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원 강사의 일자리 요인이 고용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노동시장의 이중화 이론을 중심으로 - = The Effect of Tutoring Center Instructors' Job Factors on Employment Insecurity -Focusing on the Dual Labor Market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14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utoring center instructors' job factors on employment insecurity. To this end, an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employment insecurity of tutoring center instructors based on the dual l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utoring center instructors' job factors on employment insecurity. To this end, an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employment insecurity of tutoring center instructors based on the dual labor market theory by conducting a survey.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was performed with 215 tutoring center instructors with more than one year of teaching experience.
      The results of analyzing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earch subjects' employment insecurity according to their personal factors, whil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depending on their professional experience and lecture subjects. Second, the job factors of th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were found to affect their employment insecurity: employment insecurity was higher in instructors with a lower wage, those working at a smaller institution, and those without employment insurance. In other words, tutoring center instructors who work at a small institute for a low wage without social benefits such as employment insurance show higher employment insecurity. This indicates that the dual structure of the job market is also applied to the occupational group of tutoring center instru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utoring center instructors working at smaller institutions for a lower wage and to provide expanded employment insurance programs for tutoring cent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원 강사의 일자리 요인이 고용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노동시장의 이중화 이론을 중심으로 학원 강사의 고용불안정성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본 연구는 학원 강사의 일자리 요인이 고용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노동시장의 이중화 이론을 중심으로 학원 강사의 고용불안정성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학원 강사의 고용불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일자리 요인들을 탐색하였고,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력 1년 이상의 학원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215명)를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원 강사의 개인적 요인과 고용불안정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학원 강사 경력과 강의 과목에 따른 고용불안정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원 강사의 일자리 요인은 고용불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저임금일수록, 학원 규모가 작을수록, 고용보험에 미가입되어 있을 때 고용불안정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소규모 학원에서 저임금을 받고 근무하는, 고용보험과 같은 사회보험에서 배제되는 경우 학원 강사의 고용불안정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고용시장의 이중화 구조가 학원 강사 직군에도 적용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특히 소규모 학원에서 저임금으로 근무하는 학원 강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학원 대상으로 고용보험 가입 확대 노력 등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재완 ; 이형룡, "호텔 직원의 직무불안정성과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성과의 관계:사내 동호회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2 (22): 59-78, 2013

      2 박명희, "한국사교육 기업의 해외진출 성공요인 사례연구" 연세대학교 2015

      3 이승윤 ; 백승호 ; 김미경 ; 김윤영, "한국 청년노동시장의 불안정성 분석"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54) : 487-521, 2017

      4 김진욱, "한국 사회보장제도의 확장과 한계: 그 성과와 사각지대의 재조명"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63-93, 2010

      5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학원의 설립ㆍ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법률 법률 제 14164호"

      6 박명희, "학원강사의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신혜경, "학원 강사의 직무환경이 교수효능감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2015

      8 박윤영, "학원 강사의 근로조건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학원 강사와 학원장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06

      9 이지은, "학원 강사들의 보완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0 서효진,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일자리 특성이 사회보험 배제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17

      1 강재완 ; 이형룡, "호텔 직원의 직무불안정성과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성과의 관계:사내 동호회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2 (22): 59-78, 2013

      2 박명희, "한국사교육 기업의 해외진출 성공요인 사례연구" 연세대학교 2015

      3 이승윤 ; 백승호 ; 김미경 ; 김윤영, "한국 청년노동시장의 불안정성 분석"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54) : 487-521, 2017

      4 김진욱, "한국 사회보장제도의 확장과 한계: 그 성과와 사각지대의 재조명"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63-93, 2010

      5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학원의 설립ㆍ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법률 법률 제 14164호"

      6 박명희, "학원강사의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신혜경, "학원 강사의 직무환경이 교수효능감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2015

      8 박윤영, "학원 강사의 근로조건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학원 강사와 학원장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06

      9 이지은, "학원 강사들의 보완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0 서효진,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일자리 특성이 사회보험 배제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17

      1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 직업정보"

      12 김은지, "청년 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납부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개인적 특성과 일자리 특성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7

      13 금란, "청년 임금근로자의 고용보험 가입여부 영향요인: 개인적 특성과 일자리 특성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7

      14 임지연, "직업상담사의 고용불안정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2020

      15 장홍연 ; 고수일 ; 장임원, "직무불안정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소 11 (11): 71-90, 2019

      16 남기섭 ; 유병주, "직무불안정성 지각과 정신적 건강 및 조직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20 (20): 65-85, 2007

      17 김진원,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가 인식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조직공정성이 교사 헌신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2016

      18 윤수인 ; 이홍직, "임금노동자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구사회학적 요인, 좋은 일자리 요인, 일-생활 균형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72 (72): 373-400, 2020

      19 서재욱 ; 김윤태, "이중화와 복지태도: 임금 근로자의 복지태도에 관한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1 (41): 93-121, 2014

      20 이경은 ; 김영국, "외식업근무자의 고용불안이 직무스트레스와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 - 다수준 분석을 적용한 조직지원 풍토의 영향 -" 한국관광학회 34 (34): 111-132, 2010

      21 중앙일보, "온라인 학교수업 들으러, 아이들은 아침9시 학원으로 간다"

      22 동아일보, "엄마 대신 놀아주고 학원서 식사까지… 돌봄의 진화"

      23 서울시 청년일자리허브, "서울지역 학원 강사 근로조건 실태조사" 2014

      24 홍성돈, "비정규직 여성 근로자의 근무 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 : 영어 학원 강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09

      25 박시종, "복지 자본주의의 세 가지 세계"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7

      26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15

      27 김상진, "노동시장의 분절구조가 사회보험배제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3

      28 정이환, "노동시장 유연화와 노동복지" 인간과복지 2003

      29 이재원, "고용불안정성과 조직유효성 간 조절요인에 대한 연구: 조직, 개인, 가정 측면에서" 영남대학교 2020

      30 Esping-Andersen, G,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Polity 1990

      31 Campbell, A.,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 Russell Sage Foundation 1976

      32 Eichhorst, W., "The Age of Dualization: The Changing Face of Inequality in Deindustrializing Socie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33 Peng, I., "The Age of Dualization: The Changing Face of Inequality in Deindustrializing Socie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34 Emmenegger, P., "The Age of Dualization: The Changing Face of Inequality in Deindustrializing Socie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35 Sverke, M., "No security: a meta-analysis and review of job insecurity and its consequences" 7 (7): 242-264, 2002

      36 Greenhalgh, L., "Job insecurity: Toward conceptual clarity" 9 (9): 438-448, 1984

      37 De Witte, H, "Job insecu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exploration of some unresolved issues" 8 : 155-177, 1999

      38 Van Vuuren, C. V., "Individual reactions to job insecurity : An integrated model" 3 : 133-146, 1990

      39 Ashford, S, "Content, causes and consequences of job insecurity: a theory-based measure andsubstantive test" 32 : 803-829, 1989

      40 Heaney, C. A., "Chronic job insecurity among automobile workers: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health" 38 : 1431-1437, 1994

      41 King, J. E., "Aggregation bias in estimates of perceptual agreement" 67 (67): 219-229,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생명문화연구원 -> 생명문화연구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5 0.538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