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농지에 대한 양도소득세의 비과세·감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ax Exemption and Reduction of Capital Gain Tax Towards Farming L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051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der the current capitalism economy system, taxation has the function of instrument for the accomplishing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purposes in addition to the supply of financial earnings, which are the primary function. Among the functions, capital gain tax has performed the function of balance in taxation, and income redistribution between incomes by redeeming some profit of development or unearned income through the speculation of real estate in addition to the essential function of taxation towards capital gain. In addition, government tries to accomplish the policy objective through various taxation support methods (Tax-exemption & reduction).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problems and suggest the revision method through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through the statistical data of governmental relevant agencies and institution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through laws, international and domestic academic books, and published theses and papers in order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by setting the limit in the tax exemption and reduction of farming land among the tex exemption and reduction systems in regard to the 1 household and 1 house, which is a representative system of tax exemption and reduction in the capital gain tax, and the subsistence farming land.
      Recently, the import of foreign agricultural and stockbreeding products is increasing as a result of expansion of agricultural product market opening in our agriculture environment, and in order to cope with it, the method to secure the competitive power is demanded, and it is a situation that the rapid change of rural society is made due to the ageing population, and the increase of female population, and the leaving phenomenon of rural area.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roblems and suggest the revision method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we should create shock absorbing demand to prevent the drop of farm land price, which can be caused by the increase of leaving population, and the reduction of farm land by the ageing phenomenon as a result of the market opening of agricultural products, foster the development of rural area by attracting the urban capital and population into the rural area, and alleviate the tax exemption and reduction system to the farm land for the advancement of specialty product and the size of agricultural corporation through the committed farming.
      There are revision methods to the tax exemption and reduction of capital gain tax are as followings:
      First, the regulation of residential and farming scope should be alleviated under the standard of administration district rather than limiting the location of farming land or adjacent place. Second, recently the available amount of the tax reduction in the farm land gradually has decreased and thereby, the problem, aggravating the taxation burden and confusion of farmers, was occurred by appointing the tax of capital gain tax with real dealing amount from 2007 and causing the increase of capital gain taxation standard.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standard of assessment due to the price increasing rate and the taxation of real dealing price amount under the standard of point of time, of which available tax reduction amount is established, the tax reduction amount should be elevated. Third, with the amendment of regulation in regard to the scope of subsistence farming, there are some cases that not be admitted as subsistence farming in the spouse's farming, so that the amendment is required and the cultivation by proxy or committed farming should be regarded as subsistence farming when the subsistence farming of farm owner is impossible with the long term hospitalization, nursing, or rehabilitation training due to illness or accident. Fourth, the taxation support method to the substitute land is changed from the tax exemption into the reduction, but the funds of substitute land decreased in the taxation of capital gain tax towards the substitute land of subsistence farming and it can cause the problem; the reduction of agriculture size because of the reduction of acquired farm land. Therefore, the available amount of tax reduction of Capital Gain Tax towards the substitute land of subsistence farming should be eliminated and tax exemption for the whole amount should be applied.
      Considering the fairness of taxation, the tax exemption and reduction system should be operated as small size. Accordingly, it is a reality that there are arguments about the abolishment of tax exemption system for the 1 household and 1 house.
      In addition, under the circumstance of the controversy about the comparatively excessive support of the agricultural sector, the fact that tax exemption and reduction of Capital Gain Tax towards the farm land should be expanded can be pointed out as an inverse discrimination towards other industries and sectors. However, agriculture sector is the part to be protected and supported by the national policy in the socially tolerable level. In the level of keeping the public interest of agriculture, agriculture should be protected and cultivated and the competitive power should be needed in preparation for the opening of an era.
      번역하기

      Under the current capitalism economy system, taxation has the function of instrument for the accomplishing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purposes in addition to the supply of financial earnings, which are the primary function. Among the function...

      Under the current capitalism economy system, taxation has the function of instrument for the accomplishing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purposes in addition to the supply of financial earnings, which are the primary function. Among the functions, capital gain tax has performed the function of balance in taxation, and income redistribution between incomes by redeeming some profit of development or unearned income through the speculation of real estate in addition to the essential function of taxation towards capital gain. In addition, government tries to accomplish the policy objective through various taxation support methods (Tax-exemption & reduction).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problems and suggest the revision method through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through the statistical data of governmental relevant agencies and institution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through laws, international and domestic academic books, and published theses and papers in order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by setting the limit in the tax exemption and reduction of farming land among the tex exemption and reduction systems in regard to the 1 household and 1 house, which is a representative system of tax exemption and reduction in the capital gain tax, and the subsistence farming land.
      Recently, the import of foreign agricultural and stockbreeding products is increasing as a result of expansion of agricultural product market opening in our agriculture environment, and in order to cope with it, the method to secure the competitive power is demanded, and it is a situation that the rapid change of rural society is made due to the ageing population, and the increase of female population, and the leaving phenomenon of rural area.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roblems and suggest the revision method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we should create shock absorbing demand to prevent the drop of farm land price, which can be caused by the increase of leaving population, and the reduction of farm land by the ageing phenomenon as a result of the market opening of agricultural products, foster the development of rural area by attracting the urban capital and population into the rural area, and alleviate the tax exemption and reduction system to the farm land for the advancement of specialty product and the size of agricultural corporation through the committed farming.
      There are revision methods to the tax exemption and reduction of capital gain tax are as followings:
      First, the regulation of residential and farming scope should be alleviated under the standard of administration district rather than limiting the location of farming land or adjacent place. Second, recently the available amount of the tax reduction in the farm land gradually has decreased and thereby, the problem, aggravating the taxation burden and confusion of farmers, was occurred by appointing the tax of capital gain tax with real dealing amount from 2007 and causing the increase of capital gain taxation standard.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standard of assessment due to the price increasing rate and the taxation of real dealing price amount under the standard of point of time, of which available tax reduction amount is established, the tax reduction amount should be elevated. Third, with the amendment of regulation in regard to the scope of subsistence farming, there are some cases that not be admitted as subsistence farming in the spouse's farming, so that the amendment is required and the cultivation by proxy or committed farming should be regarded as subsistence farming when the subsistence farming of farm owner is impossible with the long term hospitalization, nursing, or rehabilitation training due to illness or accident. Fourth, the taxation support method to the substitute land is changed from the tax exemption into the reduction, but the funds of substitute land decreased in the taxation of capital gain tax towards the substitute land of subsistence farming and it can cause the problem; the reduction of agriculture size because of the reduction of acquired farm land. Therefore, the available amount of tax reduction of Capital Gain Tax towards the substitute land of subsistence farming should be eliminated and tax exemption for the whole amount should be applied.
      Considering the fairness of taxation, the tax exemption and reduction system should be operated as small size. Accordingly, it is a reality that there are arguments about the abolishment of tax exemption system for the 1 household and 1 house.
      In addition, under the circumstance of the controversy about the comparatively excessive support of the agricultural sector, the fact that tax exemption and reduction of Capital Gain Tax towards the farm land should be expanded can be pointed out as an inverse discrimination towards other industries and sectors. However, agriculture sector is the part to be protected and supported by the national policy in the socially tolerable level. In the level of keeping the public interest of agriculture, agriculture should be protected and cultivated and the competitive power should be needed in preparation for the opening of an er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자본주의 경제체제하에서의 조세는 본래의 기능인 재정수입조달이라는 기능 외에 사회·경제·정치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그중 양도소득세는 자본이득에 대한 과세라는 본질적인 기능 이외에 부동산 투기로 인한 불로소득이나 개발이익의 일부를 환수하여 소득 간 과세 형평과 소득재분배의 기능을 수행하여 왔다. 또한 다양한 조세 지원(비과세·감면제도)을 통해 정부의 정책목표를 달성하려고 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양도소득세에 있어서 비과세·감면의 대표적인 제도인 1세대 1주택에 대한 비과세 제도와 자경농지에 대한 비과세·감면 제도 중에서, 농지의 비과세·감면 제도에 한정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현황을 분석할 목적으로, 각종 법령, 국내외 관련 학술서적과 이미 발표된 논문 등을 통한 문헌연구를 기초로 하고, 정부관계기관과 연구소의 통계자료 등을 통한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조세의 비과세·감면제도는 조세 일반론의 원칙적인 측면에서 보면 조세의 공평성, 중립성을 침해하고 간소성을 저해한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농업의 측면에서 보면 반드시 조세론의 원칙적인 측면만을 고수하여 판단할 것이 아니라, 조세의 또 다른 측면인 사회·경제·정치적인 부분에서 검토되어야 한다는 논리에서 접근하였다.
      최근 우리 농업환경은 각국과의 FTA 체결 등 농산물의 개방이 확대되고, 농촌의 고령화, 부녀화 및 탈농화 등으로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이에 대응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민에게도 일정한 경우에는 농지를 소유할 수 있도록 하여 농산물 시장개방에 따른 탈농인구의 증가, 고령화로 인한 농지수요 감소 등으로 야기될 수 있는 농지가격의 급락을 막는 완충수요를 창출하고, 도시 자본과 인구의 농촌 유입으로 농촌 개발이 활성화되며, 위탁영농을 통해 전업농이나 농업법인의 규모화 진전 등을 이룰 수 있도록 농지에 대한 비과세·감면제도를 완화하여야 한다는 시각에서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농지에 대한 양도소득세의 비과세·감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거주 및 경작 범위를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농지소재지나 연접지로 제한할 것이 아니라 이를 완화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둘째, 최근 농지감면의 한도액이 점차 감소하였는데, 2007년부터는 양도소득세를 실지거래가액으로 과세함으로써 오히려 양도소득 과세표준이 급증하여 농업인들로 하여금 혼란과 과세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감면 한도액이 제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물가상승율과 실지거래가액 과세로 인한 과표상승률 등을 감안하여 감면액을 상향 조정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자경범위에 대한 규정의 개정으로 동일세대원인 배우자가 경작한 경우에도 자경으로 인정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개정이 필요하다고 보았고, 농지의 소유주가 질병이나 사고를 당하여 장기 입원·요양 또는 재활 훈련으로 자경이 불가능한 경우 대리경작이나 위탁영농은 자경으로 보아야 한다고 보았다. 넷째, 농지대토에 대한 조세 지원 방식이 비과세에서 감면으로 변경되었으나 자경대토에 대한 양도소득세의 과세는 대토할 수 있는 자금이 줄어들고 대체 취득하는 농지가 감소하게 되어 농업규모가 축소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자경대토에 대한 양도소득세 감면한도를 폐지하고 전액 비과세 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조세의 공평성 측면에서 보면 비과세·감면제도는 가능한 한 소규모로 운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1세대 1주택의 비과세제도에 대한 폐지의 주장도 많은 것이 현실이다.
      또한 농업부문에 대한 과다한 지원이 논란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농지의 양도소득세 비과세·감면을 더욱 확대하여야 한다는 것은 다른 산업이나 타업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 대해 역차별하는 것으로 지적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용인 되는 수준에서 국가 정책적으로 보호되고 지원하여야 할 부문은 존재한다. 그 중 한 부문이 농업 관련 분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농업의 공익적 기능이 유지될 수 있는 수준에서 농업은 보호되고 육성되어야 하며 개방화 시대에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도 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현대 자본주의 경제체제하에서의 조세는 본래의 기능인 재정수입조달이라는 기능 외에 사회·경제·정치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그중 양도소득세는 자본...

      현대 자본주의 경제체제하에서의 조세는 본래의 기능인 재정수입조달이라는 기능 외에 사회·경제·정치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그중 양도소득세는 자본이득에 대한 과세라는 본질적인 기능 이외에 부동산 투기로 인한 불로소득이나 개발이익의 일부를 환수하여 소득 간 과세 형평과 소득재분배의 기능을 수행하여 왔다. 또한 다양한 조세 지원(비과세·감면제도)을 통해 정부의 정책목표를 달성하려고 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양도소득세에 있어서 비과세·감면의 대표적인 제도인 1세대 1주택에 대한 비과세 제도와 자경농지에 대한 비과세·감면 제도 중에서, 농지의 비과세·감면 제도에 한정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현황을 분석할 목적으로, 각종 법령, 국내외 관련 학술서적과 이미 발표된 논문 등을 통한 문헌연구를 기초로 하고, 정부관계기관과 연구소의 통계자료 등을 통한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조세의 비과세·감면제도는 조세 일반론의 원칙적인 측면에서 보면 조세의 공평성, 중립성을 침해하고 간소성을 저해한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농업의 측면에서 보면 반드시 조세론의 원칙적인 측면만을 고수하여 판단할 것이 아니라, 조세의 또 다른 측면인 사회·경제·정치적인 부분에서 검토되어야 한다는 논리에서 접근하였다.
      최근 우리 농업환경은 각국과의 FTA 체결 등 농산물의 개방이 확대되고, 농촌의 고령화, 부녀화 및 탈농화 등으로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이에 대응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민에게도 일정한 경우에는 농지를 소유할 수 있도록 하여 농산물 시장개방에 따른 탈농인구의 증가, 고령화로 인한 농지수요 감소 등으로 야기될 수 있는 농지가격의 급락을 막는 완충수요를 창출하고, 도시 자본과 인구의 농촌 유입으로 농촌 개발이 활성화되며, 위탁영농을 통해 전업농이나 농업법인의 규모화 진전 등을 이룰 수 있도록 농지에 대한 비과세·감면제도를 완화하여야 한다는 시각에서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농지에 대한 양도소득세의 비과세·감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거주 및 경작 범위를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농지소재지나 연접지로 제한할 것이 아니라 이를 완화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둘째, 최근 농지감면의 한도액이 점차 감소하였는데, 2007년부터는 양도소득세를 실지거래가액으로 과세함으로써 오히려 양도소득 과세표준이 급증하여 농업인들로 하여금 혼란과 과세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감면 한도액이 제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물가상승율과 실지거래가액 과세로 인한 과표상승률 등을 감안하여 감면액을 상향 조정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자경범위에 대한 규정의 개정으로 동일세대원인 배우자가 경작한 경우에도 자경으로 인정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개정이 필요하다고 보았고, 농지의 소유주가 질병이나 사고를 당하여 장기 입원·요양 또는 재활 훈련으로 자경이 불가능한 경우 대리경작이나 위탁영농은 자경으로 보아야 한다고 보았다. 넷째, 농지대토에 대한 조세 지원 방식이 비과세에서 감면으로 변경되었으나 자경대토에 대한 양도소득세의 과세는 대토할 수 있는 자금이 줄어들고 대체 취득하는 농지가 감소하게 되어 농업규모가 축소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자경대토에 대한 양도소득세 감면한도를 폐지하고 전액 비과세 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조세의 공평성 측면에서 보면 비과세·감면제도는 가능한 한 소규모로 운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1세대 1주택의 비과세제도에 대한 폐지의 주장도 많은 것이 현실이다.
      또한 농업부문에 대한 과다한 지원이 논란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농지의 양도소득세 비과세·감면을 더욱 확대하여야 한다는 것은 다른 산업이나 타업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 대해 역차별하는 것으로 지적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용인 되는 수준에서 국가 정책적으로 보호되고 지원하여야 할 부문은 존재한다. 그 중 한 부문이 농업 관련 분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농업의 공익적 기능이 유지될 수 있는 수준에서 농업은 보호되고 육성되어야 하며 개방화 시대에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도 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 3. 선행연구 검토 = 3
      • Ⅱ. 양도소득세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 = 5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 3. 선행연구 검토 = 3
      • Ⅱ. 양도소득세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 = 5
      • 1. 양도소득에 대한 과세이론 = 5
      • 1) 과세소득이론 = 5
      • (1) 소득원천설 = 5
      • (2) 순자산증가설 = 6
      • (3) 우리나라 소득세법 입장 = 7
      • 2) 자본이득에 관한 과세 이론 = 8
      • (1) 자본이득의 실현주의 = 9
      • (2) 실현주의의 문제 = 9
      • 3) 양도소득세의 경제적 효과 = 10
      • (1) 동결효과 = 10
      • (2) 자원배분에 미치는 효과 = 11
      • (3) 소득재분배에 미치는 영향 = 11
      • (4) 투기억제효과와 가격안정효과 = 11
      • (5) 토지가격에 미치는 효과 = 12
      • 2. 외국의 자본이득과세에 대한 고찰 = 13
      • 1) 소득과세유형 = 13
      • (1) 종합과세형 = 13
      • (2) 분류과세형 = 13
      • (3) 독립세목형 = 14
      • (4) 비과세형 = 14
      • 2) 외국의 자본이득세제 = 14
      • (1) 미국 = 14
      • (2) 일본 = 16
      • (3) 영국 = 19
      • (4) 독일 = 20
      • (5) 프랑스 = 21
      • (6) 비교 대상국의 자본이득과세 개요 비교 = 23
      • Ⅲ 우리나라의 양도소득세제 = 26
      • 1. 양도소득세제의 도입취지 및 변천과정 = 26
      • 1) 양도소득세의 도입 취지 = 26
      • 2) 양도소득세제의 변천과정 = 26
      • (1) 양도소득세 관련 법률의 개편 현황 = 26
      • (2) 8.31 부동산 종합대책의 양도소득세 관련 내용 = 28
      • 2. 우리나라의 양도소득세제 = 31
      • 1) 양도소득세의 의의 = 31
      • 2) 양도의 개념 = 31
      • 3) 과세대상 및 납세의무자 = 32
      • 4) 양도 및 취득의 시기 = 33
      • (1) 원칙 = 33
      • (2) 예외 = 34
      • (3) 취득시기의 특칙 = 34
      • 5) 양도소득의 산정 방식 = 34
      • 6) 과세표준 및 세율 = 35
      • 7) 비과세와 감면 = 39
      • 3. 양도소득세 과세 실태분석 = 41
      • 1) 양도소득세의 과세실태 분석 = 41
      • 2) 양도소득세 비과세·감면 실태 분석 = 45
      • Ⅳ. 농지에 대한 양도소득세 비과세·감면 = 47
      • 1. 조세의 비과세·감면에 대한 이론적 고찰 = 47
      • 1) 조세지원의 대상과 필요성 = 47
      • 2) 조세지원의 장·단점 = 49
      • (1) 장점 = 49
      • (2) 단점 = 49
      • 3) 조세지원의 방법 = 50
      • 4) 우리나라의 조세지원제도 및 현황 = 51
      • (1) 조세지원제도의 변천 = 51
      • (2) 조세지출예산제도의 도입 = 52
      • 2. 농지의 양도소득세 비과세·감면 = 55
      • 1) 농지의 교환 또는 분합의 비과세 = 55
      • (1) 농지의 교환 및 분합의 정의 = 55
      • (2) 교환 또는 분합의 비과세 범위 = 55
      • 2) 자경농지에 대한 양도소득세의 감면 = 56
      • (1) 자경농지의 감면 요건 = 56
      • (2) 자경기간의 계산 = 60
      • 3) 농지대토에 대한 양도소득세의 감면 = 63
      • (1) 농지대토의 감면 요건 = 63
      • (2) 농지대토로 보는 경우 = 64
      • (3) 농지대토로 보지 아니한 경우 = 66
      • (4) 기타 = 68
      • 4) 기타 농지 등에 대한 감면 = 68
      • (1) 영농조합법인에 농지 등을 현물출자 함에 따른 감면 = 68
      • (2) 영농조합법인에 부동산을 현물 출자시 이월과세 = 69
      • (3) 농업회사법인에 농지 등을 현물출자시 면제 = 69
      • (4) 농업회사법인에 부동산을 현물 출자시 이월과세 = 69
      • 5) 조세특례제한 = 69
      • (1) 양도소득세 감면의 종합한도제 = 69
      • (2) 중복지원의 배제 = 71
      • 3. 농지의 비과세·감면 실태 분석 = 72
      • 1) 기능별 국세감면 실태분석 = 72
      • 2) 농어민 분야의 조세감면 실태 분석 = 74
      • 4. 농지의 비과세·감면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 75
      • 1) 조세론의 측면에서 본 문제점 = 75
      • (1) 조세부담의 공평성 침해 = 75
      • (2) 조세부담의 중립성 저해 = 77
      • (3) 조세부담의 간소성 침해 = 78
      • 2) 거주 및 경작범위의 축소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 79
      • (1) 문제점 = 79
      • (2) 개선방안 = 80
      • 3) 농지감면 한도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81
      • (1) 문제점 = 81
      • (2) 개선방안 = 82
      • 4) 자경 범위 및 기간 계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82
      • (1) 문제점 = 82
      • (2) 개선방안 = 83
      • 5) 농지대토에 대한 감면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83
      • (1) 문제점 = 83
      • (2) 개선방안 = 84
      • Ⅴ. 결론 = 85
      • 참고문헌 = 88
      • 영문초록 = 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