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개인특성요인 및 조직특성요인과 성취도 및 학습전이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K기업에서 실시한 직무교육연수 이수자 265 명을 대상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75644
2013
-
370
학술저널
1-16(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개인특성요인 및 조직특성요인과 성취도 및 학습전이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K기업에서 실시한 직무교육연수 이수자 265 명을 대상으...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개인특성요인 및 조직특성요인과 성취도
및 학습전이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K기업에서 실시한 직무교육연수 이수자 265
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251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개인특성요인 중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전이동기, 조직특성요인 중 상사지
원, 동료지원이 학습전이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특성요인 및 조직특성요인 모
두 성취도는 유의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
에서 이루어지는 성취도 평가에 대한 방법이나 체계를 검토할 필요가 있고, 학습전이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난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전이동기, 상사지원, 동료지원 등은 효과
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및 설계와 더불어 조직내에서 학습전이가 보다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강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Action Learning&Smart Learning
액션러닝 수업운영 경험이 많은 교수자와 경험이 없는 교수자의 과제 선정 과정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