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후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 :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599796

      • 저자
      • 발행사항

        부천 :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 상담학과 , 2023.2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155.5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perceived by late adolescents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 the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clarity

      • 형태사항

        ix, 90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가톨릭대학교(성심)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수림
        참고문헌 포함

      • UCI식별코드

        I804:41027-200000653336

      • 소장기관
        •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도서관(중앙)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clarity in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late adolescents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f children.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surveys consisting of father and mother psychological control scale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cales, emotional clarity scale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s targeting 461 male and female late adolescents aged 19 to 24 nationwide.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9.0 and PROCESS Macro 4.1 programs, and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was verified by performing bootstrapping.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mother, and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clarity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clarity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 and mother, respectively,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eco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father and mother and the child'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father and mother did not directly affect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ut only indirectly affected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y mediating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mother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child'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emotional clarity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in the case of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while completely mediated in the case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The father and mother psychological control indirectly affected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y mediating emotional clarity, and father psychological control directly affected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Fourth, when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 and mother affec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f childre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clarity were sequentially mediated. This suggests that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 and mother increases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y mediating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clarity in order.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clarity in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late adolescents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f children. To this ...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clarity in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late adolescents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f children.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surveys consisting of father and mother psychological control scale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scales, emotional clarity scale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s targeting 461 male and female late adolescents aged 19 to 24 nationwide.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9.0 and PROCESS Macro 4.1 programs, and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was verified by performing bootstrapping.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mother, and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clarity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clarity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 and mother, respectively,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eco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father and mother and the child'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father and mother did not directly affect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ut only indirectly affected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y mediating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mother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child'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emotional clarity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in the case of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while completely mediated in the case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The father and mother psychological control indirectly affected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y mediating emotional clarity, and father psychological control directly affected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Fourth, when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 and mother affec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f childre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clarity were sequentially mediated. This suggests that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 and mother increases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y mediating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clarity in order.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녀의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9세~24세 남, 여 후기 청소년 461명을 대상으로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정서인식명확성 척도, 정서표현양가성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9.0과 PROCESS Macro 4.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고,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의 심리적 통제, 모의 심리적 통제, 정서표현양가성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 또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은 부, 모의 심리적 통제와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정서표현양가성과도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를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 모의 심리적 통제는 정서표현양가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으며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매개하여 정서표현양가성에 간접적인 영향만을 미쳤다. 셋째, 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부의 심리적 통제의 경우 정서인식명확성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난 반면 모의 심리적 통제의 경우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 모의 심리적 통제는 정서인식명확성을 매개하여 정서표현양가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의 심리적 통제는 정서표현양가성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넷째, 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 정서인식명확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부, 모의 심리적 통제는 무조건적 자기수용, 정서인식명확성을 차례로 매개하여 정서표현양가성을 높인다는 것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한계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녀의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녀의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9세~24세 남, 여 후기 청소년 461명을 대상으로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정서인식명확성 척도, 정서표현양가성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9.0과 PROCESS Macro 4.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고,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의 심리적 통제, 모의 심리적 통제, 정서표현양가성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 또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은 부, 모의 심리적 통제와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정서표현양가성과도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를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 모의 심리적 통제는 정서표현양가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으며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매개하여 정서표현양가성에 간접적인 영향만을 미쳤다. 셋째, 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부의 심리적 통제의 경우 정서인식명확성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난 반면 모의 심리적 통제의 경우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 모의 심리적 통제는 정서인식명확성을 매개하여 정서표현양가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의 심리적 통제는 정서표현양가성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넷째, 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 정서인식명확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부, 모의 심리적 통제는 무조건적 자기수용, 정서인식명확성을 차례로 매개하여 정서표현양가성을 높인다는 것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한계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이론적 배경 8
      • 2.1. 부모의 심리적 통제 8
      • 2.2. 정서표현양가성 11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이론적 배경 8
      • 2.1. 부모의 심리적 통제 8
      • 2.2. 정서표현양가성 11
      • 2.3. 무조건적 자기수용 16
      • 2.4. 정서인식명확성 21
      • 3. 연구문제 및 가설 28
      • 4. 연구모형 29
      • Ⅱ. 방법 30
      • 1. 연구대상 30
      • 2. 측정도구 31
      • 2.1.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 31
      • 2.2. 정서표현양가성 척도 32
      • 2.3.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33
      • 2.4. 정서인식명확성 척도 34
      • 3. 연구절차 35
      • 4. 연구방법 36
      • Ⅲ. 결과 37
      •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37
      • 2.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검증 39
      • 2.1. 부의 심리적 통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39
      • 2.2. 모의 심리적 통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41
      • 3.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검증 43
      • 3.1. 부의 심리적 통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43
      • 3.2. 모의 심리적 통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45
      • 4.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 47
      • 4.1. 부의 심리적 통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47
      • 4.2. 모의 심리적 통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51
      • Ⅳ. 논의 54
      • 참고문헌 63
      • 부록 80
      • 영문 논문제출서 88
      • 영문 인준서 89
      • ABSTRACT(영문초록) 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