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남영우, "한국의 도시와 국토" 법문사 2019
2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의 도시" 법문사 1999
3 하남시, "하남통계연보"
4 하남시사편찬위원회, "하남시사5–산업과 도시건설" 승일미디어 2017
5 김태경, "하남시 도시경쟁력 강화 전략연구" 경기연구원 2018
6 하남시, "청정하남 2월호" 성우애드컴 2020
7 조일환, "지역 이미지, 리얼리티 그리고 지역정체성의 혼란-화성 동탄 신도시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697-711, 2013
8 손승호, "자족형 신도시 건설에 따른 화성시의 공간 재구조화: 공간상호작용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21 (21): 29-43, 2018
9 김경아,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구시가지 변화에 관한 연구: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경제학회 15 (15): 53-74, 2017
10 윤택림, "신도시의 지역성을 찾아서: 동탄 신도시 사례 연구" 한국구술사학회 8 (8): 11-57, 2017
1 남영우, "한국의 도시와 국토" 법문사 2019
2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의 도시" 법문사 1999
3 하남시, "하남통계연보"
4 하남시사편찬위원회, "하남시사5–산업과 도시건설" 승일미디어 2017
5 김태경, "하남시 도시경쟁력 강화 전략연구" 경기연구원 2018
6 하남시, "청정하남 2월호" 성우애드컴 2020
7 조일환, "지역 이미지, 리얼리티 그리고 지역정체성의 혼란-화성 동탄 신도시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697-711, 2013
8 손승호, "자족형 신도시 건설에 따른 화성시의 공간 재구조화: 공간상호작용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21 (21): 29-43, 2018
9 김경아, "신시가지 개발에 따른 구시가지 변화에 관한 연구: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경제학회 15 (15): 53-74, 2017
10 윤택림, "신도시의 지역성을 찾아서: 동탄 신도시 사례 연구" 한국구술사학회 8 (8): 11-57, 2017
11 김유훈, "신도시 특성과 거주경험에 따른 신도시 이주자들의 주거이동 성향" 한국도시지리학회 19 (19): 211-229, 2016
12 손재선, "신도시 통근ㆍ통학목적별 지역연결체계의 변화와 특징: 고양시와 성남시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8 (8): 119-130, 2005
13 김진균, "신도시 개발에 의한 도시공간의 구조적 이분화에 대한 연구 - 안양시와 평촌신도시를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 18 (18): 69-76, 2002
14 손승호, "신도시 개발에 따른 화성시의 사회·경제적 공간재구조화" 대한지리학회 53 (53): 847-862, 2018
15 이윤호, "신도시 개발로 인한 성남시의 차별적 생성과 변화" 3 (3): 1-19, 2000
16 전명진, "수도권 신도시 주민의 통근통행 특성분석" 12 (12): 157-172, 2000
17 이수기, "수도권 1기 신도시 통근통행특성과 공간구조의 변화(1996~2010): 자족성과 중심성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0 (50): 5-23, 2015
18 박소현, "수도권 1기 신도시 지역산업의 성장과 고용효과의 변화 분석: 고양시와 성남시를 대상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 20 (20): 34-48, 2017
19 현재열, "비교적 전망에서 본 식민지도시의 역사적 전개와 공간적 특징" 석당학술원 (50) : 655-690, 2011
20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21 김준용, "복합쇠퇴지수를 활용한 지방도시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21 (21): 83-100, 2009
22 강상준, "도시의 시가화지역 확장과 파편화 변화분석 -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7 (17): 5-16, 2016
23 황희연, "도시의 공간 확장과 프랙탈 현상에 대한 도시간 비교분석 - 서울, 성남, 부천, 안양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115-133, 2011
24 "국가통계포털"
25 "국가교통DB"
26 엄현태, "교외지역 신시가지 개발이 중심도시의 구시가지 쇠퇴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 (49): 51-66, 2014
27 권용우, "교외지역" 아카넷 2001
28 김종구, "공공청사 이전에 따른 활성화 방안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29 (29): 275-286, 2009
29 권대환, "공공기관 이전이 도심쇠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북도청 이전 전·후의 변화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8 (8): 73-88, 2007
30 Noon, D., "Urban regeneration: a handbook" Sage 61-85, 2005
31 Sheng, N., "Urban morphology and urban fragmentation in Macau, China : island city development in the Pearl River Delta megacity region" 12 (12): 199-212, 2017
32 Ewing, R., "Travel and built environment : a meta-analysis" 76 (76): 1-31, 2010
33 Datta, S., "The agglomeration-differentiation tradeoff in spatial location choice, manuscript" Yale School of Management 2011
34 Schumacher, U., "Comparison of urban fragmentation in European cities : spatial analysis based on open geodata" 26 (26): 32-48, 2019
35 Talen, E., "City rules : how regulations affect urban form" Island Press 2012
36 D’Aprile, M., "Acity divided: fragmented urban space in 20th century BuenosAires" University of TennesseeHonors 2015
37 하남시, "2020년 하남도시기본계획(재수립)" 2014
38 통계청, "2018년 국내인구이동통계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