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덕유산 구천동계곡에 서식하는 고유종 금강모치 Rhynchocypris kumgangensis의 생태학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24579

      • 저자
      • 발행사항

        전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 생물학과 , 2020. 2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기타서명

        (The) ecological study of the Endemic Korean Fat Minnow, Rhynchocypris kumgangensis (Cyprinidae) in Deogyusan National Park



      • 형태사항

        xi, 71 p.: 삽화, 표; 26 cm

      • 일반주기명

        전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박종영
        참고문헌 : p. 67-71

      • UCI식별코드

        I804:45011-000000050893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금강수계에 서식하는 금강모치(Rhynchocypris kumgangensis) 개체군의 생태 연구를 위하여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구천동계곡(7개 지점)에서 2018년 6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조사하였다. 금강모치는 수심이 0.1~1.5m로 유속(0~0.8㎧)이 느리고 하상이 자갈과 큰돌로 이루어진 소에 주로 서식하였으며, 수온(-0.1~18.4℃)은 낮고 용존산소(8.4~13.6㎎/L)가 풍부하였다.
      조사지점에서 3과 7종이 출현하였고 우점종은 버들치(56.0%), 아우점종은 금강모치(28.3%)였다. 그 중 국내이입종 산천어가 자연번식을 통해 구천동계곡 전역에 분포하였으며, 외래종 무지개송어는 송어장에서 유입되어 깊은 소에 소수 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강모치의 먹이생물은 하루살이목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강도래목, 날도래목, 육상곤충도 함께 확인되었다. 반면에 동소종인 버들치는 날도래목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산천어는 육상곤충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한편, 산천어의 어린 개체에서는 하루살이목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금강모치의 연령은 전장이 35~60㎜는 만 1년생, 60~80㎜는 만 2년생, 80㎜이상은 만 3년생으로 추정되었고 암수 성비(female : male)는 1 : 1.33으로 수컷의 개체수가 암컷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 시기는 5월 중순에서 6월 말경(수온 12.6~14.6℃), 산란 성기는 6월로 추정된다. 포란수는 1,296±272개로 전장에 따라 증가하였고, 난경은 1.35±0.18㎜로 나타났다.
      한강 집단과 계수계측형질을 비교한 결과, 체장 대 등지느러미기점 길이, 체장 대 뒷지느리미기점 길이, 체장 대 배지느러미 기점길이, 체장 대 가슴지느러미 기점길이, 체장 대 미병부 길이, 두장 대 안경 비율에서 금강 집단이 한강 집단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냈고, 체장 대 미병고 길이 비율에서는 금강 집단이 높은 값을 나타냈다.
      번역하기

      금강수계에 서식하는 금강모치(Rhynchocypris kumgangensis) 개체군의 생태 연구를 위하여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구천동계곡(7개 지점)에서 2018년 6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조사하였다. 금강...

      금강수계에 서식하는 금강모치(Rhynchocypris kumgangensis) 개체군의 생태 연구를 위하여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구천동계곡(7개 지점)에서 2018년 6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조사하였다. 금강모치는 수심이 0.1~1.5m로 유속(0~0.8㎧)이 느리고 하상이 자갈과 큰돌로 이루어진 소에 주로 서식하였으며, 수온(-0.1~18.4℃)은 낮고 용존산소(8.4~13.6㎎/L)가 풍부하였다.
      조사지점에서 3과 7종이 출현하였고 우점종은 버들치(56.0%), 아우점종은 금강모치(28.3%)였다. 그 중 국내이입종 산천어가 자연번식을 통해 구천동계곡 전역에 분포하였으며, 외래종 무지개송어는 송어장에서 유입되어 깊은 소에 소수 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강모치의 먹이생물은 하루살이목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강도래목, 날도래목, 육상곤충도 함께 확인되었다. 반면에 동소종인 버들치는 날도래목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산천어는 육상곤충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한편, 산천어의 어린 개체에서는 하루살이목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금강모치의 연령은 전장이 35~60㎜는 만 1년생, 60~80㎜는 만 2년생, 80㎜이상은 만 3년생으로 추정되었고 암수 성비(female : male)는 1 : 1.33으로 수컷의 개체수가 암컷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 시기는 5월 중순에서 6월 말경(수온 12.6~14.6℃), 산란 성기는 6월로 추정된다. 포란수는 1,296±272개로 전장에 따라 증가하였고, 난경은 1.35±0.18㎜로 나타났다.
      한강 집단과 계수계측형질을 비교한 결과, 체장 대 등지느러미기점 길이, 체장 대 뒷지느리미기점 길이, 체장 대 배지느러미 기점길이, 체장 대 가슴지느러미 기점길이, 체장 대 미병부 길이, 두장 대 안경 비율에서 금강 집단이 한강 집단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냈고, 체장 대 미병고 길이 비율에서는 금강 집단이 높은 값을 나타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enus Rhynchocypris of the subfamily Leuciscinae (family Cyprinidae) has been known six species in Korean Peninsula. The studied Rhynchocypris kumgangensis, an endemic species, was widely distributed but now its habit became more restricted due to massive destruction, which led to designation as a protective species or flagship specie nationwide. The fish was examined in Gucheon-dong Valley(Keum River), Samgong-ri, Seolcheon-myeon, Muju-gun, Deogyusan National Park, Jeollabuk-do, Korea from June 2018 to July 2019. This waters have been focused as the southern limit on its geographical distribution. R. kumgangensis inhabited pools consisting of pebbles and cobbles. The water temperature was low(–0.1~18.4℃) and dissolved oxygen was rich(8.4~13.6㎎/L).
      In the investigated site, three families and 7 species appeared sympatrically and R. oxycephalus(56.0%) was dominant, followed by R. kumgangensis(28.3%). Among them,  Oncorhynchus masou masou, an introduced freshwater fish, was distributed throughout Gucheon-dong Valley after being fertilized. O. mykiss known an domestic exotic species was released from a nearby aquatic farm and found with only a small number in deep pools
      R. kumgangensis fed on mainly aquatic insect such as Ephemeroptera, followed by Plecoptera, Trichoptera, Terrestrial insect. The cohabitant, R. oxycephalus and O. masou masou fed on mainly Trichoptera and Terrestrial insect, respectively.
      The total length in this population indicated that 35~60㎜ group is 1 year old, 60~80㎜ group is 2 years old and group over 80㎜ is regarded over 3 years old. The sex ratio of female to male was 1 : 1.31. The spawning season was between mid-May and late June, with water temperature of 12.6~14.6℃ and the peak period was June. The mean number of eggs per gravid female was about 1,296±272, and its egg diameter was 1.35±0.18㎜.
      To make morphological difference, it compared the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two R. kumgangensis populations in Han River and Keum River (Gucheondong Valley). As a result, predorsal length in SL(%), preanal length in SL(%), preventral length in SL(%), prepectoral length in SL(%), caudal peduncle length in SL(%), eye diameter in HL(%) was lower than the Han River population. Meanwhile, the caudal peduncle depth in SL(%) was higher than the Han River population.
      번역하기

      The genus Rhynchocypris of the subfamily Leuciscinae (family Cyprinidae) has been known six species in Korean Peninsula. The studied Rhynchocypris kumgangensis, an endemic species, was widely distributed but now its habit became more restricted due to...

      The genus Rhynchocypris of the subfamily Leuciscinae (family Cyprinidae) has been known six species in Korean Peninsula. The studied Rhynchocypris kumgangensis, an endemic species, was widely distributed but now its habit became more restricted due to massive destruction, which led to designation as a protective species or flagship specie nationwide. The fish was examined in Gucheon-dong Valley(Keum River), Samgong-ri, Seolcheon-myeon, Muju-gun, Deogyusan National Park, Jeollabuk-do, Korea from June 2018 to July 2019. This waters have been focused as the southern limit on its geographical distribution. R. kumgangensis inhabited pools consisting of pebbles and cobbles. The water temperature was low(–0.1~18.4℃) and dissolved oxygen was rich(8.4~13.6㎎/L).
      In the investigated site, three families and 7 species appeared sympatrically and R. oxycephalus(56.0%) was dominant, followed by R. kumgangensis(28.3%). Among them,  Oncorhynchus masou masou, an introduced freshwater fish, was distributed throughout Gucheon-dong Valley after being fertilized. O. mykiss known an domestic exotic species was released from a nearby aquatic farm and found with only a small number in deep pools
      R. kumgangensis fed on mainly aquatic insect such as Ephemeroptera, followed by Plecoptera, Trichoptera, Terrestrial insect. The cohabitant, R. oxycephalus and O. masou masou fed on mainly Trichoptera and Terrestrial insect, respectively.
      The total length in this population indicated that 35~60㎜ group is 1 year old, 60~80㎜ group is 2 years old and group over 80㎜ is regarded over 3 years old. The sex ratio of female to male was 1 : 1.31. The spawning season was between mid-May and late June, with water temperature of 12.6~14.6℃ and the peak period was June. The mean number of eggs per gravid female was about 1,296±272, and its egg diameter was 1.35±0.18㎜.
      To make morphological difference, it compared the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two R. kumgangensis populations in Han River and Keum River (Gucheondong Valley). As a result, predorsal length in SL(%), preanal length in SL(%), preventral length in SL(%), prepectoral length in SL(%), caudal peduncle length in SL(%), eye diameter in HL(%) was lower than the Han River population. Meanwhile, the caudal peduncle depth in SL(%) was higher than the Han River popul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II. 재료 및 방법 3
      • 1. 표본의 채집 3
      • 2. 서식처 환경 3
      • I. 서 론 1
      • II. 재료 및 방법 3
      • 1. 표본의 채집 3
      • 2. 서식처 환경 3
      • 3. 성장도 및 연령추정 5
      • 4. 소화관 내용물 5
      • 5. 산란기 추정 및 산란기 특징 6
      • 6. 계수계측 형질 6
      • III. 결 과 7
      • 1. 금강모치의 형태적 특징 7
      • 2. 서식처 환경 8
      • 1) 미소서식처 8
      • 2) 이화학적 환경 11
      • 3) 동소출현종 13
      • 4) 외래종과 국내이입종의 변화 17
      • 3. 성장도와 연령추정 21
      • 4. 소화관 내용물 24
      • 1) 소화관 내용물 비교 24
      • 2) 계절별 먹이 변화 29
      • 3) 산천어의 성장에 따른 먹이 변화 32
      • 4) 서식처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34
      • 5. 성비 및 산란기 추정 35
      • 1) 성비 35
      • 2) 산란기 추정 36
      • (1) 생식소 성숙도 및 비만도 36
      • (2) 생식소 발달 38
      • ① 난소 38
      • ② 정소 38
      • 3) 산란기 수온과 기온 변화 39
      • 6. 난경 및 포란수 43
      • 7. 계수계측 형질 45
      • IV. 고 찰 51
      • 1. 서식처 환경 51
      • 2. 성장도와 연령추정 52
      • 3. 소화관 내용물 54
      • 1) 금강모치 54
      • 2) 버들치 54
      • 3) 산천어 55
      • 4. 성비 및 산란기 추정 57
      • 5. 난경 및 포란수 59
      • 6. 계수계측 형질 60
      • 7. 서식처 및 종 보전 방안 63
      • 1) 무지개송어와 산천어 포획 63
      • 2) 송어양식장 폐쇄 63
      • 3) 오염원 관리 64
      • 4) 보호구역 지정 64
      • 5) 개체증식 및 방류 64
      • V. 요 약 65
      • VI. 참고문헌 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