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종합병원 입원환자 간병인의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 건강신념 모델을 기반으로 = Factors influencing infection control of inpatient caregivers in general hospital :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632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종합병원 내 주돌봄자인 간병인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

      본 연구는 종합병원 내 주돌봄자인 간병인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C시 소재 3개의 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를 돌보기 위해 환자 또는 가족에 의해 고용된 간병인 159명이었다. 2022년 9월 30일부터 10월 11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감염관리 지식 22문항, 건강신념 하위 개념 30문항(지각된 민감성 8문항, 지각된 심각성 4문항, 지각된 유익성 6문항, 지각된 장애성 8문항, 자기효능감 4문항), 감염관리 수행 15문항, 일반적 특성 13문항의 총 8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9.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계산하였고, 독립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ronbach's α 값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감염관리 지식 정답률은 전체 평균 90.5%, 총 점수는 22점 만점에 19.90점으로, 대상자의 건강신념 하위 개념은 5점 만점에 자기효능감이 4.3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지각된 심각성이 4.03점, 지각된 유익성이 3.98점, 지각된 민감성이 3.77점, 지각된 장애성이 3.74점 순이었다.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 총 점수는 60점 만점에 51.66점, 평균 점수는 4점 만점에 3.70점으로, 하위 영역인 환경관리 및 린넨이 3.77점으로 가장 높았고, 호흡기 에티켓(3.75점), 개인 보호장구(3.68점), 손위생(3.56점) 순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지식의 차이는 근무시간(F=3.34, p=.038)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집단별 차이를 보기 위한 Scheffé test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신념 하위 개념의 차이에서 지각된 민감성은 요양보호사 자격증(t=-3.03, p=.003), 근무시간(F=5.53, p=.005), 간병 형태(t=-2.04, p=.046), 감염환자 간병 경험(t=3.14, p=.003), 질병 전파 매개체 가능성(F=9.15, p<.001), 감염관리 관심도(t=-2.95, p=.006), 감염관리 교육 필요성(t=-2.65, p=.023)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지각된 심각성은 최종학력(F=3.27, p=.023), 요양보호사 자격증(t=-2.37, p=.021), 근무시간(F=6.70, p=.002), 감염환자 간병 경험(t=2.76, p=.006), 질병 전파 매개체 가능성(F=4.92, p=.008), 감염관리 관심도(t=-4.35, p<.001), 감염관리 교육 필요성(t=-4.04, p<.001)이, 지각된 유익성은 성별(t=-3.07, p=.002), 연령(F=3.11, p=.047), 근무경력(F=3.22, p=.024)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환산한 지각된 장애성은 성별(t=-2.08, p=.040), 근무경력(F=2.98, p=.034), 요양보호사 자격증(t=-2.91, p=.004), 근무시간(F=6.47, p=.002), 감염환자 간병 경험(t=-2.02, p=.045), 질병 전파 매개체 가능성(F=4.52, p=.012)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자기효능감은 최종학력(F=2.68, p=.049), 요양보호사 자격증(t=-2.23, p=.027), 근무시간(F=7.04,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은 요양보호사 자격증(t=-3.30, p=.001), 감염환자 간병 경험(t=4.27, p<.001), 질병 전파 매개체 가능성(F=3.08, p=.049), 감염관리 관심도(t=-3.23, p=.003), 감염관리 교육 필요성(t=-5.65,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은 감염관리 지식(r=.32, p<.001), 건강신념 하위 개념인 지각된 심각성(r=.30, p<.001), 자기효능감(r=.18, p=.022), 지각된 유익성(r=.16, p=.049)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염환자 간병 경험(t=4.65, p<.001), 감염관리 교육 필요성(필요하다)(t=2.51, p=.013), 감염관리 지식(t=2.01, p=.046), 지각된 민감성(t=-4.95, p<.001), 지각된 심각성(t=4.30, p<.001)이었으며, 설명력은 40%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종합병원에서 일하고 있는 간병인의 감염관리 수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감염관리 관심을 높이기 위한 교육 체계를 마련하고, 감염환자 간병 경험, 감염관리 교육 필요성, 감염관리 지식, 지각된 심각성 등 간병인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해 감염관리 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had affected the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of inpatients caregiver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The participants were 159 caregivers who were employed by patients or their families to ca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had affected the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of inpatients caregiver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The participants were 159 caregivers who were employed by patients or their families to care for patients admitted to three general hospitals in Cheongju-si.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11, 2022.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2 questions on infection control knowledge, 30 questions on health belief(8 questions on perceived susceptibility, 4 questions on perceived severity, 6 questions on perceived benefits, 8 questions perceived barriers, 4 questions on self efficacy), 15 questions on infection control and 13 questions general characteristics. Da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9.0 program to calculat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post hoc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Cronbach's α.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rrect answer rate of partcipants’ infection control knowledge was 90.5% overall, the total score for infection control knowledge was 19.90 points out of 22. Sub-concept of health belief was the highest with 4.37 points for self-efficacy, followed by 4.03 points for perceived severity, 3.98 points for perceived benefits, 3.77 points for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3.74 points for perceived barriers. The total score for infection control was 51.66 points out of 60 and the average score was 3.70 points out of 4, followed by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linen with 3.77 points, followed by respiratory etiquette(3.75 point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3.68 points), and hand hygiene(3.56 poi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 and working hours(F=3.34, p=.038).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nd certification of nursig care workers(t=-3.30, p=.001), experience of caring for infected patients(t=4.27, p<.001), possibility of disease transmission mediators(F=3.08, p=.049), interest in infection control(t=-3.23, p=.003 and need for infection control education(t=-5.65, p<.001).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nd perceived severity(r=.30, p<.001), self-efficacy(r=.18, p=.022), and perceived benefits(r=.16, p=.049), and infection control knowledge(r=.32, p<.001).
      Factors affecting infection control of inpatients caregivers were the experience of caring for infected patients(t=4.65, p<.001), need for infection control education(necessary)(t=2.51, p=.013),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t=2.01, p=.046), perceived susceptibility(t=-4.95, p<.001), and perceived severity(t=4.30, p<.001). These factors explained 40% of variance of infection contr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education system to raise interest in infection control and develop and apply programs to improve infection control by consider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caregivers, such as nursing experience, infection control knowledge, and perceived sever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4
      • 3. 용어 정의 5
      • Ⅱ. 문헌고찰 9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4
      • 3. 용어 정의 5
      • Ⅱ. 문헌고찰 9
      • 1. 감염관리 9
      • 2. 감염관리 지식 12
      • 3. 건강신념 모델 14
      • 4. 감염관리 수행 17
      • Ⅲ. 연구의 개념적 기틀 21
      • Ⅳ. 연구 방법 23
      • 1. 연구설계 23
      • 2. 연구대상 23
      • 3. 연구도구 24
      • 4. 자료수집 방법 27
      • 5. 자료분석 방법 28
      • 6. 윤리적 고려 29
      • Ⅴ. 연구결과 30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0
      • 2. 대상자의 감염관리 지식, 건강신념 하위 개념, 감염관리 수행 정도 33
      • 2-1. 대상자의 감염관리 지식 33
      • 2-2. 대상자의 건강신념 하위 개념 33
      • 2-3.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 34
      •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지식, 건강신념 하위 개념, 감염관리 수행의 차이 38
      •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지식의 차이 38
      • 3-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신념 하위 개념의 차이 40
      • 3-2-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각된 민감성의 차이 40
      • 3-2-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각된 심각성의 차이 42
      • 3-2-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각된 유익성의 차이 44
      • 3-2-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각된 장애성의 차이 46
      • 3-2-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 48
      • 3-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의 차이 50
      • 4. 대상자의 감염관리 지식, 건강신념 하위 개념, 감염관리 수행의 상관관계 52
      • 5.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6
      • Ⅵ. 논의 56
      • Ⅶ. 결론 및 제언 70
      • 참고문헌 74
      • Abstract 82
      • 부록 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