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KTA(5개 중견국협의체) 및 국제기구를 통해 한국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호주는 동북아에 큰 경제적 이해를 가지고 동북아의 안정과 평화에 기여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중국,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06592
2018
Korean
300
학술저널
133-150(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MIKTA(5개 중견국협의체) 및 국제기구를 통해 한국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호주는 동북아에 큰 경제적 이해를 가지고 동북아의 안정과 평화에 기여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중국, ...
MIKTA(5개 중견국협의체) 및 국제기구를 통해 한국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호주는 동북아에 큰 경제적 이해를 가지고 동북아의 안정과 평화에 기여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중국, 일본과 한국이 호주의 최대의 교역대상국으로서 경제적 측면에서 중요성을 지니고 있으며 2014~2015년간에 체결된 FTA를 통해 경제관계는 더욱 증진되고 있다.
중국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호주로부터 광물자원 수입량이 증대하고 호주에 대한 투자도 늘어나며 관광, 교육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호주는 이러한 대외경제관계의 중국 의존심화현상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중국이 남중국해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제기하여 힘의 우위를 비탕으로 한 외교정책의 적극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호주로서는 중국에 대해 경제적 관계를 고려하는 한편으로 중국의 힘을 통한 대외적 팽창에 대해 미국과의 동맹을 기초로 하여 견제하면서 균형을 도모하고 있다.
호주는 북한 핵문제의 해결을 위한 대북한 유엔 제재에도 적극 참여하여 압박정책을 통해 북한의 핵개발 계획을 포기토록 하기 위해 유엔을 중심으로 국제사회와 협력한다.
중국과의 경제관계 증대와 미국과의 동맹사이에서 고민하는 호주의 대외정책을 통해 우리에게 던지는 함의를 살펴본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미국 보호주의정책의 등장과 우리의 대응 - 달러와 금융을 중심으로 -
한·미 통상 관계의 성격과 전망 - 한·미FTA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