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간호사의 골다공증 지식, 건강행위 자기 효능감이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20670

      • 저자
      • 발행사항

        충주 :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GLOCAL) , 2020. 2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12.8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기타서명

        Influence of nurses' osteoporosis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on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 형태사항

        vi, 71 p. : 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명숙
        부록수록: p. 52-69
        참고문헌: p. 45-51

      • UCI식별코드

        I804:11004-200000280872

      • 소장기관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중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골다공증 지식정도 및 건강행위 자기효능감을 파악하고,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골다공증 예방...

      목적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골다공증 지식정도 및 건강행위 자기효능감을 파악하고,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을 통해 골다공증 골절 환자의 이차골절을 예방하고 임상현장에서 간호사들이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서울시, 충청도, 강원도, 경상도에 소재한 종합병원 응급실, 정형외과, 신경외과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고 직접 작성하도록 한 후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골다공증 지식,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골다공증 지식,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의 차이는 t-test, ANOVA, Scheffe's test를 이용하였다. 골다공증 지식,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및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골다공증 지식은 20점 만점에 평균 15.74(±1.48)점,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총점은 120점 만점에 평균 89.78(±11.75)점이며,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 총점은 72점 만점에 평균 49.35(±9.32)점이었다.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은 일반적 특성 중 골다공증 예방교육 경험의 유무(t=-2.990, p=.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골다공증 지식은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r=0.124, p=.131). 건강행위 자기효능감은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538, p<.001).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골다공증 예방교육 유무(B=2.940 p=.034), 건강행위 자기효능감(B=0.404, p<.00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1.5%였다(F=10.941, p<.001).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간호사의 골다공증 예방교육 경험과 건강행위 자기효능감이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골다공증 예방간호행위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골다공증 예방간호 교육과 건강행위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nurses' osteoporosis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on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METHOD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nurses working in emerge...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nurses' osteoporosis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on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METHOD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nurses working in emergency departments, orthopedic and neurosurgery in general hospitals in Seoul, Chungcheong-do, Gangwon-do and Gyeongsang-do.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 WIN 21.0 program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Scheffe's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and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factors affecting osteoporosis prevention nursing performance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steoporosis knowledge averaged 15.74 (±1.48) points out of 20 points, and the total score of self-efficacy of health behaviors averaged 89.78 (± 11.75) points out of 120 points, and 49.35 (± 9.32) out of 72 points on average. The point.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osteoporosis prevention education (t = -2.990, p = .003). Osteoporosis knowledge was not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r = 0.124, p = .131). The self-efficacy of health behavio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steoporosis prevention nursing performance (r = .538, p <.00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education for preventing osteoporosis (B = 2.940 p = .034) and self-efficacy of health behavior (B = 0.404, p <.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in this study was 31.5% (F = 10.941, p <.001).
      CONCLUS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s of osteoporosis prevention education and self-efficacy of health behaviors influenced preventive nursing for osteoporosi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nurses' osteoporosis prevention nursing behavior, it is necessary to provide osteoporosis prevention education and program to improve the self-efficacy of health behaviors for nur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5
      • 3 용어 정의 6
      • II 문헌고찰 8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5
      • 3 용어 정의 6
      • II 문헌고찰 8
      • 1 골다공증 8
      • 2 자기효능감 15
      • 3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 18
      • III 연구 방법 21
      • 1 연구 설계 21
      • 2 연구 대상 22
      • 3 윤리적 고려 23
      • 4 자료수집 방법 24
      • 5 자료분석 방법 25
      • IV 연구결과 26
      • 1 일반적 특성 26
      • 2 골다공증 지식,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의 정도 28
      •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골다공증 지식,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 31
      • 4 골다공증 지식,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의 상관관계 34
      • 5 골다공증 예방간호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 35
      • V 논의 37
      • VI 결론 및 제언 43
      • 1 결론 43
      • 2 제언 44
      • 참 고 문 헌 45
      • 부 록 52
      • ABSTRACT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