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문법교육 내용에 제시된`문법`과 `활동`에 대해 고찰하고 문법교육 내용의 바람직한 개선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우선 본질적 특성에 따라, 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03020
2017
Korean
문법교육 내용 ; 구조주의 문법 ; 기능주의 문법 ; 활동 ; 사용역 ; grammar education content ; structural grammar ; functional grammar ; activities ; register
810.5
KCI등재
학술저널
81-113(3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문법교육 내용에 제시된`문법`과 `활동`에 대해 고찰하고 문법교육 내용의 바람직한 개선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우선 본질적 특성에 따라, 문...
이 글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문법교육 내용에 제시된`문법`과 `활동`에 대해 고찰하고 문법교육 내용의 바람직한 개선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우선 본질적 특성에 따라, 문법교육 내용으로서의 `문법`은 어문규범 지식, 구조주의 문법, 기능주의 문법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문법교육 내용으로서의 `활동`은 이해 활동, 탐구 활동, 규범적 사용 활동, 생산적 사용 활동, 태도 형성 활동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문법의 사용` 측면에서 교육 내용을 고찰한 결과, 텍스트 층위의 의미·기능 중심 문법을 강조하면서도 구조주의 문법 중심으로 교육 내용이 구조화되었고, 구조주의 문법을 `생산적 사용 활동`에 적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내용으로서의 `문법`을 `생산적 사용 활동`에 직접 연결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문제를 선결해야 한다. 첫째, 모어 화자의 언어사용 과정에서 문법이 담당하는 역할을 인지적으로 규명해야 한다. 둘째, 기능적 관점에서 새롭게 기술된 기능주의 문법의 개발이 시급하다. 기능주의 문법의 조건은 의사소통 단위의 의미·기능 중심으로, 구조주의 문법 체계의 틀에서 벗어나, 사용역 및 장르별 언어변이를 말뭉치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기술한 것이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grammar education content that is stated as the standar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Meanwhile, the perspectives and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have altered practically and productively. Analyzing th...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grammar education content that is stated as the standar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Meanwhile, the perspectives and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have altered practically and productively.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 was revealed structural grammar was the primary portion of grammar education content and was applied to productive activities.
Moreover, this study indicated two problems regarding this content and proposed some solutions. First, in order to relate structural grammar with productive activities, the role of grammar in native speakers` cognitive use of language needs to be investigated. Second, given the urgent need for functional grammar in the social perspectives, functional grammar needs to be described by communication units as well as genre characteristics by employing the corpus analysis method.
이주자 내러티브를 둘러싼 사회적 역할의 지정과 정당화의 문제-다문화 현장 연구에서의 관점들에 대하여-
융합적 문화콘텐츠 구축을 위한 고전문학연구의 확장가능성-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