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장 사례로 본 공동육아나눔터의 주요 기능과 운영상 문제 및 활성화 조건 = Main Function, Management Difficulties and Activating Conditions of the Cooperative Child Care Sharing Center Based on Field Ca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01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qualitative study focused on the activation of cooperative child care sharing centers'. Eight centers nationwide were selected as example cases in accordance with region (large city, small and medium-sized city, county unit), opening time, opera...

      This qualitative study focused on the activation of cooperative child care sharing centers'. Eight centers nationwide were selected as example cases in accordance with region (large city, small and medium-sized city, county unit), opening time, operating institution, location, full-time care for dual-income children, and participation in the 2020 care community pilot project. Co-researchers visited each center together to observe the site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head of the center or dedicated staff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riangle verification and transcribed : the data were then grouped into 12 categories and 34 subcategories. From this, the following three topics were derived: the main functions, operational difficulties, and activation conditions. In conclusion, four suggestions are made: 1. proper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center, the cooperative childcare sharing center, and the local care communities 2. activation plan through ʻʻsolution of operational difficultiesʼʼ 3. ʻʻextensionʼʼ of the cooperative child care sharing center 4. the role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y Family, local governments, and Family Cent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론에 의한 현장사례연구로서, 공동육아나눔터의 주요 기능과 운영상의 문제 및 활성화 조건을 탐구한 것이다. 지역(대도시·중소도시·군단위), 개소 시기, 운영기�...

      이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론에 의한 현장사례연구로서, 공동육아나눔터의 주요 기능과 운영상의 문제 및 활성화 조건을 탐구한 것이다. 지역(대도시·중소도시·군단위), 개소 시기, 운영기관, 위치, 맞벌이자녀초등전담돌봄 여부, 2020년 돌봄공동체시범사업 참여 여부 등을 고려하여 전국 8지역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공동연구자가 각 센터 현장을 함께 방문하여 센터장 혹은 전담직원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면접자료를 전사하여 34개의 하위범주와 12개의 범주를 구성하고, 공동육아나눔터의 주요기능과 운영상의 어려움 그리고 활성화 조건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주제를 토대로 공동육아나눔터 활성화방안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천, "질적 연구 방법론" 아카데미프레스 2013

      2 유해미, "지역사회 공동육아 활성화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3

      3 김선미, "지역 돌봄 기능 활성화 방안" 여성가족부 2011

      4 김효정, "주거지 육아커뮤니티 강화를 위한 환경적 지원요소"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9

      5 차성란, "제주 지역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실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2 (22): 1-24, 2018

      6 권미경, "정책수요자 중심의 육아문화 정착 방안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6

      7 "여성가족부 내부자료"

      8 "여성가족부 공식블로그"

      9 김숙자, "부모가 주체가 되고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공동육아 실현" 56 : 24-29, 2018

      10 정미정, "공동육아참여 어머니의 공동육아참여효과성과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가야대학교 대학원 2019

      1 김영천, "질적 연구 방법론" 아카데미프레스 2013

      2 유해미, "지역사회 공동육아 활성화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3

      3 김선미, "지역 돌봄 기능 활성화 방안" 여성가족부 2011

      4 김효정, "주거지 육아커뮤니티 강화를 위한 환경적 지원요소"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9

      5 차성란, "제주 지역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실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2 (22): 1-24, 2018

      6 권미경, "정책수요자 중심의 육아문화 정착 방안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6

      7 "여성가족부 내부자료"

      8 "여성가족부 공식블로그"

      9 김숙자, "부모가 주체가 되고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공동육아 실현" 56 : 24-29, 2018

      10 정미정, "공동육아참여 어머니의 공동육아참여효과성과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가야대학교 대학원 2019

      11 이나련, "경기육아나눔터의 매뉴얼 및 발전방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7

      12 차성란,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품앗이 및 공동육아나눔터 사업운영 전략"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 (16): 187-210, 2012

      13 차성란, "가족품앗이 및 공동육아나눔터 성과발굴 및 운영모델개발 연구" 여성가족부 2011

      14 여성가족부, "가족품앗이 및 공동육아나눔터 사업 운영매뉴얼" 2012

      15 여성가족부, "2021년 가족사업안내" 2021

      16 한국건강가정진흥원, "2021 가족센터SOC 컨설팅단워크숍 자료"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외국어명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 of KFRMA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6 1.709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