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찬경과 그의 영문학 연구 = Seong Chan-gyeong and his Treatises on English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43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성찬경 시 연구에서 그동안 거의 논의 되지 않은 그의 영문학 논문들을 검토함으로써 성찬경 시론 형성의 비밀을 밝혀보고자 한다. 딜런 토머스는 작시 상 많은 이미지를 활...

      이 논문에서는 성찬경 시 연구에서 그동안 거의 논의 되지 않은 그의 영문학 논문들을 검토함으로써 성찬경 시론 형성의 비밀을 밝혀보고자 한다.
      딜런 토머스는 작시 상 많은 이미지를 활용하고, 이미지들을 변증법적으로 확장하는 방식을 취한다. 그는 이미지에 많은 에너지를 투입하여 시적 밀도를 높이고자 한다. 성찬경은 토머스의 이미지들이 막대한 에너지의 투입이 필요한 시 자체의 ‘기구’와 같은 것에 의해 점점 확장해간다고 본다. 그 ‘기구’ 같은 것을 성찬경은 ‘밀핵’이라는 조어로 구체화한다.
      성찬경의 ‘반투명’이라는 개념은 윌리엄 블레이크의 ‘상상력’에서 착안한 것이다. 블레이크에게 상상력이란 하느님의 존재, 영원성을 느끼게 해주는 정신적인 감각이다. 상상력이야말로 유한한 인간이 신을 느낄 수 있게 하는 매개라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상상력은 블레이크에게 예수 그리스도였다. 성찬경은 이 상상력 개념을 ‘반투명’으로 바꾸어 부른다. 그의 그리스도에 대한 희구로서 ‘반투명’은 1980년대의 정치적 상황과도 겹쳐서 읽어볼 만한 지점이 있다.
      성찬경의 ‘요소시’는 의미의 밀도를 추구한 ‘밀핵시론’을 형태상의 밀도 추구로 혁신하고자 한 시도이다. ‘밀핵시’와 ‘요소시’를 그가 연속선상에서 파악할 수 있었던 것은 제라드 맨리 홉킨스의 일기에서 발견한 어휘들의 나열 덕택이었다. 홉킨스의 어휘들은 가공하지 않은 질료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아름다울 수 있다는 점을 성찬경에게 알려주었다. 또 일상 회화와 작성된 산문의 중간 형태의 리듬인 홉킨스의 돌발 리듬을 성찬경은 ‘우주율’이라는 조어로 변형하여 수용한다.
      성찬경의 영문학 논문들은 이 복잡한 창작 개념들을 한데 묶어 자기만의 시적 체계를 세우려고 한 그의 강한 지성과 의지의 편린들을 담고 있거니와, 그의 시와 시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영문학 논문들을 검토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찬경, "토머스 시의 본질" 10 : 64-66, 1964

      2 설태수, "철학적 서정성의 깊이와 보편성" 67-, 2006

      3 성찬경, "제4차 구술채록문: 1960~70년대의 문학 활동과 시 세계, In 원로문인 구술채록사업(시리즈 번호 109)"

      4 성찬경, "영혼의 눈 육체의 눈" 고려원 1986

      5 김태환, "쓰이지 않는 도구의 시학 - 성찬경의 밀핵시에 관한 고찰" 한국문학연구학회 (59) : 475-507, 2016

      6 김우창, "시에 있어서의 지성" (봄) : 57-, 1967

      7 강위석, "성찬경시집『화형둔주곡』" 12 (12): 35-, 1967

      8 성찬경, "반투명" 서문당 1984

      9 성찬경, "밀핵시론" 조선문학사 2014

      10 윤호병, "문학의 파르마콘" 국학자료원 114-118, 1998

      1 성찬경, "토머스 시의 본질" 10 : 64-66, 1964

      2 설태수, "철학적 서정성의 깊이와 보편성" 67-, 2006

      3 성찬경, "제4차 구술채록문: 1960~70년대의 문학 활동과 시 세계, In 원로문인 구술채록사업(시리즈 번호 109)"

      4 성찬경, "영혼의 눈 육체의 눈" 고려원 1986

      5 김태환, "쓰이지 않는 도구의 시학 - 성찬경의 밀핵시에 관한 고찰" 한국문학연구학회 (59) : 475-507, 2016

      6 김우창, "시에 있어서의 지성" (봄) : 57-, 1967

      7 강위석, "성찬경시집『화형둔주곡』" 12 (12): 35-, 1967

      8 성찬경, "반투명" 서문당 1984

      9 성찬경, "밀핵시론" 조선문학사 2014

      10 윤호병, "문학의 파르마콘" 국학자료원 114-118, 1998

      11 성찬경, "논 위를 달리는 두 대의 그림자 버스" 문학세계사 2005

      12 김우창, "松韻 성찬경 시세계의 재발견" 프란치스코출판사 17-, 2016

      13 장인수, "‘밀핵’, ‘반투명’, ‘우주율’, 그리고 자아의 형상 - 성찬경의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영주어문학회 35 : 359-380, 2017

      14 성찬경, "William Blake考―특히 그의 Imagination을 중심으로" 한국영어영문학회 28 (28): 1982

      15 성찬경, "Gerard Manley Hopkins 연구" (5․6) : 1977

      16 김현, "52인 시집" 신구문화사 448-, 1968

      17 성찬경, "52인 시집" 신구문화사 487-, 196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879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