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행정 구역상 수도권이지만 아직 도시화가 시작되지 않은 농촌 지역인 Y시의 C구에 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과거 진로 교육의 부재를 아쉬워하던 본 연구자의 과거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650052
청주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협동과정 진로진학상담전공 , 2023. 2
2023
한국어
371.42 판사항(22)
충청북도
A Narrative Inquiry on Career-Related School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v, 116 p ; 26 cm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이건남
참고문헌 : p. 97-107
I804:43012-00000004031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행정 구역상 수도권이지만 아직 도시화가 시작되지 않은 농촌 지역인 Y시의 C구에 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과거 진로 교육의 부재를 아쉬워하던 본 연구자의 과거를 ...
본 연구는 행정 구역상 수도권이지만 아직 도시화가 시작되지 않은 농촌 지역인 Y시의 C구에 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과거 진로 교육의 부재를 아쉬워하던 본 연구자의 과거를 떠올리며 현 중학생들은 학교 진로 교육을 통해 어떤 진로 경험을 하고 있고, 그러한 진로 활동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세 명의 연구 참여자들은 총 5차례에 걸친 심층 면담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들의 경험과 생각에 관한 질문을 받았다. 이 연구를 통해 중학생의 학교 진로경험에 대한 다음의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교 진로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진로 교육 경험을 했다. 둘째,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진로 발달을 경험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교 진로 활동을 통해 점차 자신의 길을 찾아가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좀 더 경험하기를 바라는 프로그램은 진학 분야와 신생 직업군에 관한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선, 중학교의 진로 교육 경험은 체험 위주와 실무 경험 위주로 대폭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집단 및 학급별 진로 교육과 같은 획일적인 단체 진로활동보다는 개인별·소그룹별·학생별 맞춤형 진로 교육의 횟수를 좀 더 늘려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더불어, 중학교에서도 진학상담과 진학지도가 강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제언으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 진로 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와 각 프로그램 실시 후 변화된 결과에 대한 양적 연구를 제안했다. 그리고 중학생들에게 좀 더 효과적이고 유의미한 진로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한 연구를 필요성을 피력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