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의 참여활동과 공동체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 서울특별시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017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participation activities of youths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to analyz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effect of participation activities on sense of communit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participation activities of youths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to analyz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effect of participation activities on sense of community. This study aimed to find an opportunity to seek ways to raise the sense of the community of youths. Additionally, This study aim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 for the youth participation in order to secure methods to enhance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Do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affect the sense of community of the youths?
      [Research Question 2] Do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affect the sense of community of the youths through self-esteem? [Research Question 3] Do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affect the sense of community of the youths through the life satisfaction?
      For the analysis the data of 2017 Comprehensive Survey of Children in Seoul were utilized. Although the respondents were 8,694, the subjects of [Research Question 1] were 1,075, and those of [Research Question 2] and [Research Question 3] were 1,490 respectively.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sense of community of youths and independent variable was youth participation activity such as student council activities, public organization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he parameters wer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youths, and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household income,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relationship with parents, relationship with peers,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were controlled.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STATA 15.0 was used to perform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o explain in more detail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Research question 1] and Hypotheses 1-1, 1-2 and 1-3 to identify the effects of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on the sense of community of youths. To verify [Research question 2], hypothesis 2-1, [Research question 3] and hypothesis 3-1,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sense of community.
      When demographic factors were controlled, out of the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student council activity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explained the sense of community of youths at a significant level in [Research question 1]. In [Research question 2],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he sense of community of youths. In [Research question 3], it was also found that life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he sense of community of youth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empirically verified that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ense of community not to mention of the student council activities whose effect was well-known. This implies that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as well as participation ‘in school’ in order to improve the sense of community of youths.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externally expanded the participation activities of youths. This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activating and diversifying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to strengthen the sense of community in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ublic organization participation activities which did not give meaningful results, this wa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student council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hat were supposed to be ‘voluntary’. It was a participatory organization that was led, forecasted, planned and organized by the supplier. This study focused on this point and urged the transformation of the paradigm of youth policy from ‘supplier-centered’ to ‘youth-led’. Secon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he sense of community of youths, which have been partially verified or have not been empirically verified, was proved. In particular, this study can b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in that it illuminate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variables. This study suggests that to understand the sense of community of youths a micro approach to the psychological elements of individuals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as the social and relational elements which previous research had focused on. It also implies that it provides a basis for policy intervention at the level of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y in order to grow and strengthen th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youth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참여활동이 청소년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참여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참여활동이 청소년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참여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청소년들의 공동체의식 제고 방안을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아울러 청소년의 참여활동과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를 강화하는 개입 방안의 마련을 위하여 정책적이고 실천적 개입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총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청소년참여활동은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청소년참여활동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청소년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청소년참여활동은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청소년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분석 자료로서 서울시 아동종합실태조사의 2017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전체 응답자는 8,694명이었으나 본 연구에 활용된 응답자 수는 [연구문제 1]의 경우 1,075명, [연구문제 2]와 [연구문제 3]의 경우 1,490명이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이며, 독립변수는 청소년의 참여활동으로 교내학생회활동, 공적조직참여활동, 사회참여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매개변수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이며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성별, 나이, 가구소득, 부모의 교육수준, 부모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는 통제하였다.
      연구문제 및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STATA 15.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이변량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행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및 가설1-1, 1-2, 1-3을 검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청소년참여활동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연구문제 2] 및 가설 2-1, [연구문제 3] 및 가설 3-1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청소년참여활동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때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하였을 때, [연구문제 1]에서는 청소년이 참여활동 중 교내학생회활동과 사회참여활동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을 유의미한 수준에서 설명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청소년참여활동과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의 관계를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연구문제 3]에서도 청소년의 참여활동과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을 매개변수인 삶의 만족도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할 수 있는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참여활동의 세부 요인 중 기존에 잘 알려졌던 교내학생회활동뿐만 아니라 사회참여활동이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청소년들의 공동체의식을 향상을 위하여 ‘학교 안’에서의 참여활동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서의 참여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청소년의 참여활동의 외연 확장을 도모했다는 점에서 함의를 갖는다. 이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공동체의식의 강화 마련에 있어 청소년참여활동의 활성화 및 다양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유의미한 결과를 제시하지 못한 공적조직참여활동의 경우 교내학생회활동과 사회참여활동과 달리 공급자가 주도하여 예측하고 계획하여 조직된 참여 기구로서 ‘자발성’이 전제되어야 하는 참여활동과는 질적으로 다르다는 부분에 집중하여 청소년정책의 패러다임을 공급자중심에서 ‘청소년주도’로 전환할 것을 촉구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청소년의 참여활동과 공동체의식간의 관계에서 파편적으로 검증되어 왔거나, 경험적으로 밝혀진 바 없었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특히 심리·정서적인 변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갖는다. 지금까지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대하여 주로 사회적이고 관계적인 요소에 초점을 둔 선행연구에 개인의 심리 내적인 요소에 대한 미시적인 접근 또한 주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를 성장·강화시키기 위하여 정부, 지역자치단체 그리고 지역사회차원의 정책적 개입의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함의를 갖는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목적 5
      • 제2장 이론적 배경 6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목적 5
      • 제2장 이론적 배경 6
      • 제1절 공동체의식에 대한 이해 6
      • 1. 공동체의식의 개념 6
      • 2. 사회적자본의 관점에서 본 공동체의식 9
      • 3.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14
      • 4.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6
      • 제2절 청소년 참여활동 20
      • 1. 참여권으로서의 청소년 참여활동 20
      • 2. 청소년 참여활동의 개념 25
      • 3. 청소년 참여활동과 공동체의식의 관계 28
      • 제3절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30
      • 1. 자아존중감의 개념 30
      • 2.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2
      • 3.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공동체 의식의 관계 34
      • 제4절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36
      • 1. 삶의 만족도 개념 36
      • 2.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7
      • 3.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공동체 의식과의 관계 40
      • 제3장 연구방법 42
      • 제1절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42
      • 1. 연구모형 42
      • 2. 연구문제 44
      • 제2절 연구설계 및 분석자료 46
      • 1. 연구설계 46
      • 2. 분석자료 : 서울시 아동종합실태조사 47
      • 제3절 변수의 측정 51
      • 1. 종속변수 : 공동체의식 51
      • 2. 독립변수 : 청소년 참여활동 51
      • 3. 매개변수 :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 54
      • 4. 통제변수 56
      • 제4절 분석 방법 59
      • 제4장 연구결과 61
      •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1
      • 제2절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64
      • 1.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64
      • 2. 주요변수의 상관관계 67
      • 제3절 연구문제 및 가설검증 70
      • 1. 청소년참여활동이 청소년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71
      • 2. 청소년참여활동이 청소년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73
      • 3. 청소년참여활동이 청소년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77
      • 제5장 결론 및 함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81
      • 제1절 논의 및 결론 81
      • 제2절 연구의 함의 86
      •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88
      • 참고문헌 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