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업지구는 남북경제공동체를 완성하기 위한 디딤돌로서, 남북경협의 시금석으로 상징되는 대표적 사례이다. 개성공업지구는 2000년 착공하여 2005년 업체들의 입주가 시작되어다가 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11701
2018
-
36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97-216(2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개성공업지구는 남북경제공동체를 완성하기 위한 디딤돌로서, 남북경협의 시금석으로 상징되는 대표적 사례이다. 개성공업지구는 2000년 착공하여 2005년 업체들의 입주가 시작되어다가 중...
개성공업지구는 남북경제공동체를 완성하기 위한 디딤돌로서, 남북경협의 시금석으로 상징되는 대표적 사례이다. 개성공업지구는 2000년 착공하여 2005년 업체들의 입주가 시작되어다가 중단과 재개가 반복되다가 북한의 4차 핵실험 등으로 인해 2016년 2월 10일 전면 중단되었다. 현재 대북경협사업재개는 UN안보리제재와 미국의 독자제재 등으로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기존의 논의되었던 제재 우회 방안 역시 사실상 의미를 잃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여건상 남북교류가 교착상태에 빠진 상황이라고 할지라도, 북한의 비핵화에 진전등으로 가까운 시일 내에 남북경협이 재개될 여지가 있다. 남북경협이 재개된다면 상징성과 성과, 기대 등을 고려할 때 그 시작은 개성공업지구가 될 것은 자명하다. 그동안 개성공업지구 법제 연구는 상당부분 진행이 되었으나 개성공업지구의 부동산을 중심으로 한 법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개성공업지구의 부동산 관련 규정을 중심으로 향후 개성공업지구 재개에 따른 법제 개선사항을 고찰하였다. 주요 개선사항으로 토지이용권에 관한 사항, 집합건물의 관리규정, 부동산평가 방법 마련, 부동산공시제도, 기타 개성공업지구 법제화 제고 방안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aesong Industrial Complex is considered as the symbol of a touchstone economic cooperation and a stepping stone to the standards for completing the North-South economic community The construction of the Gaesong Industrial Complex started in 2000...
The Gaesong Industrial Complex is considered as the symbol of a touchstone economic cooperation and a stepping stone to the standards for completing the North-South economic community The construction of the Gaesong
Industrial Complex started in 2000. Since then, their relationship has continued to be on-again, off-again, and was completely suspended on February 10, 2016 due to North Korea s fourth nuclear test.
The resumption of the economic cooperation project with North Korea is virtually impossible due to The Security Council voted unanimously Saturday to punish Pyongyang for firing missiles and U.S. sanctions. so several options are being discussed is lost the meaning. However, even under the current environment, even if inter-Korean exchanges seems to be in a stalemate,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will be reconvene the peaceful negotiations due to North Korea s progress toward denuclearization. All the while Legislation research in the Gaesong Industrial Area has progressed considerably, but the research on the legislation centering on real estate in the Gaesong Industrial Area has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This paper consider the legal matters to be improved with the resumption of the Gaesong Industrial Area, focusing mainly on the provisions on real estate in the Gaesong Industrial Area. Major important matter included
matters concerning the right to use land, provisions for the management of collective buildings, creation of a real estate valuation method, and other measures to improve legislation in Gaesong Industrial Are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명순, "통일대비 북한지역의 토지공시제도 개편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2016
2 심민석, "통일경제특구 조성과 활성화를 위한 입법방안 연구" 한국부동산법학회 22 (22): 85-122, 2018
3 문흥안, "북한살림집법을 통해 본 북한부동산시장의 변화와 통일시 시사점" 한국비교사법학회 24 (24): 725-770, 2017
4 법무부, "북한 개성공업지구법 분석" 2003
5 김광일, "부동산에 대한 통계적 연구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방법론적 문제" 과학백과사전출판사 (3) : 2007
6 박원일, "개성공업지구내 댐보활용방안 연구" 6 : 2003
7 법무부, "개성공업지구 토지이용권 보호방안연구" 문중인쇄 2008
8 유욱, "개성공업지구 지원에 관한 법률’의 시행과 향후 보완과제" 북한법연구회 2007
9 김영규, "개성공업지구 부동산 규정이 북한 부동산법제에 미친 영향" 국토연구원 90 : 21-36, 2016
10 정상현, "개성공업지구 내 집합건물의 등기방안 및 관리준칙 수립" 개성공업지구사업지원단 2009
1 최명순, "통일대비 북한지역의 토지공시제도 개편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2016
2 심민석, "통일경제특구 조성과 활성화를 위한 입법방안 연구" 한국부동산법학회 22 (22): 85-122, 2018
3 문흥안, "북한살림집법을 통해 본 북한부동산시장의 변화와 통일시 시사점" 한국비교사법학회 24 (24): 725-770, 2017
4 법무부, "북한 개성공업지구법 분석" 2003
5 김광일, "부동산에 대한 통계적 연구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방법론적 문제" 과학백과사전출판사 (3) : 2007
6 박원일, "개성공업지구내 댐보활용방안 연구" 6 : 2003
7 법무부, "개성공업지구 토지이용권 보호방안연구" 문중인쇄 2008
8 유욱, "개성공업지구 지원에 관한 법률’의 시행과 향후 보완과제" 북한법연구회 2007
9 김영규, "개성공업지구 부동산 규정이 북한 부동산법제에 미친 영향" 국토연구원 90 : 21-36, 2016
10 정상현, "개성공업지구 내 집합건물의 등기방안 및 관리준칙 수립" 개성공업지구사업지원단 2009
11 박정원, "개성공단의 행정법 규율과 법제정비" 2010
12 박정원, "개성공단의 법제 인프라구축을 위한 거버넌스 확충" 서울국제법연구원 15 (15): 117-147, 2008
13 통일부, "개성공단 실증분석을 통한 남북경제협력 방안 모색" 2017
14 법무법인 태평양, "개성공단 법체계 분석 및 합리적 운영방향 연구" 2014
15 허련, "개성공단 개발사업의 성과와 함의" 대한지리학회 46 (46): 518-533, 2011
16 통일부 개선공단사업지원단, "개성공단 5년"
17 김상용, "北韓에서의 土地利用權의 設定과 流動化 - 開城工業地區의 土地利用權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18 (18): 1-55, 2008
18 박정원, "‘개성공단’의 법제도 개선 과제 - 국제화와 관련하여 -" 법학연구소 27 (27): 51-88,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