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화기 일본어 학습서 연구의 경향과 과제 : 연구사 분석을 중심으로 = Research Trend on Textbooks for the Japanese Languag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and Its Future Tasks: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074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研究は、開化期における日本語学習書の発行状況を把握し、日本語学習書研究史を概観したものである。 開化期の日本語学習書は、近代の語学研究の分析対象として活用されていたが、文章および会話文の研究が進むにつれ、日本語教育と関連づけて考察が行われる傾向が見られる。語学的分析においては、主に韓国人著の開化期後期資料が使用されたが、21世紀に入り、日本国会図書館で所蔵している学習書を公開することにより、日本人著書も多様な角度からの考察が行われた。 しかし、研究者の努力にも関わらず日本語学習書について開化期の前期と後期のすべてを包括している研究は存在せず、日本語学習書を通じた日本語教育の目的と意義についてまだ十分な考察はされていない。 今後の研究においては、時期と著者により、日本語教育の目的と意義がどのように変化し、その様子が日本語学習書にどのように現れているかについて明らかにすべきであろう。
      번역하기

      本研究は、開化期における日本語学習書の発行状況を把握し、日本語学習書研究史を概観したものである。 開化期の日本語学習書は、近代の語学ij...

      本研究は、開化期における日本語学習書の発行状況を把握し、日本語学習書研究史を概観したものである。 開化期の日本語学習書は、近代の語学研究の分析対象として活用されていたが、文章および会話文の研究が進むにつれ、日本語教育と関連づけて考察が行われる傾向が見られる。語学的分析においては、主に韓国人著の開化期後期資料が使用されたが、21世紀に入り、日本国会図書館で所蔵している学習書を公開することにより、日本人著書も多様な角度からの考察が行われた。 しかし、研究者の努力にも関わらず日本語学習書について開化期の前期と後期のすべてを包括している研究は存在せず、日本語学習書を通じた日本語教育の目的と意義についてまだ十分な考察はされていない。 今後の研究においては、時期と著者により、日本語教育の目的と意義がどのように変化し、その様子が日本語学習書にどのように現れているかについて明らかにすべきであろう。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extbooks for the Japanese language in this period were utilised as an analytical object of modern research on languages. As research on sentences and conversations became sophisticated, however, more analyses were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Most of linguistic research were initially based on the materials concerning the latter period of the Enlightenment period, produced by Korean scholars. Still, after the books for learners stored in the National Diet Library became open to the public, the materials produced by Japanese scholars wer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Despite researchers’ effort, however, no work was provided that comprehensively analysed both the former and the latter period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Further, no substantive discussion was presented that analysed the objectives and significance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textbooks for the Japanese language. In future research, we need to reveal a shift in objectives and significance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depending on the times and the authors, and also to clarify how they are represented in the textbooks for the Japanese language.
      번역하기

      The textbooks for the Japanese language in this period were utilised as an analytical object of modern research on languages. As research on sentences and conversations became sophisticated, however, more analyses were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

      The textbooks for the Japanese language in this period were utilised as an analytical object of modern research on languages. As research on sentences and conversations became sophisticated, however, more analyses were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Most of linguistic research were initially based on the materials concerning the latter period of the Enlightenment period, produced by Korean scholars. Still, after the books for learners stored in the National Diet Library became open to the public, the materials produced by Japanese scholars wer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Despite researchers’ effort, however, no work was provided that comprehensively analysed both the former and the latter period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Further, no substantive discussion was presented that analysed the objectives and significance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textbooks for the Japanese language. In future research, we need to reveal a shift in objectives and significance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depending on the times and the authors, and also to clarify how they are represented in the textbooks for the Japanese langu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며 2. 개화기 일본어 학습서의 발행 현황 3. 어학적 연구를 위한 개화기 일본어 학습서의 활용 4. 일본어 교육사적 관점에서의 연구 5. 마치며 : 향후의 과제
      • 1. 들어가며 2. 개화기 일본어 학습서의 발행 현황 3. 어학적 연구를 위한 개화기 일본어 학습서의 활용 4. 일본어 교육사적 관점에서의 연구 5. 마치며 : 향후의 과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편무진, "「韓國資料」 의 기초적 연구, 韓國人을 위한 日語學習書를 중심으로/1" 한국일본문화학회 11 : 175-203, 2001

      2 편무진, "일본음 한글 표기의 역사적 고찰" 한국일본문화학회 6 : 223-247, 1999

      3 이윤상, "역사용어 바로쓰기" 역사비평사 89-94, 2006

      4 김민수, "역대한국문법대계 제2부 제26책" 탑출판사 1-340, 1983

      5 김민수, "역대한국문법대계 제2부 제25책" 탑출판사 1-678, 1986

      6 김민수, "역대한국문법대계 제2부 제24책" 탑출판사 1-364, 1977

      7 김민수, "역대한국문법대계 제2부 제23책" 탑출판사 1-214, 1985

      8 박성희, "개화기의 일본어 교과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9 송민, "개화기의 신생한자어 연구(3)"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2 : 1-34, 2003

      10 송민, "개화기의 신생한자어 연구(2)"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1 : 53-95, 2002

      1 편무진, "「韓國資料」 의 기초적 연구, 韓國人을 위한 日語學習書를 중심으로/1" 한국일본문화학회 11 : 175-203, 2001

      2 편무진, "일본음 한글 표기의 역사적 고찰" 한국일본문화학회 6 : 223-247, 1999

      3 이윤상, "역사용어 바로쓰기" 역사비평사 89-94, 2006

      4 김민수, "역대한국문법대계 제2부 제26책" 탑출판사 1-340, 1983

      5 김민수, "역대한국문법대계 제2부 제25책" 탑출판사 1-678, 1986

      6 김민수, "역대한국문법대계 제2부 제24책" 탑출판사 1-364, 1977

      7 김민수, "역대한국문법대계 제2부 제23책" 탑출판사 1-214, 1985

      8 박성희, "개화기의 일본어 교과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9 송민, "개화기의 신생한자어 연구(3)"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2 : 1-34, 2003

      10 송민, "개화기의 신생한자어 연구(2)"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1 : 53-95, 2002

      11 송민, "개화기의 신생한자어 연구(1)"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0 : 33-77, 2001

      12 송민, "개화기 신문명 어휘의 성립과정"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8 : 69-88, 1989

      13 송민, "개화기 국어에 나타나는 신생어와 관용구" 한국현대문학회 201-211, 2007

      14 한중선, "韓國 開化期 日本語 文法用語 硏究" 일본연구소 22 : 85-107, 2007

      15 한중선, "韓國 開化期 日本語 學習書『日話獨習』에 관한 考察" 일본연구소 (74) : 593-612, 2017

      16 황운, "韓国開化期の日本語教育に関する考察 -日本語学習書による日本語教育の成立を中心に-"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175-193, 2017

      17 황운, "韓国開化期の日本語学習書における 母音音注表記に関する考察" 한국일본문화학회 (81) : 133-147, 2019

      18 황운, "韓国開化期の日本語学習書『日語工夫』(1891)に関する考察"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213-230, 2015

      19 황운, "韓国開化期の日本語学習書 『日語捷径』(1895)について" 한국일본문화학회 (78) : 153-168, 2018

      20 黄雲, "韓国開化期における日本語教育に関する考察" 麗澤大学大学院 2016

      21 金義泳, "韓国の日本語教科書に関する研究:高等学校の教科書にみる日本観を中心に" 早稲田大学大学院 2012

      22 金義泳, "開化期の日本語習書にする考察" 동아시아일본학회 (22) : 299-314, 2007

      23 성윤아, "開化期の日本語学習書『独学日語会話』に関する考察" 한국일어교육학회 (28) : 65-84, 2014

      24 한중선, "開化期 日本語 學習書 小考" 한국일어일문학회 25 : 139-168, 1994

      25 한원미, "鄭雲復의 『獨習 日語正則』의 대역문 연구" 글로벌일본연구원 (22) : 439-468, 2014

      26 李漢燮, "近代以降の日韓語彙交流 : 日本人が直接伝えた日本の漢語" 高麗大学グロバール日本研究院 3 : 77-91, 2004

      27 유성민, "獨習日語正則을 통해 본 和製漢語의 수용연구" 단국대학교대학원 2010

      28 송민, "獨習日語正則" 불이문화사 517-630, 2005

      29 山田寛人, "植民地朝鮮における朝鮮語奨励政策:朝鮮語を学んだ日本人" 不二出版 227-240, 2004

      30 이강민, "春園 李光洙의 日本語 學習書 『日語獨學』에 대하여" 한국일본학회 (86) : 89-98, 2011

      31 齊藤明美, "弓場重栄の三つの学習書にみられる日本語について-『簡易捷径日語独学』の日本語を中心に-" 한국일본어학회 (44) : 23-42, 2015

      32 송민, "20세기 초기의 신어" 국립국어원 16 (16): 19-30, 2006

      33 김명주, "20세기 전기 일본어 학습서의 일본어 한글 표기 연구" 한국어문학회 (128) : 1-31, 2015

      34 陳南澤, "1895年刊 「日本語独案内」 について" 岡山大学言語教育センター 11 : 43-54,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3 0.56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