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간 내부 장애음의 통시적 탈락과 첨가 = On the Diachronic Deletion and Insertion of Obstru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627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 of ‘nasal+obstruent’ and ‘nasal’. By an interrogative sentence my aims can be summarized: Was ‘nasal+obstruent’ made by adding ‘obstruent’ at ‘nasal’? Otherwise was ‘nasal’ made by deleting ‘obstruent’ at ‘nasal+obstruent’? In other words, the verification of the rationality of addition and deletion of ‘nasal+obstruent: nasal’ is aims of this study, especially, ‘beolsseo’(“already”) and ‘meonjeo’(“formerly”). In ‘beolsseo’, there are rooms for reconsideration at etymology. Dialectally, the absence of obstruent is incontestably the characteristics of dialects of western-Korean, but there is obstruent in dialectal form of ‘beolsseo’ in western-Korean, especially Jeonnam subdialect. So in contrast of ‘meonjeo’, ‘beolsseo’ needs to be reconsidered at etymological view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 of ‘nasal+obstruent’ and ‘nasal’. By an interrogative sentence my aims can be summarized: Was ‘nasal+obstruent’ made by adding ‘obstruent’ at ‘nasal’? Otherwise was ‘nasal’ made by ...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 of ‘nasal+obstruent’ and ‘nasal’. By an interrogative sentence my aims can be summarized: Was ‘nasal+obstruent’ made by adding ‘obstruent’ at ‘nasal’? Otherwise was ‘nasal’ made by deleting ‘obstruent’ at ‘nasal+obstruent’? In other words, the verification of the rationality of addition and deletion of ‘nasal+obstruent: nasal’ is aims of this study, especially, ‘beolsseo’(“already”) and ‘meonjeo’(“formerly”). In ‘beolsseo’, there are rooms for reconsideration at etymology. Dialectally, the absence of obstruent is incontestably the characteristics of dialects of western-Korean, but there is obstruent in dialectal form of ‘beolsseo’ in western-Korean, especially Jeonnam subdialect. So in contrast of ‘meonjeo’, ‘beolsseo’ needs to be reconsidered at etymological view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이른바 쌍형어의 두 어형 중 어느 것이 구형 혹은 신형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을 세우고 이 판별 기준에 따라 장애음의 유무에서만 차이를 보이는 두 어형의 신․구형 판별을 시도하되, 특히 ‘벌써’와 ‘먼저’의 관련 형태들이 장애음의 통시적 탈락 및 첨가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논의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먼저’의 관련 형태들과는 달리 ‘벌써’의 관련 형태들은, 장애음의 유무에서만 차이를 보이는 형태로 알려져 있는 기존의 어휘들과는 다른 존재일 가능성이 있음을 알게 된다. 즉 방언형을 포함한 ‘벌써’의 관련 형태들 중 장애음을 가진 쪽과 가지지 않은 쪽의 양쪽은 어원적으로 그 구성이 다른 것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일 가능성을 말하게 되는데, 이런 추론에는 방언형의 분포가 그 한 근거로 제시된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이른바 쌍형어의 두 어형 중 어느 것이 구형 혹은 신형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을 세우고 이 판별 기준에 따라 장애음의 유무에서만 차이를 보이는 두 어형의 신․구형 판별...

      본고에서는 이른바 쌍형어의 두 어형 중 어느 것이 구형 혹은 신형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을 세우고 이 판별 기준에 따라 장애음의 유무에서만 차이를 보이는 두 어형의 신․구형 판별을 시도하되, 특히 ‘벌써’와 ‘먼저’의 관련 형태들이 장애음의 통시적 탈락 및 첨가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논의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먼저’의 관련 형태들과는 달리 ‘벌써’의 관련 형태들은, 장애음의 유무에서만 차이를 보이는 형태로 알려져 있는 기존의 어휘들과는 다른 존재일 가능성이 있음을 알게 된다. 즉 방언형을 포함한 ‘벌써’의 관련 형태들 중 장애음을 가진 쪽과 가지지 않은 쪽의 양쪽은 어원적으로 그 구성이 다른 것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일 가능성을 말하게 되는데, 이런 추론에는 방언형의 분포가 그 한 근거로 제시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劉昌惇, "李朝語辭典" 延世大學校 出版部 1964

      2 裵大溫, "吏讀文法素의 通時的 硏究" 경상대학교출판부 2002

      3 洪允杓, "女小學 解題, In 女小學" 弘文閣 1-5, 1990

      4 이상억, "한국어 체언의 음변화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5 소신애, "파찰음 앞 /ㄴ/ 삽입 현상에 관하여" 국어국문학회 (154) : 5-32, 2010

      6 박진호, "중세국어의 부사 파생 접미사 ‘-뎌/려/다/라’에 대하여" 형태론 5 (5): 23-30, 2003

      7 이현희, "중세․근대국어 형태론의 몇 문제" 서울대학교출판부 139-155, 2002

      8 이상억, "조선시대 한국어 용언의 음변화 연구" 박이정 2008

      9 이기갑, "전라남도의 언어지리" 塔出版社 1986

      10 이상신, "전남 방언 ‘머크-’와 ‘멍크-’에 대한 통시적 연구 - 중세국어의 ‘머추-’, 중부방언의 ‘멈추-’와의 대비를 통해" 국어국문학회 0 (0): 39-64, 2008

      1 劉昌惇, "李朝語辭典" 延世大學校 出版部 1964

      2 裵大溫, "吏讀文法素의 通時的 硏究" 경상대학교출판부 2002

      3 洪允杓, "女小學 解題, In 女小學" 弘文閣 1-5, 1990

      4 이상억, "한국어 체언의 음변화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5 소신애, "파찰음 앞 /ㄴ/ 삽입 현상에 관하여" 국어국문학회 (154) : 5-32, 2010

      6 박진호, "중세국어의 부사 파생 접미사 ‘-뎌/려/다/라’에 대하여" 형태론 5 (5): 23-30, 2003

      7 이현희, "중세․근대국어 형태론의 몇 문제" 서울대학교출판부 139-155, 2002

      8 이상억, "조선시대 한국어 용언의 음변화 연구" 박이정 2008

      9 이기갑, "전라남도의 언어지리" 塔出版社 1986

      10 이상신, "전남 방언 ‘머크-’와 ‘멍크-’에 대한 통시적 연구 - 중세국어의 ‘머추-’, 중부방언의 ‘멈추-’와의 대비를 통해" 국어국문학회 0 (0): 39-64, 2008

      11 장세경, "이두자료 읽기 사전"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1

      12 김민수, "우리말 語源辭典" 태학사 1997

      13 박홍길, "어휘 변화의 원인별 연구" 한국문화사 1998

      14 민현식, "부사의 어원 몇 가지, In 蘭臺 李應百博士 古稀紀念論文集" 한샘 703-714, 1992

      15 신승용, "문학 속의 경상 방언" 글누림 2010

      16 최전승, "국어사와 국어방언사와의 만남" 역락 출판사 17-66, 2009

      17 김태곤, "국어 어휘의 통시적 연구" 박이정 2008

      18 최전승, "국어 방언사에서 원순모음화 현상의 내적 발달과 개별 방언 어휘적 특질, In 한국어 방언의 공시적 구조와 통시적 변화" 역락 143-194, 2004

      19 김주석, "경주 속담․말 사전" 한국문화사 2001

      20 崔鶴根, "韓國方言辞典" 玄文社 1978

      21 金亨奎, "韓國方言硏究" 서울大學校出版部 1974

      22 李浩權, "釋譜詳節의 國語學的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23 杉山豊, "近代 韓國語의 副詞 ‘셔’의 意味․用法에 對하여 – 漢語 老乞大 ․ 朴通事 諺解類의 原文과 諺解文의 對照를 通하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역락 6 : 151-167, 2009

      24 李基文, "語源 硏究의 뒤안길, In 韓國語硏究 9" 韓國語硏究會 25-111, 2012

      25 劉昌惇, "語彙史 硏究" 宣明文化社 1971

      26 金完鎭, "母音調和의 例外에 대한 硏究" 서울大學校 韓國文化硏究所 6 : 1-22, 1985

      27 小倉進平, "朝鮮語方言の硏究 上卷" 岩波書店 1944

      28 南廣祐, "敎學 古語辭典" 敎學社 1997

      29 全哲雄, "忠北方言의 單語 變遷史" 보고사 1999

      30 韓相仁, "大明律直解 吏讀의 語學的 硏究" 충남대학교 1993

      31 許雄, "國語音韻論" 正音社 1957

      32 李基文, "國語音韻史硏究" 塔出版社 1997

      33 李基文, "國語 語彙史의 한 側面, In 國語 語彙史 硏究" 東亞出版社 33-42, 1991

      34 鄭源石, "咸興地方方言集" 한국 어린이 문화 연구소 2010

      35 安秉禧, "十五世紀 國語의 活用語幹에 對한 形態論的 硏究" 塔出版社 1978

      36 李基文, "動詞 語幹 「앉-, 엱-」의 史的 考察, In 陶南 趙潤濟博士 回甲紀念論文集" 事業會 341-350, 1964

      3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단행본] 한국방언자료집"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5

      38 김이협, "[단행본] 평북방언사전"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1

      39 이상규, "[단행본] 경북방언사전" 태학사 2000

      40 김 현, "15세기 국어 자음연쇄에 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6 1.32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