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VR, 메타버스 등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 과정 운영 활성화를 위한 정책추진과제 탐색 - 초·중·고 교사 및 VR교육콘텐츠 개발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Priorities of Policy Implementation Tasks for Revitalizing VR educational courses -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teachers and VR education content develop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704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최근 VR, 메타버스 등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이 디지털 전환 정책을 기반으로 인프라를 확충하고, 학교 현장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보다 더 실행적인 정책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국내 VR콘텐츠를 활용한 교육과정 활성화를 위해 교육 현장에서 우선적으로 해소되어야할 문제점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실감형 콘텐츠 활용 교육을 수행해본 초·중·고 교사들과 VR교육콘텐츠 개발사를 대상으로 정책과제 우선순위 분석을 실시한 결과, VR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요구, 실감형 교육 ‘인프라 지원’ 및 ‘콘텐츠 기술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정책과제로 분석되었다. 반면 ‘교육체계구축’이나 ‘제도개선’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관심도를 보였으나, 두 집단 모두 하위항목인 ‘표준교과 과정개발’과 ‘맞춤형 교육콘텐츠 개발’에 주목하고 있어 인프라와 전문인력이 확충된 후에는 이에 대한 필요성이대두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정책과제 우선순위 분석 결과는 최근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의현장 적합성 검토’, ‘디지털 기반 수업 혁신 선도 교사 양성’ 등 미래교육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정책에대한 타당성 및 실행 방안의 근거로 논의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특히 VR. 메타버스 등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은 점차 공연, 음악, 미디어 아트 등 예술 분야로 확장해나가고 있어 VR교육콘텐츠를 활용한 교육과정 운영 활성화 정책은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최근 VR, 메타버스 등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이 디지털 전환 정책을 기반으로 인프라를 확충하고, 학교 현장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보다 더 실행적인 정책으로 나아...

      본 연구에서는 최근 VR, 메타버스 등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이 디지털 전환 정책을 기반으로 인프라를 확충하고, 학교 현장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보다 더 실행적인 정책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국내 VR콘텐츠를 활용한 교육과정 활성화를 위해 교육 현장에서 우선적으로 해소되어야할 문제점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실감형 콘텐츠 활용 교육을 수행해본 초·중·고 교사들과 VR교육콘텐츠 개발사를 대상으로 정책과제 우선순위 분석을 실시한 결과, VR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요구, 실감형 교육 ‘인프라 지원’ 및 ‘콘텐츠 기술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정책과제로 분석되었다. 반면 ‘교육체계구축’이나 ‘제도개선’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관심도를 보였으나, 두 집단 모두 하위항목인 ‘표준교과 과정개발’과 ‘맞춤형 교육콘텐츠 개발’에 주목하고 있어 인프라와 전문인력이 확충된 후에는 이에 대한 필요성이대두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정책과제 우선순위 분석 결과는 최근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의현장 적합성 검토’, ‘디지털 기반 수업 혁신 선도 교사 양성’ 등 미래교육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정책에대한 타당성 및 실행 방안의 근거로 논의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특히 VR. 메타버스 등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은 점차 공연, 음악, 미디어 아트 등 예술 분야로 확장해나가고 있어 VR교육콘텐츠를 활용한 교육과정 운영 활성화 정책은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education utilizing immersive content such as VR and metaverse is expanding infrastructure based on digital transformation policy and moving toward more practical policies that can utilize this in schools. In order to activate the curriculum using VR content, we sought to explore issues that need to be resolved first in the educational field.
      Results of AHP analysis target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ho have implemented immersive content-based education and VR education content developers, the need for ‘training professional personnel’ to implement VR education, ‘infrastructure support’ for immersive education, and ‘content technology development’ were analyzed as relatively important policy tasks.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y showed relatively low interest in the areas of ‘education system establishment’ and ‘system improvement,’ both groups are paying attention to the sub-items of ‘standard curriculum development’ and ‘customized education content development,’ so it can be expected that the need for these will arise after the infrastructure and professional manpower are expanded.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can be discussed as the basis for the validity and implementation plans of policies currently being promoted as part of future education, such as ‘Review of the Field Suita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Digital Textbooks’ and ‘Training of Teachers Leading Digital-Based Class Innovation.’ In particular, education utilizing immersive content such as VR and metaverse is gradually expanding into the fields of arts such as performance, music, and media art, so it is judged that policies to activate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courses utilizing VR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continuously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education utilizing immersive content such as VR and metaverse is expanding infrastructure based on digital transformation policy and moving toward more practical policies that can utilize this in schools. In order ...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education utilizing immersive content such as VR and metaverse is expanding infrastructure based on digital transformation policy and moving toward more practical policies that can utilize this in schools. In order to activate the curriculum using VR content, we sought to explore issues that need to be resolved first in the educational field.
      Results of AHP analysis target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ho have implemented immersive content-based education and VR education content developers, the need for ‘training professional personnel’ to implement VR education, ‘infrastructure support’ for immersive education, and ‘content technology development’ were analyzed as relatively important policy tasks.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y showed relatively low interest in the areas of ‘education system establishment’ and ‘system improvement,’ both groups are paying attention to the sub-items of ‘standard curriculum development’ and ‘customized education content development,’ so it can be expected that the need for these will arise after the infrastructure and professional manpower are expanded.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can be discussed as the basis for the validity and implementation plans of policies currently being promoted as part of future education, such as ‘Review of the Field Suita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Digital Textbooks’ and ‘Training of Teachers Leading Digital-Based Class Innovation.’ In particular, education utilizing immersive content such as VR and metaverse is gradually expanding into the fields of arts such as performance, music, and media art, so it is judged that policies to activate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courses utilizing VR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continuously discuss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