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매체공간의 혼종화와 지각의 확장에 관하여 = A Study on the Hybridization of Media Space and Extension of Perce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175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주제는 일상적인 체험공간으로서의 매체공간의 특징과 이공간에서의 체험주체의 지각문제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매체공간이 일상적인 체험공간이 된 지 이미 오래지만, 공간 그 자체의 특징과 변화를다룬 이론은 많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매체공간과 체험주체에 대한오해도 많았다. 대표적으로 공간의 소멸과 몸의 소멸이 바로 그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이러한 오해가 근본적으로 매체공간의 혼종화를 잘못 이해한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규정하고, 먼저 매체공간의 혼종화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매체공간의 혼종화 현상을 혼합현실, 헤테로토피아 그리고 장소와 비장소 등의 논의를 가져와 설명하였다. 그 다음 체험주체에 관한 문제를 확장된 몸과 이미지 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매체공간에서의 몸과 지각은 탈체현적 방식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체현적일 수밖에 없음을 살펴보았다. 원격현존을 중심으로 한 매체공간에서의존재와 지각 방식을 탈체현적으로 이해한 것은 오해에 불과하며, 이 공간에서는 확장된 몸과 이미지 몸을 중심으로 지각이 확대대고 있으며, 이러한 지각의 확대는 현실의 몸에 근거하고 있음을 밝혔다.
      번역하기

      이 글의 주제는 일상적인 체험공간으로서의 매체공간의 특징과 이공간에서의 체험주체의 지각문제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매체공간이 일상적인 체험공간이 된 지 이미 오래지만, 공간 그...

      이 글의 주제는 일상적인 체험공간으로서의 매체공간의 특징과 이공간에서의 체험주체의 지각문제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매체공간이 일상적인 체험공간이 된 지 이미 오래지만, 공간 그 자체의 특징과 변화를다룬 이론은 많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매체공간과 체험주체에 대한오해도 많았다. 대표적으로 공간의 소멸과 몸의 소멸이 바로 그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이러한 오해가 근본적으로 매체공간의 혼종화를 잘못 이해한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규정하고, 먼저 매체공간의 혼종화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매체공간의 혼종화 현상을 혼합현실, 헤테로토피아 그리고 장소와 비장소 등의 논의를 가져와 설명하였다. 그 다음 체험주체에 관한 문제를 확장된 몸과 이미지 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매체공간에서의 몸과 지각은 탈체현적 방식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체현적일 수밖에 없음을 살펴보았다. 원격현존을 중심으로 한 매체공간에서의존재와 지각 방식을 탈체현적으로 이해한 것은 오해에 불과하며, 이 공간에서는 확장된 몸과 이미지 몸을 중심으로 지각이 확대대고 있으며, 이러한 지각의 확대는 현실의 몸에 근거하고 있음을 밝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perties of the medium space as a daily space of experience and the perception problem of experience subject in this space. While media space has long been an everyday experience space, there are not many theories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space itself. For this reason, there were many misconceptions about media space and experience subjects. Typically this is the disappearance of space and the extinction of the body.
      Therefore, in this paper, I explained that these misconception are based on the misunderstanding of the hybridization of media space, and I first examined how hybridization of media space proceeds. In particular, the hybridization phenomenon of media space was discussed with mixed reality, heterotopia, place and non–place. Next, this study explains the problem of the subject of experience, which focuses on the expanded body and the image body. The body and perception in the media space are not disembodied, but are a formative one. It is just a misunderstanding that the notion of existence and perception in the medial space centered on telepresence is disembodied. In this space, the perception is magnified focusing on the expanded body and the image body. This extension of perception is based on the body in reality.
      번역하기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perties of the medium space as a daily space of experience and the perception problem of experience subject in this space. While media space has long been an everyday experience space, there are not many theories about the...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perties of the medium space as a daily space of experience and the perception problem of experience subject in this space. While media space has long been an everyday experience space, there are not many theories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space itself. For this reason, there were many misconceptions about media space and experience subjects. Typically this is the disappearance of space and the extinction of the body.
      Therefore, in this paper, I explained that these misconception are based on the misunderstanding of the hybridization of media space, and I first examined how hybridization of media space proceeds. In particular, the hybridization phenomenon of media space was discussed with mixed reality, heterotopia, place and non–place. Next, this study explains the problem of the subject of experience, which focuses on the expanded body and the image body. The body and perception in the media space are not disembodied, but are a formative one. It is just a misunderstanding that the notion of existence and perception in the medial space centered on telepresence is disembodied. In this space, the perception is magnified focusing on the expanded body and the image body. This extension of perception is based on the body in rea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미셸 푸코, "헤테로토피아" 문학과지성사 2009

      2 슈테판 귄첼, "토폴로지" 에코리브르 2010

      3 게오르크 크리스토프 톨렌, "토폴로지" 에코리브르 2010

      4 박선희, "탈육화 담론의 비판으로서 육화 이론" 언론정보연구소 47 (47): 204-234, 2010

      5 마루타 하지메, "장소’론: 웹상의 리얼리즘과 지역의 로맨티시즘" 심산 2011

      6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2011

      7 캐서린 헤일즈,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 휴먼이 되었는가" 플래닛 2013

      8 폴 비릴리오, "속도와 정치" 그린비 2004

      9 노르베르트 볼츠, "세계를 만드는 커뮤니케이션 : 세계사회와 네트워크의사회적 영향" 한울아카데미 2009

      10 지그문트 프로이트, "문명속의 불만" 열린책들 275-, 1998

      1 미셸 푸코, "헤테로토피아" 문학과지성사 2009

      2 슈테판 귄첼, "토폴로지" 에코리브르 2010

      3 게오르크 크리스토프 톨렌, "토폴로지" 에코리브르 2010

      4 박선희, "탈육화 담론의 비판으로서 육화 이론" 언론정보연구소 47 (47): 204-234, 2010

      5 마루타 하지메, "장소’론: 웹상의 리얼리즘과 지역의 로맨티시즘" 심산 2011

      6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2011

      7 캐서린 헤일즈,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 휴먼이 되었는가" 플래닛 2013

      8 폴 비릴리오, "속도와 정치" 그린비 2004

      9 노르베르트 볼츠, "세계를 만드는 커뮤니케이션 : 세계사회와 네트워크의사회적 영향" 한울아카데미 2009

      10 지그문트 프로이트, "문명속의 불만" 열린책들 275-, 1998

      11 데이비드 하비, "모더니티의 수도, 파리" 생각의 나무 2007

      12 디터 메르시, "매체이론"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9

      13 심혜련, "매체, 몸 그리고 지각" 한국영상학회 14 (14): 121-133, 2016

      14 김성도, "도시 인간학" 안그라픽스 2014

      15 심혜련, "도시 공간과 흔적 그리고 산책자"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9 (19): 103-135, 2008

      16 심혜련, "도시 공간 읽기의 방법론으로서의 흔적 읽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3 (23): 67-97, 2012

      17 돈 아이디, "기술철학" 철학과 현실사 1997

      18 마이크 크랭, "공간적 사유" 에코 리브로 2013

      19 에리자베스 그로스, "건축, 그 바깥에서 : 잠재 공간과 현실 공간에 대한 에세이" 그린비 2012

      20 Dörong, Jörg, "Spatial Turn. Das Raumpardigama in den Kultur-und Sozialwissenschaften" transcript Verlag 2008

      21 Kloock, Daniela, "Spahr, Angela, Medientheorien: Einführung" Wihelm Fink Verlag 2000

      22 Fischer, Scott, "Schöne neue Welten? Auf dem Weg zu einer neuen Spielkultur" Klaus Boer Verlag 1995

      23 Maresch, Rudolf, "Raum Wissen Macht" Suhrkamp Verlag 2002

      24 Krämer, Syblille, "Raum Wissen Macht" Suhrkamp Verlag 2002

      25 Augé, Marc, "Nicht-Orte, aus dem Französischen von Michael Bischoff" Beck Verlag 2011

      26 Kleiner, Marcus S, "Medien-Heterotopien. Diskursräume einer gesellschaftskritischen Medientheorie" transript Verlag 2006

      27 Rötzer, Florian, "Die Telepolis-Urbanität im digitalen Zeitalter" Bollmann Verlag 1995

      28 Ellich, Lutz, "Die Realität virtueller Räume: Soziologische Überlegungen zur >Verortung< des Cyberspace" Suhrkamp Verlag 2002

      29 Ihde, Don, "Body in Technology"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2

      30 Hansen, Mark, "Body in Code: Interface with digital media" Routledge 2006

      31 심혜련, "20세기의 매체철학 :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그린비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0-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semiannually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 EPOCH AND PHILOSOPHY -A Journal of Philosophical Thought in Kore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2 1.3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