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물질적 요인과 관계적 요인 = Factors in Adolescent Happiness: Material Factors vs. Relational Fa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99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For this study, data from the 9th year of the Game User Panel Survey of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KOCCA) (2018)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gender and grade level had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happiness. The parents’ standard of living had a significant effect when only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factors were added, but when the familial and social relational factors were added, they no longer affected children’s happiness. Second, children’s religios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but parents’ religios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Third, parents’ happi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Fourth, the adolescent-parent communication as perceived by the adolesc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dolescent’s happiness, but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s perceived by the paren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adolescent’s happiness. Fifth, adolescent’s social capital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religion, communication attitude between parent and child, and social capital with regard to adolescents‘ happines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For this study, data from the 9th year of the Game User Panel Survey of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KOCCA) (2018)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For this study, data from the 9th year of the Game User Panel Survey of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KOCCA) (2018)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gender and grade level had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happiness. The parents’ standard of living had a significant effect when only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factors were added, but when the familial and social relational factors were added, they no longer affected children’s happiness. Second, children’s religios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but parents’ religios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Third, parents’ happi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Fourth, the adolescent-parent communication as perceived by the adolesc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dolescent’s happiness, but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s perceived by the paren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adolescent’s happiness. Fifth, adolescent’s social capital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religion, communication attitude between parent and child, and social capital with regard to adolescents‘ happi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찰하고 그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변수들의 구성은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인구사회학적, 가족적, 사회적 차원으로 구분하고, 물질적 측면과 관계적 측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물질적 측면을 검증하는 변수는 부모의 생활수준으로 상정하였다. 관계적 측면을 검증하는 변수는 종교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사회적 자본과 같은 (대인) 관계 변수들로 구성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이용패널조사 9차년도 (2018) 자료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자녀의 성별과 학년은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생활수준은 인구사회학적 요인만을 투입했을 때는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가족관계 요인과 사회적 관계 요인을 추가하자 유의성을 상실하였다. 자녀의 종교성은 행복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부모의 종교성은 행복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행복은 자녀의 행복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자녀가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은 자녀의 행복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부모가 지각한 자녀와의 의사소통은 자녀의 행복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자녀의 사회적 자본은 행복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종교의 역할,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논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소년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찰하고 그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변수들의 구성은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인구사회학...

      본 연구는 청소년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찰하고 그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변수들의 구성은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인구사회학적, 가족적, 사회적 차원으로 구분하고, 물질적 측면과 관계적 측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물질적 측면을 검증하는 변수는 부모의 생활수준으로 상정하였다. 관계적 측면을 검증하는 변수는 종교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사회적 자본과 같은 (대인) 관계 변수들로 구성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이용패널조사 9차년도 (2018) 자료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자녀의 성별과 학년은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생활수준은 인구사회학적 요인만을 투입했을 때는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가족관계 요인과 사회적 관계 요인을 추가하자 유의성을 상실하였다. 자녀의 종교성은 행복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부모의 종교성은 행복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행복은 자녀의 행복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자녀가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은 자녀의 행복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부모가 지각한 자녀와의 의사소통은 자녀의 행복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자녀의 사회적 자본은 행복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종교의 역할,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논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지 베일런트, "행복의 조건: 하버드대학교, 인생성장보고서" 프런티어 2010

      2 박상규, "행복수업" 학지사 2020

      3 김동기, "행복과 종교적 태도의 개념관계 모형들에 대한 비교 검증"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347-365, 2007

      4 박준성, "한국인의 종교성이 행복, 봉사활동 그리고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종교학회 (64) : 109-135, 2011

      5 전경숙, "한국 청소년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들"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133-153, 2009

      6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399-429, 2009

      7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과 인간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801-836, 2008

      8 김의철,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28, 2006

      9 한소영, "커플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 척도의 개발"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817-836, 2006

      10 김미현, "초등학생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주관적 행복감, 게임중독 간의 구조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71-389, 2019

      1 조지 베일런트, "행복의 조건: 하버드대학교, 인생성장보고서" 프런티어 2010

      2 박상규, "행복수업" 학지사 2020

      3 김동기, "행복과 종교적 태도의 개념관계 모형들에 대한 비교 검증"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347-365, 2007

      4 박준성, "한국인의 종교성이 행복, 봉사활동 그리고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종교학회 (64) : 109-135, 2011

      5 전경숙, "한국 청소년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들"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133-153, 2009

      6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399-429, 2009

      7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과 인간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801-836, 2008

      8 김의철,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28, 2006

      9 한소영, "커플 기본 심리적 욕구 중요성 척도의 개발"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817-836, 2006

      10 김미현, "초등학생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주관적 행복감, 게임중독 간의 구조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71-389, 2019

      11 성은모, "청소년이 행복한 마을 지표개발 및 조성방안 연구 I – 학부모와 청소년의 행복에 대한 기대 차이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12 김희수,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6 (16): 37-65, 2005

      13 김청송, "청소년의 행복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649-665, 2009

      14 전기숙, "청소년의 행복 요인 탐색" 한국청소년학회 23 (23): 411-429, 2016

      15 박소연,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 건강 요인, 일탈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대한스트레스학회 21 (21): 73-84, 2013

      16 김정연, "청소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13 : 171-190, 2008

      17 장지현,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환경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351-364, 2018

      18 최영란,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검증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7) : 5-36, 2018

      19 최희철,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관계성과 삶의 만족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537-558, 2009

      20 김혜원, "청소년의 낙관성과 행복의 관계: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원 42 (42): 277-302, 2016

      21 김의철,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973-1002, 2004

      22 김의철, "청소년과 부모가 지각한 행복과 행복의 조건 및 불행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한국인간발달학회 19 (19): 197-225, 2012

      23 김태준, "청소년 생애 핵심 역량 개발 및 추진 방안 연구: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2008

      24 장휘숙, "청년 심리학" 박영사 2009

      25 백현순,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및 자기격려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26 문은식, "중학생의 심리적 안녕에 관련되는 사회·동기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459-475, 2007

      27 조운희, "종교와 행복- 행복감, 교회몰입 및 구전효과 간의 관계" 한국사회역사학회 18 (18): 111-135, 2015

      28 전성표, "종교와 삶의 만족도 – 불교, 개신교, 천주교 및 무종교인의 생활만족도 비교" 3 (3): 9-38, 2011

      29 김종서, "종교사회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30 주경희, "종교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사회 자본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산업학회 15 (15): 127-134, 2015

      31 김미숙, "종교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 (20): 29-47, 2000

      32 문진영, "이스털린 역설에 대한 연구-만족점의 존재여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53-77, 2012

      33 김혜원,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삶의 질 정도와 설명요인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4 (14): 269-297, 2007

      34 김은경, "앱 세대의 사회적 관계와 행복: 사회적 연결망의 규모와 유형 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9 (29): 275-301, 2018

      35 김연화, "아동의 성격유형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6 류민영, "아동과 청소년의 행복감 모형에 대한 다집단분석" 한국가족관계학회 19 (19): 21-43, 2015

      37 이민아, "소득, 물질주의와 행복의 관계" 한국인구학회 37 (37): 89-114, 2014

      38 한준, "사회적 자본의 국제비교" 10 (10): 14-21, 2007

      39 정은진, "사회적 자본과 행복의 관계에 대한 연구: 긍정적 자아관을 매개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3 (33): 101-117, 2017

      40 이민아, "사회적 연결망의 크기와 우울: U자형 관계와 대인신뢰의 조절효과" 한국사회학회 47 (47): 171-200, 2013

      41 이희숙, "부모의 정서적 지지가 고등학생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 정서지능과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2 황진숙, "부모의 양육태도와 초등학생의 행복감과의 관계 : 강인성의 역할"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3 이혜진,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자아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10) : 85-107, 2013

      44 임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자녀의 행복 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39 (39): 49-59, 2018

      45 서예지, "부모애착,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가족건강성과 학교행복감의 관계"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8

      46 이영숙,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이 청소년 자녀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47 장용희,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청소년 주관적 행복과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37-654, 2018

      48 채경선,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한국효학회 (20) : 159-190, 2014

      49 김윤정,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상에 대한 종단 연구 - 김윤정·권순희(2015) 후속연구 -" 청람어문교육학회 (72) : 241-279, 2019

      50 반신환, "대학생의 종교, 종교성, 윤리의식 및 종교적 대처" 한국종교학회 (34) : 27-42, 2004

      51 이병임, "대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행복이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재교육학회 16 (16): 129-145, 2017

      52 손용진, "노인기의 종교변화에 따른 생활 만족도" 한국노인복지학회 (36) : 183-202, 2007

      53 윌리엄 콤튼, "긍정 심리학 입문" 박학사 2007

      54 황환, "국내 청소년 행복의 영향요인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청소년학회 24 (24): 1-28, 2017

      55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이용자 패널 5차년도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

      56 서재욱, "개인능력, 가족환경, 학교환경 변인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65-292, 2014

      57 류정희, "가톨릭 청년의 종교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 효과 ― 청년을 위한 종교 교육에서 감사가 지니는 함의 ―" 인간학연구소 (17) : 69-106, 2009

      58 한지선, "가족기능 중 부모-자녀의 의사소통 기능이 자녀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자녀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6

      59 한내창, "가정의 종교환경과 자녀의 종교성" 한국종교학회 (40) : 219-244, 2005

      60 Diener, E., "Very Happy People" 13 (13): 81-84, 2002

      61 Deci, E. L.,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11 (11): 227-268, 2000

      62 Helliwell, J. F., "The Social Context of Well-Being" 359 (359): 1435-1446, 2004

      63 Diener, 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 71-75, 1985

      64 Argyle, M., "The Psychology of Happiness" Routledge 2001

      65 Diener, E., "The Oxfor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463-473, 2002

      66 Diener, E., "The Nonobvious Social Psychology of Happiness" 16 (16): 162-167, 2005

      67 Easterlin, R. A., "The Happiness-Income Paradox Revisited" 107 (107): 22463-22468, 2010

      68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55 (55): 34-43, 2000

      69 Lin, N., "Social Capital: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Vol. 1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70 Ellison, C. G., "Religious Involv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32 (32): 80-99, 1991

      71 Delbridge, J., "Religion, Personality, and Mental Health" Springer-Verlag 50-68, 1994

      72 Seligman, M. E. P, "Positive Psychotherapy" 61 (61): 774-788, 2006

      73 Easterlin, R. A., "Nations and Households in Economic Growth: Essays in Honor of Moses Abramovitz" Academic Press 89-125, 1974

      74 Maslow, A., "Motivation and Personality" Harper and Row 1970

      75 Thomas, E. J., "Marital Communication and Decision Making: Analysis, Assessment, and Change" Free Press 1977

      76 Veenhoven, R., "Is Happiness Relative?" 24 (24): 1-34, 1991

      77 Gorsuch, R. L., "Intrinsic/Extrinsic Measurement: I/E-Revised and Single-Item Scales" 28 (28): 348-354, 1991

      78 Duesenberry, J., "Income, Saving and the Theory of Consumer Behaviors" Harvard University Press 1949

      79 Easterlin, R. A., "Feeding the Illusion of Growth and Happiness: A Reply to Hagerty and Veenhoven" 74 (74): 429-443, 2005

      80 Barnes, H. L., "Family Inventories: Inventories Used in a National Survey of Families across the Family Life Cycle"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33-48, 1982

      81 Pollner, M., "Divine Relations, Social relations, and Well-Being" 30 (30): 92-104, 1989

      82 Inglehart, R.,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83 Putnam, R. D.,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6 (6): 223-234, 1995

      84 Diener, E., "Beyond Money: Toward an Economy of Well-being" 5 (5): 1-31, 2004

      85 Ngamaba, K. H., "Ar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Different Across Religious Groups? Exploring Determinants of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57 (57): 2118-2139, 2018

      86 Kirkpatrick, L. A., "An Attachment-Theory Approach Psychology of Religion" 2 (2): 3-28, 1992

      8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년 아동종합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생명문화연구원 -> 생명문화연구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5 0.538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