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다문화사회의 문화적응을 위한 다문화교육으로서 여가스포츠 활용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Leisure Sports as Multicultural Education for Accultur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541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다문화사회와 문화적응
      • Ⅲ. 다문화교육으로서 여가스포츠
      • Ⅳ.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다문화사회와 문화적응
      • Ⅲ. 다문화교육으로서 여가스포츠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휘원, "한국의 다문화사회 형성과 지방정부" 77-96, 2007

      2 권기남, "이주노동자들의 스포츠참가가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46) : 679-690, 2011

      3 최아림, "여가스포츠 참여자들의 여가기능과 심리적 안녕감 관계에서 여가만족과 여가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연구" 한국체육학회 51 (51): 377-386, 2012

      4 "세계여가레크리에이션협회"

      5 김현미, "생활세계의 다문화 교육프로그램 사례연구 및 적용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3, 2008

      6 김홍백, "레저스포츠총론" 형설출판사 2011

      7 김학권, "레저스포츠 참가와 여가만족 및 자아실현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8 김경숙, "독일 스포츠 다문화 교육의 운영 현황 탐색" 한국사회체육학회 36 (36): 11-26, 2009

      9 김우석, "다문화사회 소통 통로로서의 스포츠 : 문화적응 과정에서의 스포츠의 역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10 한용택,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9

      1 강휘원, "한국의 다문화사회 형성과 지방정부" 77-96, 2007

      2 권기남, "이주노동자들의 스포츠참가가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46) : 679-690, 2011

      3 최아림, "여가스포츠 참여자들의 여가기능과 심리적 안녕감 관계에서 여가만족과 여가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연구" 한국체육학회 51 (51): 377-386, 2012

      4 "세계여가레크리에이션협회"

      5 김현미, "생활세계의 다문화 교육프로그램 사례연구 및 적용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3, 2008

      6 김홍백, "레저스포츠총론" 형설출판사 2011

      7 김학권, "레저스포츠 참가와 여가만족 및 자아실현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8 김경숙, "독일 스포츠 다문화 교육의 운영 현황 탐색" 한국사회체육학회 36 (36): 11-26, 2009

      9 김우석, "다문화사회 소통 통로로서의 스포츠 : 문화적응 과정에서의 스포츠의 역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10 한용택,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9

      11 황향희, "다문화가정 여가교육스쿨을 통한 자아정체감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 24 (24): 59-72, 2010

      12 도명학, "다문화 사회와 체육정책의 대응: 스포츠와 새터민의 정서" (103) : 21-25, 2008

      13 권민혁, "다문화 사회와 체육정책의 대응: 다문화사회에서의 체육정책 방향" (103) : 2-8, 2008

      14 김재운, "다문화 가정 자녀의 체육수업 및 스포츠여가활동을 통한 적응과정" 134-163, 2011

      15 이정순, "관광활동,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well-being), 주관적 웰빙 (well-being)의 관계" 한국관광학회 28 (28): 149-172, 2005

      16 Searle, W., "The predic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djustment during cross-cultural transitions" 14 : 1990

      17 Eitzen, D. S., "Sociology of American sport" W.C. Brown 1978

      18 Furnham, A., "Social Difficulty in foreign culture: An empirical analysis of culture shock, In Cultures in contract: Studies in cross-cultural interactions" Peramon 161-198, 1982

      19 Berry, J. W., "Psychology of acculturation, In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Cross-cultural perspectives"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0

      20 Redfield, L., "Memorandum on the Study of Acculturation" 38 : 149-152, 1936

      21 Berry, J. W.,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46 : 5-34, 1997

      22 Suarez-Orozco, M., "Everything you ever Wanted to know about assimilation but were afraid too ask, In The free exercise of culture" Russel Sage Foundation 2001

      23 Beiley, R., "Evalu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ducation , sport and social inclusion" 57 (57): 71-90, 2005

      24 Berry, J. W., "Conceptual Approaches to Acculturation. in Acculturation, In Pamela Balls Organists and Getanrdo Matin" Decade of Behavior 2005

      25 Sport England, "Best value through sport: The value of sport to local authorities" SE 1999

      26 Kenyon, G. S., "Becoming involved in physical active and sport. “A process of socialization”, In Physical activity: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Academic Pross 1973

      27 Ward, C., "Acculturation, In Handbook of intercultural training" Sage 1996

      28 Berry, J. W., "A Psychology of Immigration" 57 : 615-631, 2001

      29 문화체육관광부, "2010 체육백서" 문화체육관광부 2011

      30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이주민 문화향수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0

      31 조현성, "2010 이주민 문화향수실태조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32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6 여가백서" 문화체육관광부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2 0.665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