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화 <레 미제라블>의 스토리텔링 연구 = A Study on Storytelling of Les Miserables (201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63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012, the musical film, Les Miserables directed by Tom Hooper was a huge success in Korea. The musical film’s huge success was very unusua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how storytelling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film, Les Miserables.
      This study compares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om Hooper’s Les Miserables with Bill Auguste’s Les Miserables released in 1998. Les Miserables in 1998 and in 2012 deploy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narrative. The plot of Les Miserables in 1998 mainly concerns the conflict between central characters, Jean Valjean and Javert. In the second half of the film, confrontation of opposite figures of Jean Valjean and Javert was changed into conflict of each characters’ awareness of world. That is the conflict between the Javert’s feudal perspective and Jean Valjean’s civil perspective about society. While the central plot of Les Miserables in 2012 is the Jean Valjean’s internal conflict to find his identity as represented with shouting ‘Who am I’. The characters in the film including Jean Valjean are able to be reborn as an independent subject through desire triangle. Here, the musical film Les Miserables maximizes the process in which, through melodious narrative, the characters become matured citizens. Les Miserables in year 2012 asks audience “Who am I”. And through “One day more” the film makes the audience expect what world would become. In addition, “Do You hear the people sing?” also makes the audience think about what subject we would become. The storytelling in Les Miserables in 2012 gives the audience catharsis with forming strong consensus among other audience.
      번역하기

      In 2012, the musical film, Les Miserables directed by Tom Hooper was a huge success in Korea. The musical film’s huge success was very unusua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how storytelling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film, Les Miserables. ...

      In 2012, the musical film, Les Miserables directed by Tom Hooper was a huge success in Korea. The musical film’s huge success was very unusua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how storytelling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film, Les Miserables.
      This study compares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om Hooper’s Les Miserables with Bill Auguste’s Les Miserables released in 1998. Les Miserables in 1998 and in 2012 deploy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narrative. The plot of Les Miserables in 1998 mainly concerns the conflict between central characters, Jean Valjean and Javert. In the second half of the film, confrontation of opposite figures of Jean Valjean and Javert was changed into conflict of each characters’ awareness of world. That is the conflict between the Javert’s feudal perspective and Jean Valjean’s civil perspective about society. While the central plot of Les Miserables in 2012 is the Jean Valjean’s internal conflict to find his identity as represented with shouting ‘Who am I’. The characters in the film including Jean Valjean are able to be reborn as an independent subject through desire triangle. Here, the musical film Les Miserables maximizes the process in which, through melodious narrative, the characters become matured citizens. Les Miserables in year 2012 asks audience “Who am I”. And through “One day more” the film makes the audience expect what world would become. In addition, “Do You hear the people sing?” also makes the audience think about what subject we would become. The storytelling in Les Miserables in 2012 gives the audience catharsis with forming strong consensus among other audi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영, "현대 뮤지컬 음악과 영화 음악에 나타난 음화법 사용에 대한 고찰"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8

      2 고지혜, "해방 이후 아동문학 장(場)에서의 『레미제라블』 수용 양상 연구"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1) : 259-294, 2012

      3 이노신, "찰스 디킨즈의 『올리버 트위스트』와 빅토르 위고의 『레 미제라블』의 상호텍스트성 분석" 한국영미문화학회 10 (10): 199-220, 2010

      4 아니카 르메르, "자크 라캉" 문예출판사 1998

      5 권택영, "욕망 이론" 문예출판사 1999

      6 권택영, "영화와 소설 속의 욕망 이론" 민음사 1995

      7 로버트 맥기,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황금가지 2005

      8 김현주, "소설 「레 미제라블(Les Misérables)」에 나타난 의상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1 (11): 1-21, 2011

      9 박진영, "소설 번안의 다중성과 역사성-[레미제라블]을 위한 다섯 개의 열쇠" 민족문학사학회 (33) : 214-255, 2007

      10 김영철, "소설 <레 미제라블>을 읽고 나서: 한 교육학적 독후감" 5 : 31-54, 2002

      1 김민영, "현대 뮤지컬 음악과 영화 음악에 나타난 음화법 사용에 대한 고찰"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8

      2 고지혜, "해방 이후 아동문학 장(場)에서의 『레미제라블』 수용 양상 연구"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1) : 259-294, 2012

      3 이노신, "찰스 디킨즈의 『올리버 트위스트』와 빅토르 위고의 『레 미제라블』의 상호텍스트성 분석" 한국영미문화학회 10 (10): 199-220, 2010

      4 아니카 르메르, "자크 라캉" 문예출판사 1998

      5 권택영, "욕망 이론" 문예출판사 1999

      6 권택영, "영화와 소설 속의 욕망 이론" 민음사 1995

      7 로버트 맥기,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황금가지 2005

      8 김현주, "소설 「레 미제라블(Les Misérables)」에 나타난 의상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1 (11): 1-21, 2011

      9 박진영, "소설 번안의 다중성과 역사성-[레미제라블]을 위한 다섯 개의 열쇠" 민족문학사학회 (33) : 214-255, 2007

      10 김영철, "소설 <레 미제라블>을 읽고 나서: 한 교육학적 독후감" 5 : 31-54, 2002

      11 차영선, "빅토르 위고 작품의 스토리텔링과 OSMU - 레미제라블을 중심으로 -" 한국프랑스학회 72 : 619-638, 2010

      12 이은주, "뮤지컬을 통한 음악 지도 방안 연구 : 오페라의 유령과 레미제라블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3 김지영, "뮤지컬에서 나타나는 확대된 노래형식에 관한 연구 : 뮤지컬 「레 미제라블」의 와 뮤지컬 「렌트」의 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09

      14 강수현, "뮤지컬 「레미제라블」 분석을 통한 음악의 극적기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2010

      15 김현, "르네 지라르 혹은 폭력의 구조" 나남 1987

      16 김경규, "레미제라블에 나타난 빅토르 위고의 소설기법"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1989

      17 "레미제라블"

      18 "레미제라블"

      19 김광선, "『레 미제라블』의 음악적 텍스트 연구" 8 : 117-140, 2002

      20 전금주, "“파리의 떠돌이 아이들”에 관한 소고: 레 미제라블의 가브로슈를 중심으로" 23 : 35-73, 2009

      21 "www.maxmovie.com"

      22 "www.kobis.or.kr"

      23 "www.imdb.com"

      24 "www.cgv.co.kr"

      25 "www.boxofficemojo.com"

      26 김희경, "Victor Hugo의 견자적(見者的) 소설(le roman visionnaire) : 『레 미제라블Les Mis?rables』" 한국불어불문학회 (54) : 163-194, 2003

      27 노영해, "19세기 오페라와 현대의 대중적 뮤지컬 사이의 연속성" 3 : 110-140,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Literature And Film -> The Korean Association Of Literature and Film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7 0.17 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6 0.491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