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에 연담한 신도시 개발에 따른 하남시 도시공간의 재구조화 = The Urban Spatial Restructuring of Hanam-si According to the New-town Development Adjacent to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384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sed the restructuring of urban space of Hanam-si, where two new towns were developed.
      Hanam developed rapidly in the course of residential suburbanization conduc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grew rapidly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Misa Gangbyeon town and Wirye new town. However, as the concentration in the new town intensified, the old town stagnated, and uneven urban space was formed due to the discriminatory locations of population and economic activities. Due to the discriminatory growth and physical disconnection of urban space, old town and new towns became heterogeneous spaces. The Wirye new town, located in a physically disconnected area from the old town, formed a strong Seoul-oriented living area, but the Misa Gangbyeon town, which borders Hanam's old town and Seoul, had a weaker dependency on Seoul. After the development of new town, the urban space of Hanam was restructured into two new towns and one old town, each functioning as a separate center. The Wirye new town became functionally separated from the old town of Hanam, but the Misa Gangbyeon is likely to strengthen its linkage with the old town of Hanam.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sed the restructuring of urban space of Hanam-si, where two new towns were developed. Hanam developed rapidly in the course of residential suburbanization conduc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grew rapidly after the developmen...

      This study analysed the restructuring of urban space of Hanam-si, where two new towns were developed.
      Hanam developed rapidly in the course of residential suburbanization conduc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grew rapidly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Misa Gangbyeon town and Wirye new town. However, as the concentration in the new town intensified, the old town stagnated, and uneven urban space was formed due to the discriminatory locations of population and economic activities. Due to the discriminatory growth and physical disconnection of urban space, old town and new towns became heterogeneous spaces. The Wirye new town, located in a physically disconnected area from the old town, formed a strong Seoul-oriented living area, but the Misa Gangbyeon town, which borders Hanam's old town and Seoul, had a weaker dependency on Seoul. After the development of new town, the urban space of Hanam was restructured into two new towns and one old town, each functioning as a separate center. The Wirye new town became functionally separated from the old town of Hanam, but the Misa Gangbyeon is likely to strengthen its linkage with the old town of Hana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두 개의 신도시가 서울에 연담해 개발된 하남시를 대상으로 신도시 입주 이후의 도시공간 변화를분석했다. 하남은 서울대도시권에서 진행된 탈서울 과정에서 도시화가 진전되었고, 미사강변도시와 위례신도시가개발된 이후 빠르게 성장했다. 그러나 하남에서는 신도시 개발 이후 기성시가지가 정체되고 신도시로의 집중이 심화하면서, 인구 및 경제활동의 차별적 입지에 따른 불균형한 도시공간이 형성되었다. 차별적 시가지 발달과 분리된도시공간은 하남의 기성시가지와 신시가지를 이질적 공간으로 변모시켰다. 기성시가지와 물리적으로 단절된 곳에자리한 위례신도시는 서울지향성이 매우 강한 생활권을 형성했지만, 하남의 기성시가지 및 서울의 시가화구역과 접해 있는 미사강변도시는 서울지향성이 위례신도시에 비해 약했다. 하남의 도시공간은 신도시 입주 이후 두 개의 신도시와 한 개의 기성시가지가 각기 별도의 핵으로 기능하는 양상으로 바뀌었다. 위례신도시는 하남의 기성시가지와기능적 단절 현상이 뚜렷해졌지만, 미사강변도시는 하남의 기성시가지와 연계를 강화시킬 가능성이 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두 개의 신도시가 서울에 연담해 개발된 하남시를 대상으로 신도시 입주 이후의 도시공간 변화를분석했다. 하남은 서울대도시권에서 진행된 탈서울 과정에서 도시화가 진전되었...

      본 연구는 두 개의 신도시가 서울에 연담해 개발된 하남시를 대상으로 신도시 입주 이후의 도시공간 변화를분석했다. 하남은 서울대도시권에서 진행된 탈서울 과정에서 도시화가 진전되었고, 미사강변도시와 위례신도시가개발된 이후 빠르게 성장했다. 그러나 하남에서는 신도시 개발 이후 기성시가지가 정체되고 신도시로의 집중이 심화하면서, 인구 및 경제활동의 차별적 입지에 따른 불균형한 도시공간이 형성되었다. 차별적 시가지 발달과 분리된도시공간은 하남의 기성시가지와 신시가지를 이질적 공간으로 변모시켰다. 기성시가지와 물리적으로 단절된 곳에자리한 위례신도시는 서울지향성이 매우 강한 생활권을 형성했지만, 하남의 기성시가지 및 서울의 시가화구역과 접해 있는 미사강변도시는 서울지향성이 위례신도시에 비해 약했다. 하남의 도시공간은 신도시 입주 이후 두 개의 신도시와 한 개의 기성시가지가 각기 별도의 핵으로 기능하는 양상으로 바뀌었다. 위례신도시는 하남의 기성시가지와기능적 단절 현상이 뚜렷해졌지만, 미사강변도시는 하남의 기성시가지와 연계를 강화시킬 가능성이 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영우, "한국의 도시와 국토" 법문사 2019

      2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의 도시" 법문사 1999

      3 하남시, "하남통계연보"

      4 하남시사편찬위원회, "하남시사5–산업과 도시건설" 승일미디어 2017

      5 김태경, "하남시 도시경쟁력 강화 전략연구" 경기연구원 2018

      6 하남시, "청정하남 2월호" 성우애드컴 2020

      7 조일환, "지역 이미지, 리얼리티 그리고 지역정체성의 혼란-화성 동탄 신도시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697-711, 2013

      8 손승호, "자족형 신도시 건설에 따른 화성시의 공간 재구조화: 공간상호작용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21 (21): 29-43, 2018

      9 김경아,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구시가지 변화에 관한 연구: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경제학회 15 (15): 53-74, 2017

      10 윤택림, "신도시의 지역성을 찾아서: 동탄 신도시 사례 연구" 한국구술사학회 8 (8): 11-57, 2017

      1 남영우, "한국의 도시와 국토" 법문사 2019

      2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의 도시" 법문사 1999

      3 하남시, "하남통계연보"

      4 하남시사편찬위원회, "하남시사5–산업과 도시건설" 승일미디어 2017

      5 김태경, "하남시 도시경쟁력 강화 전략연구" 경기연구원 2018

      6 하남시, "청정하남 2월호" 성우애드컴 2020

      7 조일환, "지역 이미지, 리얼리티 그리고 지역정체성의 혼란-화성 동탄 신도시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697-711, 2013

      8 손승호, "자족형 신도시 건설에 따른 화성시의 공간 재구조화: 공간상호작용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21 (21): 29-43, 2018

      9 김경아,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구시가지 변화에 관한 연구: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경제학회 15 (15): 53-74, 2017

      10 윤택림, "신도시의 지역성을 찾아서: 동탄 신도시 사례 연구" 한국구술사학회 8 (8): 11-57, 2017

      11 김유훈, "신도시 특성과 거주경험에 따른 신도시 이주자들의 주거이동 성향" 한국도시지리학회 19 (19): 211-229, 2016

      12 손재선, "신도시 통근ㆍ통학목적별 지역연결체계의 변화와 특징: 고양시와 성남시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8 (8): 119-130, 2005

      13 김진균, "신도시 개발에 의한 도시공간의 구조적 이분화에 대한 연구 - 안양시와 평촌신도시를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 18 (18): 69-76, 2002

      14 손승호, "신도시 개발에 따른 화성시의 사회·경제적 공간재구조화" 대한지리학회 53 (53): 847-862, 2018

      15 이윤호, "신도시 개발로 인한 성남시의 차별적 생성과 변화" 3 (3): 1-19, 2000

      16 전명진, "수도권 신도시 주민의 통근통행 특성분석" 12 (12): 157-172, 2000

      17 이수기, "수도권 1기 신도시 통근통행특성과 공간구조의 변화(1996~2010): 자족성과 중심성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0 (50): 5-23, 2015

      18 박소현, "수도권 1기 신도시 지역산업의 성장과 고용효과의 변화 분석: 고양시와 성남시를 대상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 20 (20): 34-48, 2017

      19 현재열, "비교적 전망에서 본 식민지도시의 역사적 전개와 공간적 특징" 석당학술원 (50) : 655-690, 2011

      20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21 김준용, "복합쇠퇴지수를 활용한 지방도시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21 (21): 83-100, 2009

      22 강상준, "도시의 시가화지역 확장과 파편화 변화분석 -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7 (17): 5-16, 2016

      23 황희연, "도시의 공간 확장과 프랙탈 현상에 대한 도시간 비교분석 - 서울, 성남, 부천, 안양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115-133, 2011

      24 "국가통계포털"

      25 "국가교통DB"

      26 엄현태, "교외지역 신시가지 개발이 중심도시의 구시가지 쇠퇴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 (49): 51-66, 2014

      27 권용우, "교외지역" 아카넷 2001

      28 김종구, "공공청사 이전에 따른 활성화 방안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29 (29): 275-286, 2009

      29 권대환, "공공기관 이전이 도심쇠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북도청 이전 전·후의 변화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8 (8): 73-88, 2007

      30 Noon, D., "Urban regeneration: a handbook" Sage 61-85, 2005

      31 Sheng, N., "Urban morphology and urban fragmentation in Macau, China : island city development in the Pearl River Delta megacity region" 12 (12): 199-212, 2017

      32 Ewing, R., "Travel and built environment : a meta-analysis" 76 (76): 1-31, 2010

      33 Datta, S., "The agglomeration-differentiation tradeoff in spatial location choice, manuscript" Yale School of Management 2011

      34 Schumacher, U., "Comparison of urban fragmentation in European cities : spatial analysis based on open geodata" 26 (26): 32-48, 2019

      35 Talen, E., "City rules : how regulations affect urban form" Island Press 2012

      36 D’Aprile, M., "Acity divided: fragmented urban space in 20th century BuenosAires" University of TennesseeHonors 2015

      37 하남시, "2020년 하남도시기본계획(재수립)" 2014

      38 통계청, "2018년 국내인구이동통계연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7 1.01 1.261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