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한 환경변화와 시장개방의 흐름 속에서 세계적 기업들과 무한 경쟁을 벌여야 하는 오늘날 기업의 경쟁력 확보 및 리스크 관리차원에서 조직유효성에 대한 부분이 이슈화되고 있다. 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312257
용인 : 경희대학교, 2011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 글로벌경영학과 , 2011. 2
2011
한국어
650 판사항(20)
경기도
62 p. : 삽도 ; 26 cm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정영주
참고문헌 : p.58-5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급격한 환경변화와 시장개방의 흐름 속에서 세계적 기업들과 무한 경쟁을 벌여야 하는 오늘날 기업의 경쟁력 확보 및 리스크 관리차원에서 조직유효성에 대한 부분이 이슈화되고 있다. 본 ...
급격한 환경변화와 시장개방의 흐름 속에서 세계적 기업들과 무한 경쟁을 벌여야 하는 오늘날 기업의 경쟁력 확보 및 리스크 관리차원에서 조직유효성에 대한 부분이 이슈화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조직문화, 리더십, 아노미 현상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다.
기존의 인사조직 연구는 조직문화, 리더십을 개선할 때 조직유효성이 높아진다는 연구만 수행되어왔으나, 실제 중소기업의 경우는 대기업의 정형화된 관리 시스템보다 구성원간의 의사소통이나 조직융화가 더 높은 유효성을 창출하기 때문에 기업에서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아노미 현상을 접목시켜 조직유효성을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해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조직문화의 형태에 따라 조직유효성에 다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리더십의 유형에 따라 조직유효성에 다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조직내 아노미 현상이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정된 설문을 통해 실증적 검증을 시도하였으며, 설문지는 자동차부품 기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110부를 배포하여 실증검증에 유효한 100부만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2 Windows를 사용하여 필요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의 형태에 따라 조직유효성에 다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발전․합의문화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리더십의 유형에 따라 조직유효성에 다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 모두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며, 선행연구와 달리 거래적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보다 조직유효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 내 아노미 현상이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조직 내 아노미 현상의 진단을 통해 두 집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중소기업의 조직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선 유연성과 창의성을 강조하는 발전․합의문화가 중요하며, 특히, 중소기업에서는 리더의 역할이 조직유효성이 미치는 영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중소기업에서 조직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선 조직문화, 리더십을 관리하기 이전에 아노미관리가 선행되어야만 조직유효성 제고에 효과적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은 전략적인 아노미 관리를 통한 비전 공유와 커뮤니케이션 강화 등을 통해 조직유효성 향상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being issued to most of companies which should face global ones in the age of limitless competition in rapid changing environment and open market, to remain being competitive and manage risk. The main focus of this surv...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being issued to most of companies which should face global ones in the age of limitless competition in rapid changing environment and open market, to remain being competitive and manage risk.
The main focus of this survey is to see, how middle/small sized company’s organizational culture, leadership and anomie affect a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sidering the fact that previous survey on HR organization conducted was only focused on tha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gets better only as improv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this survey is to newly focu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anomie occurring frequently inside company, because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cooperation have more impact on effectiveness, rather than standardized management system operated in conglomerate.
The following hypothesis is established based on previous preceding studies.
Firstly,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es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ly,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es according to entrepreneurship.
Thirdly, anomie in company may aff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is study, proven investigation is us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due to proven investigation, 100 copies out of 110 copies is collected as a data from employees working at auto parts company.
The method of the study is of, conducting required analysis by means of SPSS 12 Windows and result is as below.
Firstly, the hypothesis that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es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ulture.‘ is to show that developmental, consensual culture aff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ly, the hypothesis that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es according to entrepreneurship.’ is to show that both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unlike preceding survey, transactional leadership has more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irdly, the hypothesis that ‘anomie in company may aff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to show that, as a result of how both groups would be influenced by investigating anomie in company, it has a negative impact on both groups.
To conclude, developmental, consensual culture which are emphasizing flexibility and creativity are core factor to ensur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middle and small sized company. And also, even though the innovative operation to ask new task is required, if it comes risk-factor as burden of business and company future to members, unlike previous study, it is shown tha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not influence. In particular, it is recognized that there is significantly close-relationship between leader’s role and the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middle and small sized company.
In middle and small sized company, it is figured out that only under the situation that controlling anomie is ahead before manag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orks well.
It is recommended that the initiative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required through sharing vision and reinforcing communication from strategically controlling anomi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