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일과정에서의 선거제도에 대한 연구 = Electoral System During the Korean Unification Proc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623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constitution states that democratic values need to be maintained in the process of Korean unification. And it also clearly states that the process needs to be peacefully carried out. With such conditions, the electoral system in the Korean ...

      The Korean constitution states that democratic values need to be maintained in the process of Korean unification. And it also clearly states that the process needs to be peacefully carried out. With such conditions, the electoral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is very important to the Korean unification process. Therefore, studies on the electoral system integration during the unification process needs to be realistic and insightful. In this study, we use the 3 level unification process, which is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official unification policy, to analyze the integration process.
      During the system integration process, the normative and constitutional principles and values need to be kept in mind as well as the South and North Korean residents’ social cohesion. The electoral system specific elements also needs to be considered as well as the South and North Korean electoral system and the reality of it. Considering all these factors, A process for north Korean residents to express their opinions need to be set up, a proper electoral system needs to be set up in the north Korean area before unification and the electoral system in unified Korea should not be based just on the population and location, and there needs to be a transition period before unification.
      The union level of the unification policy is most definitely different from north Korea’s unification policy. And the union level of the unification policy can be divided in 4 steps. A proper electoral system in north Korea should be set up at least on step 1 or 2, and a south-north union congress need to be installed in step 3. The parliamentary system in unified Korea should be bicameral system and specific measures for the north Korean residents should be implemented for a short span of time immediately after unifi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한민국 헌법은 제4조에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적 통일정책’에 대한 내용을 정하고 있다. 따라서 남북통일 과정과 통일국가의 법률체계는 민주적 기본질서와 국제평화...

      대한민국 헌법은 제4조에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적 통일정책’에 대한 내용을 정하고 있다. 따라서 남북통일 과정과 통일국가의 법률체계는 민주적 기본질서와 국제평화주의를 기초로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통일과정과 통일국가에서 남북한 주민이 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 경로인 선거제도가 중요하고, 그에 대한 실효성과 현실성 있는 연구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선거법제 통합에 대한 이론과 내용을 검토한 후, 남한정부의 공식적인 통일방안인 「한민족공동체 건설을 위한 3단계 통일방안」에 따라 통일이 되는 경우를 전제하여 통일과정에서 필요한 법제도와 법정책적인 내용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남북통일 과정에서 법제도 통합과정과 결과에서 준수되어야 할 규범적 가치와 원리, 남북한 주민 간의 사회통합적인 측면, 선거법제 통합의 특수성과 남북한 선거법제와 선거에 대한 법현실을 고려했을 때 통일 과정에서는 남북한 주민 간에 동질성을 통한 연대성이 일정 수준으로 형성하기 전에는 북한주민들의 의사가 국정운영에 반영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고, 통일이 되기 전까지 북한에서도 북한주민들이 자유롭게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선거제도가 마련되어야 하며, 인구나 지역만을 기준으로 선거법제를 구성해서는 안 될 뿐 아니라 선거법제를 통합하는 과정에서는 남북연합과 같은 과도기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남북연합의 경우 북한이 제시한 낮은 수준의 연방제와 같은 것이라는 견해가 제시되지만, 북한의 통치체제와 법률체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그와 같은 해석은 받아들이기가 힘들다. 그리고 남북연합단계는 오랜 기간에 거쳐서 창설단계, 기관화 단계, 남북공동체 단계, 통일 준비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북한에서는 늦어도 기관화 단계에서 제대로 된 선거가 이뤄질 필요가 있고 남북공동체 단계에서는 남북연합의회를 통해서 민주적 정당성을 갖춘 통일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통일국가에서는 양원제 의회제도를 도입하고, 잠정적으로나마 북한주민에게만 피선거권에 대한 특례를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우진, "한반도 통일국가의 양원제 의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2 전성우, "한국통일의 사회통합적 전망과 과제" 한독사회학회 1999

      3 김영준, "통일헌법의 제정과 내용" 경성대학교 19 (19): 1998

      4 이효원, "통일헌법의 제정 방법과 국가조직" 법학연구소 55 (55): 31-66, 2014

      5 이효원, "통일헌법의 이해" 박영사 2016

      6 박종철, "통일한국의 정치통합을 위한 선거관리위원회의 역할 및 단계별 대응방안" 통일연구원 2013

      7 김지탁, "통일한국의 선거제도에 관한 연구" 대한지방자치학회 15 (15): 299-326, 2013

      8 김유진, "통일한국의 선거제도 연구 : 통일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4

      9 오성택, "통일한국의 선거구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2017

      10 손재권 ; 황윤원, "통일한국의 국회의원선거 실시 방안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 22 (22): 23-42, 2015

      1 김우진, "한반도 통일국가의 양원제 의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2 전성우, "한국통일의 사회통합적 전망과 과제" 한독사회학회 1999

      3 김영준, "통일헌법의 제정과 내용" 경성대학교 19 (19): 1998

      4 이효원, "통일헌법의 제정 방법과 국가조직" 법학연구소 55 (55): 31-66, 2014

      5 이효원, "통일헌법의 이해" 박영사 2016

      6 박종철, "통일한국의 정치통합을 위한 선거관리위원회의 역할 및 단계별 대응방안" 통일연구원 2013

      7 김지탁, "통일한국의 선거제도에 관한 연구" 대한지방자치학회 15 (15): 299-326, 2013

      8 김유진, "통일한국의 선거제도 연구 : 통일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4

      9 오성택, "통일한국의 선거구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2017

      10 손재권 ; 황윤원, "통일한국의 국회의원선거 실시 방안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 22 (22): 23-42, 2015

      11 권형둔, "통일순응적 정당체제의 확립과 선거제도의 개혁-독일과의 비교법적 접근을 중심으로-" 중앙법학회 19 (19): 109-138, 2017

      12 전태국, "통일독일에서의 내적 통일의 문제"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39 : 2000

      13 이준일, "통일 후의 의회형태로서 양원제 ― 양원제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와 함께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0 (20): 93-125, 2014

      14 조민, "제2차 정상회담 대비 남북한 통일방안 분석" 통일연구원 2001

      15 안준홍, "자유주의자들의 법치주의관" 법학연구소 38 (38): 61-77, 2014

      16 정태호, "선거권 및 피선거권의 보장과 발전" 헌법재판소 19 : 2008

      17 정구진, "사회통합을 위한 북한주민지원제도" 경인문화사 2020

      18 김정현, "분단국가 통합의 법제적 과제 - 헌법 -" 한국법제연구원 2016

      19 조재현, "북한헌법상 자유권적 기본권의 체계와 특징에 관한 고찰" 미국헌법학회 32 (32): 243-273, 2021

      20 정구진, "북한주민의 법의식에 관한 연구-북한이탈주민 인터뷰 조사" 한국법제연구원 2019

      21 송인호, "북한의 ‘당의 유일적 영도체계 확립의 10대 원칙’에 대한 고찰" 법학연구소 43 (43): 145-176, 2019

      22 정응기, "북한 사회주의헌법의 기본원리-주체사상" 법학연구소 51 (51): 219-243, 2010

      23 김근식, "북한 급변사태와 남북연합: 통일과정적 접근" 북한연구학회 13 (13): 57-75, 2009

      24 양천수, "민주적 법치국가의 내적 갈등" 법학연구원 28 (28): 271-305, 2018

      25 조관홍, "독일의 내적통일에 있어서 가치 상충의 근본원인과 그 양상에 관한 연구" 대동철학회 (39) : 163-186, 2007

      26 김종갑, "독일선거제도를 통해 본 통일한국의 선거제도" 통일연구원 19 (19): 27-52, 2010

      27 정재황 ; 류지성, "대한민국 통일과도기의 법적 논점" 한국공법학회 46 (46): 427-454, 2017

      28 박정원, "남북한의 선거제도와 통합 과제" 통일과북한법학회 (23) : 7-42, 2020

      29 김종갑, "남북한 통합과 통일한국의 정치제도" 통일평화연구원 10 (10): 289-325, 2018

      30 유석렬, "남북연합의 개념과 추진과제" 통일연구원 2001

      31 이무철, "남북연합 연구: 이론적 논의와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19

      32 이무철, "남북연합 구상과 추진방안" 통일연구원 2020

      33 황의정, "김정은 시대 북한식 사회주의법치의 의미와 한계- 법의 지배(rule of law)의 일반론적 시각을 중심으로 -" 동북아법연구소 12 (12): 109-139, 2019

      34 이상신, "KINU 통일의식조사 2021:통일·북한 인식의 새로운 접근" 통일연구원 2021

      35 김범수, "2020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angwon Law Review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86 1.122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