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경제연구 : 대졸자의 초기 노동시장 경험에 있어서 남녀차이 = Gender Difference in Early Labor Market Experience of College Gradua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887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여성과 남성의 노동시장 진입 및 노동이동 과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노동시장 진입 초기 단계에 여성과 남성의 경력형성 과...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여성과 남성의 노동시장 진입 및 노동이동 과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노동시장 진입 초기 단계에 여성과 남성의 경력형성 과정에 어떤 차이점이 존재하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노동이동이 청년대졸자의 노동성 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대졸자와 여성대졸자의 노동시장 경험에 있어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중요한 차이점을 보고하고 있다. 첫째, 여성은 남성에 비해 낮은 고용안정성을 경험하고 있으며, 둘째, 여성은 남성에 비해 낮은 임금수준을 경험하고 있다. 셋째, 여성은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취업유지율을 보이고 있다. 노동이동에 따른 고용성과의 영향에 있어서 역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첫째, 경력이동 없는 일자리 이동은 남성대졸자의 임금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여성대졸자는 이러한 경험은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에 비해 여성의 노동이동을 통해 비정규 직에서 정규직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노동이동이 여성에게 있어서는 더 좋은 일자리로 이동하는 징검다리로의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지 못함 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sing the 2009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this study examines gender difference in early job market experience among college graduate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act of labor mobility on labor market outcomes. This ...

      Using the 2009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this study examines gender difference in early job market experience among college graduate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act of labor mobility on labor market outcomes. This study reports three major differences in labor market outcomes between men and women. First, female college graduates are more likely to suffer from employment instability than males. Second, female college graduates tend to receive lower wages than male college graduates. Third, two-year job retention rate of female college graduates is lower than that of males. This study also show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labor mobility on labor market outcomes. First, job relocations tend to raise wages of male college graduates, while it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female wage. Second, females have a lower probability of moving from less stable job to more stable job than males. Overall, this study suggests that labor mobility does not play a role as a stepping stone for female college graduates to relocate themselves to more stable and better paid job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