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조선 明宗대의 정국운영 상황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당시 정치의 궁극적 지향점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당대의 정치가 조선 시대에 미친 영향은 어떠한 것이었는지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76150
2011
Korean
명종 ; 문정왕후 ; 을사사화 ; 유교 ; 왕위 계승 ; Myongjong ; Queen Munjong ; Ulsa sahwa ; Confucianism ; succession to the throne
151
KCI등재
학술저널
89-129(4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조선 明宗대의 정국운영 상황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당시 정치의 궁극적 지향점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당대의 정치가 조선 시대에 미친 영향은 어떠한 것이었는지를 ...
이 글은 조선 明宗대의 정국운영 상황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당시 정치의 궁극적 지향점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당대의 정치가 조선 시대에 미친 영향은 어떠한 것이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명종대의 정치는 선왕들의 잇따른 죽음과 어린 명종의 즉위, 그리고 이를 보좌하기 위한 文定王后의 垂簾聽政으로 시작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명종의 왕위 계승과정에 대한 儒者들의 공공연한 논의가 존재 해왔음이 지적되자 당대의 정치 무대에서는 국왕의 권위가 신료들의 유교적 논리에 속박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를 시작으로 국가 통치 체계의 재정립을 위한 다양한 정치적 논쟁들이 이루어졌다. 명종 초 이러한 정치적 논의는 당대의 현실적 난제들의 극복을 위해 국왕의 권위확보와 왕실의 안정에 무게를 실어주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을사사화와 같은 파행적인 정치 형태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당대의 정치가 성리학적 가치체계로 부터 본질적으로 이탈하였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국왕의 국가 통치 방식이 유교적 질서에 근본적으로 위배된다고 여겨졌을 경우 당대의 유자들은 편당을 초월하여 국왕의 수신과 반성을 촉구하며 그 통치 방식을 비판하였기 때문이다. 명종대의 諸政策은 이처럼 당대 유자들과 반목과 갈등을 겪으며 진행되었던 만큼 당시 사회에 내재해 있던 諸問題에 대해 궁극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당대의 다양한 정치 행위가 그것을 경험한 유자들로 하여금 보다 깊은 성리학적 사유를 필요로 하게하고 더 나아가 국왕의 권위와 유교적 논리를 조화시켜야할 당위성에 대한 자각 또한 가지도록 한 점은 분명하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명종 사후 적통 장자의 부재로 인해 또다시 혼란에 빠질 수 있었던 조선왕조의 상황에서 유자들의 논의가 최소화되고 원만한 계승 과정이 이루어 질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명종대의 정치적 유산이 일정부분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명종대의 정치가 단순한 극단의 역사가 아니라 조선왕조의 지속과 발전에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음은 바로 이러한 점에 연유하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lving into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reign of King Myongjong, this paper examines the political vision of the time and its influence on the Choson dynasty. King Myongjong ascended the throne at an early age due to abrupt demises of the precedin...
Delving into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reign of King Myongjong, this paper examines the political vision of the time and its influence on the Choson dynasty. King Myongjong ascended the throne at an early age due to abrupt demises of the preceding kings and thus, his mother, Queen Munjong, began her regency. At the time, the fact that some Confucian officials had discussed on the king`s accession made the politicians of the court have a debate over whether the king had to concede the right to interpret Confucianism to his officials. The debate was also linked to diverse political discussions on the way to reconstruct the state`s political system. In the beginning of King Myongjong`s reign, a considerable number of politicians argued that royal authority should be secured in order to stabilize the state in confusion. It is true that too much emphasis on the king`s political power often resulted in violent political activities such as Ulsa sahwa. It does not mean, however, the politics in the reign of King Myongjong fundamentally deviated from Confucian logic. Confucians across the state, regardless of their political tendencies, even refused to obey the king`s orders if those were at odds with their Confucian beliefs, encouraging the king`s self-cultivation and self-reflection. Because of the conflict between King Myongjong and Confucians, various political activities in the King Myongjong`s reign could not make fundamental social change and many social problems of the state still survived.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 Confucian officials who had experienced diverse politics of the period felt the need to sophisticate their own Confucian philosophy and to symphonize the king`s political authority and Confucian ideas. The Choson dynasty could have been fallen into confusion again due to the absence of lineal descendants of the royal family, after the demise of King Myongjong. However, it could be said that how Confucians minimized their political arguments at that time and how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was smoothly made were partly influenced by the political inheritance of King Myongjong`s reign. In this aspect, this is why the politics during the period of King Myongjong is not just a history of power struggle but it shows an important meaning in political continuance and development of the Choson dynasty.
일반논문 : 『진심직설(眞心直說)』의 판본 계통과 보조지눌(普照知訥) 찬술설의 출현 배경
일반논문 : 『대동선교고(大東禪敎考)』를 통해 본 정약용의 고대불교사(古代佛敎史) 인식
일반논문 : 원주지역 전기의병의 학문적 배경과 참여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