His travel journey is mainly consisted of admiration and wonder about object. On the other hand, in Hur Jung Sook’s travel journal, she applies critical viewpoint when she looks at the world of object, and reorganizes her own attitude of her life through the world of object. While Hur Heon’s travel journal minimizes interpretation and uses narrative style which describes and lists. Hur Jung
Sook’s travel journal maximizes interpretation and judgment of value, and uses narrative style which focuses.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which views the world of object comes from availability of internalization in gender problem, generation problem, problem of belief in socialism, and problem of imperialis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윤식, "한국근대문학사상비판" 일지사 1978
2 김효주, "한국 근대 여행소설 연구" 역락 2013
3 유엽, "입센의 생활과 사상"
4 김한규, "입센-팔대문호약전"
5 허정숙, "울 줄 아는 人形의 女子國, 北米印象記" 10 : 1927
6 박지향, "여행기에 나타난 식민주의 담론의 남성성과 여성성" 영국사학회 4 : 2000
7 "신한민보"
8 "신천지"
9 차혜영, "식민지시대 미국 유학생의 장소표상과 주체 구성 ―고학 체험기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39) : 25-50, 2009
10 김경일, "식민지 시기 신여성의 미국 체험과 문화 수용"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1 : 2006
1 김윤식, "한국근대문학사상비판" 일지사 1978
2 김효주, "한국 근대 여행소설 연구" 역락 2013
3 유엽, "입센의 생활과 사상"
4 김한규, "입센-팔대문호약전"
5 허정숙, "울 줄 아는 人形의 女子國, 北米印象記" 10 : 1927
6 박지향, "여행기에 나타난 식민주의 담론의 남성성과 여성성" 영국사학회 4 : 2000
7 "신한민보"
8 "신천지"
9 차혜영, "식민지시대 미국 유학생의 장소표상과 주체 구성 ―고학 체험기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39) : 25-50, 2009
10 김경일, "식민지 시기 신여성의 미국 체험과 문화 수용"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1 : 2006
11 우미영, "서양 체험을 통한 신여성의 자기 구성 방식 ― 나혜석·박인덕·허정숙의 서양 여행기를 중심으로 ―" 한국여성문학학회 (12) : 131-160, 2004
12 "별건곤"
13 "동아일보"
14 허근욱, "나의 아버지 허헌과 언니 허정숙" 역사문제연구소 26 : 1994
15 김경남, "근대적 기행 담론 형성과 기행문 연구" 한국민족문화연구소 (47) : 93-117, 2013
16 현철, "근대문예의 입센" 7 : 1921
17 "개벽"
18 허헌, "東西 十二諸國을 보고와서" 7 : 1927
19 허헌, "世界一週紀行(第三信), 復活하는 愛蘭과 英吉利의 姿態" 3 : 1929
20 허헌, "世界一週紀行(第一信), 太平洋의 怒濤 차고 黃金의 나라 美國으로! 布哇에 잠감 들러 兄弟부터 보고" 1 : 1929
21 김효주, "1920년대 여행기의 존재 양상"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8) : 317-354, 2011
식민자와 조선 - 일제시기 大池忠助의 지역성과 ‘식민자’로서의 위상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4-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ology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5-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1 | 0.91 | 0.8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3 | 0.83 | 1.368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