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프랑스 박물관 역사에서 계몽주의 전시 담론의 유산: 백과전서식 전시에서 보편사적 전시 개념으로의 전환과 확장 = L’héritage du discours de l’exposition des Lumières dans l’histoire des musées français : reconversion et élargissement d’une exposition encyclopédique à une exposition universel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394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s penseurs français des Lumières du XVIIIe siècle croyaient que la raison humaine pouvait découvrir les lois qui faisaient bouger le monde. Les Lumières avec une vision du monde volontaire et optimiste selon laquelle les connaissances généré...

      Les penseurs français des Lumières du XVIIIe siècle croyaient que la raison humaine pouvait découvrir les lois qui faisaient bouger le monde. Les Lumières avec une vision du monde volontaire et optimiste selon laquelle les connaissances générées par la pensée rationnelle humaine contribuent à changer l’histoire humaine dans une direction plus rationnelle définissent l’expansion et la diffusion des connaissances comme une tâche d’action sociale importante. À cette fin, les Lumières ont tenté d’établir un musée universel comme un espace pour expérimenter physiquement la connaissance encyclopédique et comme un lieu de connaissance universelle qui recueille et expose des reliques de tous les sujets. L’idée des Lumières au XVIIIe siècle était le fondement idéologique le plus important qui a donné naissance au concept d’un musée universel qui envisage de manière exhaustive l’histoire de la civilisation humaine dans l’histoire des musées occidentaux.
      Cependant, en raison de la subdivision et de la spécialisation des domaines de recherche académique dans la société occidentale du XIXe siècle, la forme d’exposition encyclopédique a progressivement diminué son influence muséologique et a été remplacée par le concept d’expositions spécialisées sur un sujet, une période ou un domaine spécifique dans une institution. Dans cette tendance de l’histoire de l’exposition dans les musées occidentaux, récemment, le discours de l’exposition historique universelle et le concept de musée universel font l’objet de nouvelles discussions dans le monde muséal français. En particulier, comme le concept d’histoire universelle a été appliqué à la composition du Louvre Abu Dhabi, qui a été créée à Abu Dhabi, cette discussion s’est étendue plus loin. Dans cet article, après avoir examiné l’arrière-plan historique de l’émergence des musées d’exposition de type encyclopédique à l’époque de l’établissement de la pensée des Lumières au XVIIIe siècle, l’objet de cette thèse est d'analyser le sens et les caractéristiques de l’histoire universelle techniques d’exposition nouvellement discutées récemment d’un point de vue muséologiqu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8세기 프랑스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인간의 이성을 기반으로 세상을 움직이는 법칙을 발견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졌다. 인간의 이성적 사고를 통해 생성된 지식은 인류의 역사를 보다 합리...

      18세기 프랑스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인간의 이성을 기반으로 세상을 움직이는 법칙을 발견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졌다. 인간의 이성적 사고를 통해 생성된 지식은 인류의 역사를 보다 합리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데기여한다는 의지적이며 낙관주의적 세계관을 지닌 계몽주의자들은 지식의확장과 확산을 중요한 사회적 실천 과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계몽주의자들은 백과사전적 지식을 물리적으로 체험하는 공간이자 모든 주제의 유물을 수집하여 전시하는 보편적 지식의 장의로서의 종합박물관을 설립하고자 하였다 세기 계몽주의 . 18 사상은 서구 박물관 역사에서 인류 문명사를 포괄적으로 조망하는 종합박물관 개념과 백과전서식 전시 기법을 태동시킨 가장 주요한 사상적 토대였다. 그러나 백과전서식 전시 개념은 19세기 서구 사회에서 학문 연구 분야의 세분화와 전문화에 따른 결과로서 점차 박물관학적 영향력이 감소되어 하나의 기관에서 특정 주제와 시대 혹은 영역을 특화시켜 전시하는 개념으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서구 박물관에서의 전시사적 흐름 속에서 최근 보편사적 전시 담론과 보편사적 박물관(Musée universel) 개념이 프랑스 박물관계에서 새롭게 논의되고 있다. 특히 2017년 아부다비에 설립된 루브르 아부다비 박물관의 상설 전시실 구성에 있어서 보편사적 전시 개념이 적용되면서 이 논의가 더욱 확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18세기 계몽주의 사상이 정립되던 시기 종합박물관 및백과전서식 전시 기법이 등장하게 된 사상사적 배경을 고찰한 후 최근 새롭게 논의되고 있는 보편사적 전시 기법들이 지닌 의미와 특성을 박물관학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상철, "인류에게 박물관이 왜 필요했을까?" 민속원 2013

      2 신상철, "뮤지엄 브랜드화 정책과 소장품 운영 방식의 변화: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과 루브르 아부다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박물관학회 (36) : 119-141, 2019

      3 FINDLEN Paula, "The Museum: Its classical Etymology and Renaissance Genealogy" 1 (1): 59-78, 1989

      4 Bazin Germain, "The Museum Age" Universe Books 1967

      5 McCLELLAN Andrew, "The Art Museum. From Boullée to Bilbao"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

      6 WOLFF Francis, "Plaidoyer pour l ’universel" Fayard 2019

      7 POULOT Dominique, "Patrimoine et musées. L’institution de la culture" Hachette 2014

      8 CHASTEL-ROUSSEAU, "Nouveau musée universel?" PUF 2015

      9 CUNO James, "Museums matter. In Praise of the Encyclopedic Museum"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

      10 SCHAER Roland, "L’invention des musées" Gallimard 1993

      1 신상철, "인류에게 박물관이 왜 필요했을까?" 민속원 2013

      2 신상철, "뮤지엄 브랜드화 정책과 소장품 운영 방식의 변화: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과 루브르 아부다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박물관학회 (36) : 119-141, 2019

      3 FINDLEN Paula, "The Museum: Its classical Etymology and Renaissance Genealogy" 1 (1): 59-78, 1989

      4 Bazin Germain, "The Museum Age" Universe Books 1967

      5 McCLELLAN Andrew, "The Art Museum. From Boullée to Bilbao"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

      6 WOLFF Francis, "Plaidoyer pour l ’universel" Fayard 2019

      7 POULOT Dominique, "Patrimoine et musées. L’institution de la culture" Hachette 2014

      8 CHASTEL-ROUSSEAU, "Nouveau musée universel?" PUF 2015

      9 CUNO James, "Museums matter. In Praise of the Encyclopedic Museum"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

      10 SCHAER Roland, "L’invention des musées" Gallimard 1993

      11 DOTOLI Giovanni, "L’encyclopédie de Diderot et d ’Alembert et les projets encyclopédistes du XVIIIe siècle" L’Harmattan 2018

      12 COPANS Jean, "L’Ethnologie" Le Cavalier Bleu 2009

      13 LOYRETTE Henri, "Louvre Abu Dhabi. Naissance d’un musée" Musée du Louvre 2013

      14 DES CARS Laurence, "Louvre Abu Dhabi. Naissance d ’un musée" Louvre éditions 27-31, 2013

      15 CHARNIER Jean-François, "Louvre Abu Dhabi. Le guide du musée" Edition Skira 2018

      16 POULOT Domonique, "Les Lumières" puf 2000

      17 GOODY Jack, "Le vol de l ’histoire. Comment l ’Europe a imposé le récit de son passé au reste du monde" Gallimard 2010

      18 DIAS Nélia, "Le musée d ’ethnographie du Trocadéro 1878-1908" CNRS 2000

      19 VIATTE Germain, "Le Musée du quai Branly" Le Moniteur 26-35, 2006

      20 McCLELLAN Andrew, "Inventing the Louvre. Art, Politics, and the Origins of the Modern Museum in Eighteenth-Century Paris,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4

      21 INGLEBERT Hervé, "Histoire universelle ou Histoire globale?" puf 2018

      22 LA FONT de SAINT-YENNE, "Etienne, Réflexions sur quelques causes de l’état présent de la peinture en France" The Hague 1747

      23 JULLIEN François, "De l’universel, de l’uniforme, du commun et du dialogue entre les cultures" Fayard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2 0.40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