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쿨 졸업 후 치루는 변호사시험이 어떤 내용의 시험인가가 우리나라에서 로스쿨제도의 성패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변호사시험제도가 로스쿨 교육을 황폐화시킬 수도 있고 성공시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504368
2010
-
변호사시험 ; 헌법분야 ; 출제방향 ; 법학전문대학원 ; 자격시험 ; Bar Exam ; Constitutional Law ; Direction of Questions ; Law School ; Capacity Test
362.05
KCI등재
학술저널
199-220(22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로스쿨 졸업 후 치루는 변호사시험이 어떤 내용의 시험인가가 우리나라에서 로스쿨제도의 성패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변호사시험제도가 로스쿨 교육을 황폐화시킬 수도 있고 성공시킬 ...
로스쿨 졸업 후 치루는 변호사시험이 어떤 내용의 시험인가가 우리나라에서 로스쿨제도의 성패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변호사시험제도가 로스쿨 교육을 황폐화시킬 수도 있고 성공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때늦은 감은 많았지만, 우여곡절 끝에 법학전문대학원 체재가 출범한 지 1년여 후인 2009년 4월에 변호사시험법이 제정되었다. 법무부에 의해 구성된 ‘변호사시험법제정 특별분과위원회’의 활동이 사실상 종료되면서 법무부에 의해 조문 20조, 부칙 5조의 변호사시험법 제정안이 입안 발표되었고 국회를 통과한 것이다. 이 법의 제정에 따라 2012년부터 로스쿨 졸업생을 대상으로 변호사시험을 실시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논의된 변호사시험 헌법분야 출제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법학전문대학원 교육에서 이러한 변호사시험 헌법분야 출제방향에 대한 대응책들에 대해 알아봄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1년여 후 변호사시험의 본격적인 첫 시행에 앞서 헌법분야를 중심으로 바람직한 변호사시험의 출제방향과 그에 따른 법학전문대학원 헌법교육의 대응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야말로 변호사시험제도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의 로스쿨제도의 성공적 안착과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작업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선 변호사법에서 확정되고 변호사시험 문제유형 연구T/F나 공법 문제유형 연구위원회에서 논의되고 제안된 헌법분야 출제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이것을 미국의 Bar Exam에서 헌법분야의 출제방향과 비교해 본 후 우리나라에서의 바람직한 변호사시험 헌법분야 출제방향에 대해 생각해본다. 그리고 끝으로 지금까지 확정된 변호사시험 헌법분야 출제방향에 발맞추어 각 법학전문대학원이 교육에 있어 어떤 대응책을 모색해야 하는지도 생각해 본다. 이 과정들을 통해 변호사시험 헌법분야를 비롯한 모든 분야에서의 출제에서 무엇보다 강조되어야 할 점이 ‘법학전문대학원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한 사람이면 누구나 쉽게 합격할 수 있는 자격시험’이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re than one year after the American-style law school system launched, Bar Exam Act was enacted in April, 2009. This paper aims at reviewing the direction of constitutional law questions in Korean bar exam so far and exploring its countermeasures in ...
More than one year after the American-style law school system launched, Bar Exam Act was enacted in April, 2009. This paper aims at reviewing the direction of constitutional law questions in Korean bar exam so far and exploring its countermeasures in Korean law schools for the exam. That is because it i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and the development of the law school system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reviews the direction of constitutional law questions in Korean bar exam at first which was provided in Bar Exam Act and discussed and proposed by the Research Task Force for the Question Types in the Bar Exam as well as the Research Committee for Public Law Questions in the Bar Exam. This paper also compares it with the direction of the constitutional law questions in the American bar exam and, based on this, it explores the desirable direction of constitutional law questions in Korea. Finally, this paper explores on what kind of countermeasures the Korean law schools should take to make their students fully prepare for the exa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9
2 임지봉, "헌법의 구체적 강의 방법과 내용" 법학연구원 (28) : 87-117, 2008
3 임지봉, "우리 로스쿨의 바람직한 모습"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9 : 2004
4 사법개혁위원회, "사법개혁위원회 건의문" 사법개혁위원회 2004
5 정종섭, "변호사시험 공법 과목 출제에 관한 검토" 법무부 2009
6 문재완, "공법학연구교수방법 및 공법학 커리큘럼 ― 법학전문대학원의 도입과 공법교육의 위기, 그리고 그 해결방안의 모색 ―" 한국공법학회 36 (36): 291-323, 2007
7 Steven I. Friedland, "The Essential Rules for Bar Exam Success" Thomson & West 2008
8 Suzanne Darrow-Kleinhaus, "The Bar Exam" Thomson & West 2003
9 Tania N. Shah, "Multistate Bar Exam" Wolters Kluwer 2010
10 Erwin Chemerinsky, "Constitutional Law: Principles and Policies" Aspen Law & Business 2002
1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9
2 임지봉, "헌법의 구체적 강의 방법과 내용" 법학연구원 (28) : 87-117, 2008
3 임지봉, "우리 로스쿨의 바람직한 모습"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9 : 2004
4 사법개혁위원회, "사법개혁위원회 건의문" 사법개혁위원회 2004
5 정종섭, "변호사시험 공법 과목 출제에 관한 검토" 법무부 2009
6 문재완, "공법학연구교수방법 및 공법학 커리큘럼 ― 법학전문대학원의 도입과 공법교육의 위기, 그리고 그 해결방안의 모색 ―" 한국공법학회 36 (36): 291-323, 2007
7 Steven I. Friedland, "The Essential Rules for Bar Exam Success" Thomson & West 2008
8 Suzanne Darrow-Kleinhaus, "The Bar Exam" Thomson & West 2003
9 Tania N. Shah, "Multistate Bar Exam" Wolters Kluwer 2010
10 Erwin Chemerinsky, "Constitutional Law: Principles and Policies" Aspen Law & Business 2002
11 William B. Lockhart, "Constitutional Law: Cases, Comments, Questions" West Publishing Co. 1991
12 John E. Nowak, "Constitutional Law" West Group 2000
13 Jereme A. Barron, "Constitutional Law" West Group 2003
14 장재현, "(기고자료)한국의 법학전문대학원과 변호사시험" 법학연구원 (32) : 13-21, 2010
미국의 헌법적 불법행위(Constitutional Tort)소송에 관한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5-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국제헌법학회한국학회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영문명 : Korean Branch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anl Law ->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nal Law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 | 1.6 | 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5 | 1.11 | 1.468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