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판 단축형 하나님 이미지 척도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Korean Brief Version of God's Image Sca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946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단축형 하나님 이미지 척도(KBGI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는 Lawrence의 하나님의 이미지 척도를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검증하여 단축형을 도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탐색적 요인 분석에서, 원래의 하나님의 이미지 척도에서 제시된 6가지 요인과 비교하여, 5가지 요인(응답하시는 하나님, 수용하시는 하나님, 자비하신 하나님, 임재하시는 하나님, 양육하시는 하나님)이 도출되었다. 확인적 요인 분석에서는 5가지 요인의 모델이 대체 모델과 비교하여 적절한 모델 적합도를 가졌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KBGIS는 영적 안녕감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수렴 타당도를 입증하였으며, 원래 척도의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성경적 상담에서 하나님 이미지 척도의 활용방안을 함께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단축형 하나님 이미지 척도(KBGI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는 Lawrence의 하나님의 이미지 척도를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단축형 하나님 이미지 척도(KBGI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는 Lawrence의 하나님의 이미지 척도를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검증하여 단축형을 도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탐색적 요인 분석에서, 원래의 하나님의 이미지 척도에서 제시된 6가지 요인과 비교하여, 5가지 요인(응답하시는 하나님, 수용하시는 하나님, 자비하신 하나님, 임재하시는 하나님, 양육하시는 하나님)이 도출되었다. 확인적 요인 분석에서는 5가지 요인의 모델이 대체 모델과 비교하여 적절한 모델 적합도를 가졌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KBGIS는 영적 안녕감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수렴 타당도를 입증하였으며, 원래 척도의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성경적 상담에서 하나님 이미지 척도의 활용방안을 함께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Brief Version of the Biblical God's Image Scale (KBGIS).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the study validated Lawrence's God's Image Scale by conduct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During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ive factors (Answering, Accepting, Benevolent, Presenting, and Nurturing God) were identified through parallel analysis, in comparison to the six factors of the original God's Image Scale. I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five-factor model demonstrated a proper model fit when compared to an alternative model. Furthermore, the KBGIS exhibited convergent validity by confirming its correlation with spiritual well-being. Moreover, it appropriately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scale.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were made for utilizing the God Image Scale in biblical counsel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Brief Version of the Biblical God's Image Scale (KBGIS).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the study validated Lawrence's God's Image Scale by conduct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 confirmat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Brief Version of the Biblical God's Image Scale (KBGIS).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the study validated Lawrence's God's Image Scale by conduct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During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ive factors (Answering, Accepting, Benevolent, Presenting, and Nurturing God) were identified through parallel analysis, in comparison to the six factors of the original God's Image Scale. I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five-factor model demonstrated a proper model fit when compared to an alternative model. Furthermore, the KBGIS exhibited convergent validity by confirming its correlation with spiritual well-being. Moreover, it appropriately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scale.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were made for utilizing the God Image Scale in biblical counseli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