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錦江上流 地域 靑銅器時代 墓制에 대한 硏究 = A Study on the Bronze Age Tombs in the upper Geum-gang river bas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698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attempts to explain the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ronze Age tombs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the archaeological sites in the upper geum-gang liver basin. It starts with the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the tombs. The tomb typ...

      This essay attempts to explain the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ronze Age tombs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the archaeological sites in the upper geum-gang liver basin. It starts with the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the tombs. The tomb types are examined by the form of a placement, the stone table, graveyard facility, and the form of burial(constructed place and method of the burial, a lid and a bottom facilitiy). Alter it was investigat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features and artifacts found. Therefore the analyses show the trait of the constructed methods of the Bronze Age tombs in the upper Geum-gang liver basin.
      The results of these investigation and analyses could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as:
      More than 200 Bronze Age tombs have been found in the upper Geum-gang liver basin. These tombs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types: Dolmen (Goindol in Korean), the Songgungni-type tomb, and stone cist with stone piling. And the Songgungni-type tombs consist of the stone cist burials, pit tombs with stone covers, a jar coffin tombs.
      External types of dolmen were classified in a table-type, a korean chess boarding-type, and a cover stone-type. A table-type and a korean chess boarding-type are rarely found. Excepting for some dolmens consist of an individual or collective tomb. And all of those have circular or square stone-paved facilities around the tomb. It is highly likely thar these stone pavements were functioned as a kind of a graveyard. The analyses show that, based on the graveyard plans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tombs in the upper Geum-gang liver basin. Burials are divided into several types. Graveyard facilities are mainly divided into individual facility type and collective facility type. And spatial distributions are divided into a square type and circular type. Structural forms of a graveyard facility are classified as summed stone type, the inside stone type and the non-facility type.
      Tombs are divided in three burial types: the underground type, the ground type, and the semi-ground type. And burial structures are classified by an outer coffin made of a stone type, a cist type, a maxed type, dig a grave type.
      It seems that, based on ale analyses of a features correlation, spatial distributions, a stratigraphic evidence, and a artifacts unearthed. These burial types are subdivided ill four phas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form and structure of burials and artifacts found,
      This essa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ed methods and processes of the Bronze Age tombs in ale upper Geum-gang liver basi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금강상류 지역 청동기시대 묘제의 형식과 구조에 대해 발굴조사된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유구는 무덤의 입지와 배치형태, 상석, 묘역시설, 지석, 매장주체부(뚜껑시설...

      본 연구에서는 금강상류 지역 청동기시대 묘제의 형식과 구조에 대해 발굴조사된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유구는 무덤의 입지와 배치형태, 상석, 묘역시설, 지석, 매장주체부(뚜껑시설, 묘실, 바닥시설)등을 검토하였고, 이러한 각 속성의 상관관계를 통해 무덤을 재분류하였다. 이렇게 정리한 결과 지석묘와 송국리형묘제의 축조방식의 차이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무덤의 각 속성의 상관관계를 통해 이 지역 청동기시대 묘제의 축조단계를 크게 4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Ⅰ단계는 묘역시설과 묘실이 초대형급이며, 묘역시설은 Ala형이고, 묘실은 석곽 Ⅰ형만 확인된다. 이러한 지석묘는 구릉 말단부에서 독립적으로 분포한다. Ⅱ단계는 송국리형 문화가 유입되는 단계이며, 무덤 조성 입지도 평지로 이동된다. 그리고 지석묘의 축조가 급격히 많아져 지석묘가 연접되어 배치된다. 묘실의 위치는 지상이며, 묘실의 형태는 석곽형, 혼축형과 석관형 등 다양해진다. 지석은 지상형의 묘실을 보호하기 위해 등장한다. Ⅲ단계는 송국리형 문화가 중심문화로 등장하는 단계로 무덤은 연접부가된다. 묘실은 지하에 두며 석관형이 증가하나 다양한 형태가 조성된다. 지석묘는 묘역시설과 묘실, 뚜껑시설(개석)에 있어 송국리형 묘제와 유사한 형태로 변화한다. TV단계에는 송국리형 묘제가 중심으로 축조되는 단계이며, 지석묘는 소수만 확인되고, 대부분 송국리형 묘제인 신묘제가 주로 이용되는 단계이다. 따라서 묘제의 입지는 평지에 기존의 묘제와 공존하거나 구룽사면 또는 구릉 말단부에 조성된다. 묘실은 지하에 석관 형과 석곽Ⅱ형이 다수가 확인되며, 뚜껑시설인 개석과 바닥시설이 기존의 지석묘 축조방식에 있어 다른 양상을 보여 준다. 일부 지역에서는 남양리유적과 같이 송국리형 문화가 아닌 점토대토기문화가 지석묘문화와 접목하여 적석목관 묘와 같은 묘제가 등장하는 시기로 파악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머리말
      • Ⅱ. 입지 분포와 구조적 특징
      • Ⅲ. 청동기시대 묘제의 변화과정
      • Ⅳ. 청동기시대 묘제 축조단계 설정
      • 요약
      • Ⅰ. 머리말
      • Ⅱ. 입지 분포와 구조적 특징
      • Ⅲ. 청동기시대 묘제의 변화과정
      • Ⅳ. 청동기시대 묘제 축조단계 설정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문, "호남지역 청동기시대 묘제 연구의 제문제" 호남고고학회 1999

      2 "호남지방 고인돌의 형식과 구조 『 한국고 고학보』25" 한국고고학회. 1990

      3 최성락, "호남 지역 청동기문화의 연구성과" 충남대 학교박물관 2001

      4 "호남 동부지역 석곽묘 연구" 서경문화사 1999

      5 임세권, "한반도 고인돌의 종합적 검토" 1976

      6 임병태, "한국 청동기문화의 연구" 학연문화사 1996

      7 이영문, "한국 지석묘 사회 연구" 학연문화사 2002

      8 이융조, "평라리 선사유적" 충북대학교박물관 1996

      9 이상길, "청동기시대 의례에 관한 고고학적 연구" 2000

      10 "진안 평지리 고분군- 1997년도 발굴조사" 군산대학교박물관·(재)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98

      1 이영문, "호남지역 청동기시대 묘제 연구의 제문제" 호남고고학회 1999

      2 "호남지방 고인돌의 형식과 구조 『 한국고 고학보』25" 한국고고학회. 1990

      3 최성락, "호남 지역 청동기문화의 연구성과" 충남대 학교박물관 2001

      4 "호남 동부지역 석곽묘 연구" 서경문화사 1999

      5 임세권, "한반도 고인돌의 종합적 검토" 1976

      6 임병태, "한국 청동기문화의 연구" 학연문화사 1996

      7 이영문, "한국 지석묘 사회 연구" 학연문화사 2002

      8 이융조, "평라리 선사유적" 충북대학교박물관 1996

      9 이상길, "청동기시대 의례에 관한 고고학적 연구" 2000

      10 "진안 평지리 고분군- 1997년도 발굴조사" 군산대학교박물관·(재)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98

      11 "진안 용담댐 지석묘 발굴조사" 1999

      12 하인수, "지석묘의 형식과 구조" 부산대학교박물관. 1987

      13 조진선, "지석묘의 입지와 장축방향선정에 대한 고찰" 호남고고학회 6 : 1997

      14 이종철, "지석묘 상석운반에 대한 시론" 한국고고학회 50 : 2003

      15 "전붑지방 금강 상류 안자천일대 지석묘" (재)호남문화재연구원 4 : 2004

      16 "전북지방 지석묘의 현황과 고창 지석묘의 특징" 2003b

      17 "적석부가지석묘의 형식과 분포" 한림대학교. 1986

      18 "장수군의 고분문화" 서경 문화사 2003

      19 "우리나라 서북지방 고인돌에 관한 연구" 1979

      20 "용담댐 무문토기시대 문화의 전개과정 과 특징" 2003b

      21 이청규, "영남지방 청동기문화의 전개" 영남고고학회 21 : 1997

      22 "영남지방 지석묘의 형식과 구조 『 가야고 고학논총』1." 1992

      23 "여수반도 지석묘 연구" 2001

      24 "묵방리 고인돌에 관한 몇가지 고찰" 백과사전출판사. 1985

      25 지건길, "동북아시아 지석묘의 형식학적 고찰" 한국고고학회. 1982

      26 "대전 신대동·비래동 청동기시대유적" 1997

      27 이종철, "남한지역 송국리형주거지에 대한 일고찰" 2000

      28 윤덕향, "남양리 발굴조사 보고서" 전라북도 장수 군·전북대박물관 2000

      29 "남강유역지석묘의 발굴성과" 2003

      30 "금강유역 청동기시대 마제석검에 대한 연구" 2005

      31 "금강유역 송국리형 묘제의 연구-석관묘· 석개토광묘·옹관묘를 중심으로" 45 : 2001

      32 "금강 상류 지역 청동기시대묘제의 형식과 구조에 대한 일고찰-지석묘를 중심으로" 2005

      33 "금강 상류 무문토기시대 무덤의 형식과 변천" 49 : 2003a

      34 湖南文化財硏究院, "鎭安龍潭댐 水沒地區內文化遺蹟發掘調査報告書ⅩⅣ 망덕유적" 第5冊 : 2002

      35 "朝鮮의 巨石文化硏究" 1935

      36 "朝鮮돌멘에 關한 調査硏究" 1948

      37 "『한국지석묘연구』" 1967

      38 이건무, "『 한국의 청동기 문화』" 1992

      39 이영문, "『 전남지방 지석묘 사회의 연구』" 1993

      40 "『 우리의 선사문화』" 1994

      41 윤덕향, "Ⅸ. 遺物散布遺蹟Ⅰ- 진그늘" 全北大學校博物館·鎭安郡·韓國水資源公社 2001

      42 윤덕향, "Ⅲ. 월포리 지석묘, Ⅳ-상전면 일원" 全北大學校博物館·鎭安郡·韓國水資源公社 2001

      43 ",「 용담댐 무문토기시대 문화의 전개과정과 특징」에 대한 토론요지" 2003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MUNHWA -> KOMUNHWA (Korea Antiquit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9 1.562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