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즈벡 결혼이주여성의 생애사 연구 = A Study of Life History on Uzbek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4129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aimed to comprehend the adaptation process to life in Korea of marriage immigrant women through the life history of Uzbek marriage immigrant women. For this, 2 women from Uzbekista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with whom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meaning of the adaptation process to life in Korea after the wedding was examined through the growth process and marriage process of Uzbek marriage immigrant women. Despite the differences in development process and marriage process, many similarities were discovered in the adaptation process to life in Korea for both research participants, Yujin and Pera. First, research participant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related to language, and were seeking to find a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their husbands.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experiencing cultural difficulties, and to solve this problem, they were trying to find methods of adaptation through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local community network.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aimed to comprehend the adaptation process to life in Korea of marriage immigrant women through the life history of Uzbek marriage immigrant women. For this, 2 women from Uzbekista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with whom in...

      In this study, We aimed to comprehend the adaptation process to life in Korea of marriage immigrant women through the life history of Uzbek marriage immigrant women. For this, 2 women from Uzbekista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with whom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meaning of the adaptation process to life in Korea after the wedding was examined through the growth process and marriage process of Uzbek marriage immigrant women. Despite the differences in development process and marriage process, many similarities were discovered in the adaptation process to life in Korea for both research participants, Yujin and Pera. First, research participant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related to language, and were seeking to find a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their husbands.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experiencing cultural difficulties, and to solve this problem, they were trying to find methods of adaptation through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local community network.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희원, "한국의 다문화주의와 결혼이주여성" 아시아.유럽미래학회 7 (7): 259-274, 2010

      2 차윤정, "한국 생활의 경험과 결혼이주여성의 언어 의식 변화" 인문학연구소 77 : 223-251, 2015

      3 이선형, "한국 결혼이주여성의 모성과 정체성 : 구술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4 강영미,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의 ‘자기 복원’ 생애사-로젠탈의 내러티브 분석 접근-"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9 (9): 108-136, 2015

      5 법무부 출입국, "통계월보 8월"

      6 김영천, "질적 연구방법으로 생애사연구의 성격과 의의" 교육연구소 18 (18): 5-43, 2012

      7 이정희, "일본인 여성결혼 이민자의 생애사 연구" 한국일본근대학회 (35) : 233-254, 2012

      8 이혜경,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가적 가족:조선족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0 (40): 258-298, 2006

      9 나임순, "외국인 결혼 이주여성들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비영리학회 7 (7): 97-135, 2008

      10 김연수,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경험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0) : 269-298, 2010

      1 조희원, "한국의 다문화주의와 결혼이주여성" 아시아.유럽미래학회 7 (7): 259-274, 2010

      2 차윤정, "한국 생활의 경험과 결혼이주여성의 언어 의식 변화" 인문학연구소 77 : 223-251, 2015

      3 이선형, "한국 결혼이주여성의 모성과 정체성 : 구술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4 강영미,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의 ‘자기 복원’ 생애사-로젠탈의 내러티브 분석 접근-"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9 (9): 108-136, 2015

      5 법무부 출입국, "통계월보 8월"

      6 김영천, "질적 연구방법으로 생애사연구의 성격과 의의" 교육연구소 18 (18): 5-43, 2012

      7 이정희, "일본인 여성결혼 이민자의 생애사 연구" 한국일본근대학회 (35) : 233-254, 2012

      8 이혜경,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가적 가족:조선족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0 (40): 258-298, 2006

      9 나임순, "외국인 결혼 이주여성들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비영리학회 7 (7): 97-135, 2008

      10 김연수,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경험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0) : 269-298, 2010

      11 정성진,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유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한국상담학회 11 (11): 957-973, 2010

      12 양영자, "생애사적 사례 재구성: 결혼이주여성의 생애사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37) : 203-248, 2012

      13 이만영, "생애사(life story) 해석에 대한 경험적 연구" 14 (14): 85-116, 1995

      14 조금희,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정체성 찾기’ 생애사 연구"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6

      15 정진경, "문화적응이론의 전개와 현황" 한국심리학회 23 (23): 101-136, 2004

      16 서덕희, "문화(文化)의 다차원성에 비추어 본 농촌 결혼이주여성의 갈등과 대응" 인문사회과학연구소 (49) : 121-148, 2015

      17 권정숙, "농촌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평생학습 방향탐색" 교육연구소 33 (33): 49-72, 2012

      18 한건수, "농촌 지역 결혼 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회 39 (39): 195-243, 2006

      19 김교헌, "국제결혼에 따른 문화적응에서 지역사회와 대학에 역할" 1-25, 2007

      20 서재복,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대한 문화적응 매개 효과 연구" 교육종합연구소 14 (14): 225-246, 2016

      21 정순희,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홍성지역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행정정보대학원 2007

      22 최운선,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소 46 (46): 141-181, 2007

      23 장동훈, "고려인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 내러티브연구방법으로" 평택대학교 대학원 2013

      24 정기선,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이주특성과 이민생활적응: 출신국가별 차이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 (1): 68-103, 2008

      25 이지현,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 부부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4 (24): 87-98, 2013

      26 김영순, "결혼이주여성의 초국적 유대관계에 나타난 정체성 협상의 커뮤니케이션" 한국언론학회 10 (10): 36-96, 2014

      27 이화선, "결혼이주여성의 에이전시와 다문화담론" 고려대학교대학원 2015

      28 최란주, "결혼이주여성의 생애사 연구"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2010

      29 김미원,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와 가족의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30 이애련, "결혼이주여성의 가정생활문화 적응에 관한 사례연구- 베트남여성을 대상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8 (18): 69-90, 2014

      31 윤정희,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 전통명절 문화교육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2 김현실, "결혼 이주 여성의 문화변용, 문화 적응 스트레스 및 우울의 관계" 한국보건사회학회 (32) : 39-70,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