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적 종교로서의 미국 개신교 근본주의의 정치적 역할과 한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95406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국 개신교 근본주의에 대한 사회정치적 실체를 역사사회학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현대사회에서 근본주의 운동이 지니는 사회적 위치, 특히 다양한 문화영...

      본 연구는 미국 개신교 근본주의에 대한 사회정치적 실체를 역사사회학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현대사회에서 근본주의 운동이 지니는 사회적 위치, 특히 다양한 문화영역의 분화와 종교의 사유화가 지배적인 현대사회에서 근본주의 운동이 함축하는 공공성, 즉 공적역할과 그 한계를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는 먼저 근본주의의 사회적 위상에 대한 불만과 이에 따른 공적재등장 시도의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현대사회에서의 종교의 사회적 위치에 대한 논의를 분화론과 사유화론을 중심으로 논한다. 그 다음 미국에서 처음으로 시작한 개신교 근본주의 운동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연구 결과 정교분리 원칙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역사 속에서 정치와 종교는 여전히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즉 미국의 개신교 근본주의자들은 종교의 탈제도화를 거부하고 초기의 청교도처럼 시민공동체와 종교공동체의 제도적 일치는 물론 시민의 정신세계와 행위규범까지도 종교적 규제를 시도했다. 그러나 미국사회는 이미 세속화되고 다원화되었으며 근대사회의 사회계약 원칙은 공적담론의 장인 시민사회에의 참여를 근본주의자에게 허용할 뿐이었다. 하지만 근본주의는 그 의미체계가 지니는 타협 불가성과 함께 전부가 아니면 전무라는 식의 배타적이고 공격적인 태도로 인해 타협과 경쟁을 요구하는 시민사회로의 진입을 거부하였다. 오히려 그들이 선택한 것은 정치권력과의 동맹을 통한 사회정치적 영향력 행사였다. 그러나 정치와 종교의 결합은 결국 양측 모두에게 상처만 입히고 말았다. 그것은 정치 논리와 종교 논리가 다르고, 종교가 제시하는 도덕 실천적 가치와 정치 영역에서 추구하는 도구적 가치가 전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정치행위의 궁극적인 목표는 정권 장악에 있고 경제행위의 목표는 물질적 차원에서 최소비용을 들여 최대 효과를 보는 데 있다. 그러나 종교는 이들 세속적 영역이 추구하는 상대적이고 개별주의적인 가치보다는 절대적이며 보편적인 가치를 추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의 개신교 근본주의에 대한 연구로 정치와 종교의 관계에 대한 규범적이고 성찰적인 모형을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socio-political reality of the American Protestant fundamentalism, especially its publicness or its public roles within the modern social context in which the differentiation of various cultural spheres and the privatiza...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socio-political reality of the American Protestant fundamentalism, especially its publicness or its public roles within the modern social context in which the differentiation of various cultural spheres and the privatization of religions are dominant. In order to understand its social location and recent resurgence in public sphere, we, first, trace the theories of differentiation and privatization. Then, we analyz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rotestant fundamentalism originated first in America.
      As a result of our study, we see that religion and politics, despite of the dis-establishment of religion, have had a close relationship in American history. More specifically, the American Protestant fundamentalists rejected the principle of dis-establishment, and, like their Puritan ancestors, tried to rebuild the institutional unity of civil community and religious community, and to enforce religious regulation on people’s logics of thought and action. However, American society have already been secularized and plural, and the modern principle of social contract allows fundamentalists only to participate in the civil society, that is, the sphere of public discourse. The fundamentalism, however, due to its exclusive, and aggressive attitude asking all or nothing, refused to enter into the civil society that requires compromise and competitions. Rather, it sought to exercise sociopolitical influence by way of allying with political powers. However, the coalition of religion and politics only inflicted injuries on both sides. It is due to the innate logical disparity of religion and politics. The moral practical values of religion are totally different from the instrumental values of politics. The ultimate objects of political and economic actions are, respectively, to come to power, and to reap the largest fruits with the least expense, and thus pursue relative and particularistic values. However, religion seeks the absolute and universal values.
      Thus, this study on the American Protestant fundamentalism and its historical relationship with politics suggests a normative and reflective model on the relationship of religion and politics in the modern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는 말
      • 2. 세속화 이론과 현대사회에서의 종교의 사회적 위치
      • 3. 미국 개신교 근본주의 운동의 역사적 전개과정
      • 5. 나가는 말
      • 도움 받은 글
      • 1. 들어가는 말
      • 2. 세속화 이론과 현대사회에서의 종교의 사회적 위치
      • 3. 미국 개신교 근본주의 운동의 역사적 전개과정
      • 5. 나가는 말
      • 도움 받은 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태식, "현대사회에서의 종교의 사회적 위치와 공공성" 한국신학연구소 (142) : 195-218, 2008

      2 데이비드 마틴, "현대 세속화 이론" 한울아카데미 2008

      3 정태식, "탈레반을 통해 본 예언자적 이슬람개혁운동에 대한 일고찰" 한국사회역사학회 11 (11): 69-97, 2008

      4 정태식, "카이로스와 텔로스: 정치 종교 사회의 사상사적 의미체계" 도서출판 영한 2007ㄱ

      5 정태식, "중국에서의 전례논쟁과 가톨릭 박해에 대한 일고찰 :종교의 사회적 위치를 중심으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1 (31): 188-210, 2007

      6 정태식, "종교의 정의(定義)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일고찰 :막스 베버의 이념 표상적 구성을 바탕으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2 (32): 173-189, 2008

      7 정태식, "基督敎社會主義의 韓國的 受容에 對한 一考察 -崔文植 牧師의 思想과 實踐을 中心으로-" 퇴계연구소 (39) : 411-449, 2006

      8 Lightman, Allan J., "White Protestant Nation: The Rise of the American Conservative Movement" Atlantic Monthly Press 2008

      9 Habermas, Jurgen,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 Two: Life World and System: A Critique of Functionalist Reason" Beacon Press 1981

      10 Habermas, Jurgen,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 One: Reason and Rationalization of Society" Beacon Press 1981

      1 정태식, "현대사회에서의 종교의 사회적 위치와 공공성" 한국신학연구소 (142) : 195-218, 2008

      2 데이비드 마틴, "현대 세속화 이론" 한울아카데미 2008

      3 정태식, "탈레반을 통해 본 예언자적 이슬람개혁운동에 대한 일고찰" 한국사회역사학회 11 (11): 69-97, 2008

      4 정태식, "카이로스와 텔로스: 정치 종교 사회의 사상사적 의미체계" 도서출판 영한 2007ㄱ

      5 정태식, "중국에서의 전례논쟁과 가톨릭 박해에 대한 일고찰 :종교의 사회적 위치를 중심으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1 (31): 188-210, 2007

      6 정태식, "종교의 정의(定義)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일고찰 :막스 베버의 이념 표상적 구성을 바탕으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2 (32): 173-189, 2008

      7 정태식, "基督敎社會主義의 韓國的 受容에 對한 一考察 -崔文植 牧師의 思想과 實踐을 中心으로-" 퇴계연구소 (39) : 411-449, 2006

      8 Lightman, Allan J., "White Protestant Nation: The Rise of the American Conservative Movement" Atlantic Monthly Press 2008

      9 Habermas, Jurgen,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 Two: Life World and System: A Critique of Functionalist Reason" Beacon Press 1981

      10 Habermas, Jurgen,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 One: Reason and Rationalization of Society" Beacon Press 1981

      11 Gonzalez, Justo L., "The Story of Christianity, V. 2" Harper & Row 1985

      12 Weber, Max, "The Sociology of Religion" Beacon Press 1963

      13 Weber, Max, "The Social Psychology of the World Religions in Essays in Soc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58ㄴ

      14 Berger, Peter, "The Sacred Canopy: Elements of a Sociological Theory of Religion" Doubleday 1967

      15 Weber, Max,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Charles Scribner's Sons 1958ㄱ

      16 Glock, Charles Y., "The New Religious Consciousnes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6

      17 Luckmann, Thomas, "The Invisible Religion: The Problem of Religion in Modern Society" Macmillan 1967

      18 Bellah, Robert N, "The Broken Covenant: American Civil Religion in Time of Trial" Seabury Press 1975

      19 Caplan, Lionel, "Studies in Religious Fundamentalis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87

      20 Vidich,Arthur J, "Small Town in Mass Society: Class, Power and Religion in a Rural Commun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8

      21 Weber, Max, "Religious Rejections of the World and Their Directions in Essays in Soc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58ㄹ

      22 Reichley,A.James, "Religion in American Public Life" Brooking Institution 1985

      23 Marsden,George M, "Religion and American Culture" Harcourt Brace Jovanovich 1990

      24 Casanova, Jose, "Public Religion in the Modern Worl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25 Weber, Max, "Protestant Sects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in Essays in Soc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58ㄷ

      26 Balmer, Randall, "God in the White House: A History - How Faith Shaped the Presidency" Harper One 2008

      27 Marsden,George M, "Fundamentalism and American Culture: The Shaping of Twentieth-Century Evangelicalism 1870-1925" Oxford University Press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yonsang-gwa-Insik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93 1.235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