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철기 이범석 장군의 군인정신에 관한 고찰 (청산리 전투에서 보여준 군인정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General Lee Beom-seok’s Military Spirit (Focusing on the military spirit shown in the Battle of Cheongsan-r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916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산리전투의 영웅’이자 ‘국군건설의 아버지’, ‘애국애족 무인 정신의 상징’ 철기 이범석(1900∼1972) 장군의 군인정신에 관한 글이다. 연구 중점은 그의 생애 중 중국으로 ...

      본 연구는 ‘청산리전투의 영웅’이자 ‘국군건설의 아버지’, ‘애국애족 무인 정신의 상징’ 철기 이범석(1900∼1972) 장군의 군인정신에 관한 글이다. 연구 중점은 그의 생애 중 중국으로 망명(16세)하기 전 민족의식과 항일무장투쟁의식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이후 청산리전투에서 직접 지휘관으로 참가하여 보여준 군인정신(개인적 차원의 가치관)이 어떻게 발현되었는지를 조망해 보고, 그것이 한국군에게 주는 함의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암담하고 암울한 시기에 중국으로 망명한 이범석 장군이 청산리 전투(백운평·천수평·어랑촌 전투)에서 보여준 군인정신은 오늘을 살아가는 국군장병들에게 많은 교훈을 준다. 첫째, 이범석은 항일무장투쟁 준비와 청산리전투에서 백병전을 치르면서 구차하게 안일을 추구하지 않았다(명예). 둘째, 이범석은 조국 독립을 위해 진실된 마음과 신념으로 상관(김좌진 장군)에 대한 충성과 조국에 대한 충성, 나아가 자신의 행동과 선택을 통해 헌신하는 자신에 대한 충성을 보여주었다(투철한 충성심).
      셋째, 이범석은 전투현장에서 지휘관으로서 비록 열세한 전력에도 불구하고 한발 물러섬이 없이 두려움을 극복하고 백병전까지 펼치면서 진두지휘함으로서 전투에서 대승할 수 있었다(진정한 용기, 필승의 신념, 임전무퇴의 정신, 책임완수). 넷째, 이범석은 전투 현장에서 지휘관으로서 자기의 희생과 헌신을 전제로 한 애국애민의 정신이 가슴속 깊이 내재해 있었기에 청산리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애국애민). 이범석 장군이 2일간 약 36시간 동안 청산리 전투에서 보여준 진정한 군인정신은 오늘을 살아가는 국군장병들의 표상이자 본보기로서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그리고 그의 군인정신에 대한 장병 정신교육을 통해 정신전력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military spirit of General Lee Beom-seok (1900-1972), the ‘hero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the ‘father of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army’ and the ‘symbol of the patriotic military spirit’. The focus of t...

      This study is about the military spirit of General Lee Beom-seok (1900-1972), the ‘hero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the ‘father of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army’ and the ‘symbol of the patriotic military spirit’. The focus of the study is how his national consciousness and sense of anti-Japanese armed struggle were formed before he defected to China (at the age of 16), and how the military spirit (personal values) that he showed by directly participating as a commander in the Battle of Cheongsanri was expressed. I would like to take a look at it and present its implications for the Korean military.
      The military spirit that General Lee Beom-seok, who defected to China during a dark and gloomy time, showed in the Battle of Cheongsanri (Battles of Baekwoon-pyeong, Cheonsu-pyeong, and Eorangchon) offers many lessons to South Korean soldiers living today. First, Beom-seok Lee did not pursue complacency (honor) while preparing for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nd fighting in close combat at the Battle of Cheongsanri. Second, Lee Beom-seok showed loyalty to his superior (General Kim Jwa-jin) and his country with a sincere heart and belief for the independence of his country, and further, loyalty to himself through his actions and choices (utter loyalty). Third, as a commander at the battlefield, Lee Beom-seok was able to win the battle by overcoming fear and leading the way in close combat without taking a step back, despite his inferior strength (true courage, belief in sure victory, spirit of never giving up, responsibility). completed). Fourth, Lee Beom-seok was able to win the Battle of Cheongsanri because the spirit of patriotism and love for the people, which presupposed self-sacrifice and dedication as a commander at the battlefield, was deeply embedded in his heart.
      The true military spirit that General Lee Beom-seok showed during the Battle of Cheongsanri for about 36 hours over two days is not lacking as a symbol and example for the soldiers of the ROK Armed Forces living today. And I hope that his military spir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further strengthen his mental strength through mental education for soldie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