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변산반도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 Floristic study of Byeonsanbando National Park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302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of vascular plants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33 days from March to October of 2018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South Korea. Based on voucher specimens and photographs, 829 taxa in total were recorded, including 141 families, 458 genera, 748 species, 16 subspecies, 59 varieties, and 6 forma. Two endangered taxa were identified, Iris koreana Nakai and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Five rare taxa were found, including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and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Tagawa) Ohwi. A total of 17 Korean endemic plants were investigated. Examples include Elsholtzia byeonsanensis M. Kim, Eranthis byunsanensis B. Y. Sun, and Lycoris flavescens M. Kim & S. T. Lee.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s (third to fifth degree), 52 taxa were identified.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which included 79 taxa, and 7 species of ecosystem disturbance plants, such as Ambrosia artemisiifolia L., Lactuca serriola L., and Solidago altissima L. were found. We recorded 39 taxa of the plants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번역하기

      This study of vascular plants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33 days from March to October of 2018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South Korea. Based on voucher specimens and photographs, 829 taxa in total were recorded, including 141 families, 458 ge...

      This study of vascular plants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33 days from March to October of 2018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South Korea. Based on voucher specimens and photographs, 829 taxa in total were recorded, including 141 families, 458 genera, 748 species, 16 subspecies, 59 varieties, and 6 forma. Two endangered taxa were identified, Iris koreana Nakai and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Five rare taxa were found, including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and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Tagawa) Ohwi. A total of 17 Korean endemic plants were investigated. Examples include Elsholtzia byeonsanensis M. Kim, Eranthis byunsanensis B. Y. Sun, and Lycoris flavescens M. Kim & S. T. Lee.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s (third to fifth degree), 52 taxa were identified.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which included 79 taxa, and 7 species of ecosystem disturbance plants, such as Ambrosia artemisiifolia L., Lactuca serriola L., and Solidago altissima L. were found. We recorded 39 taxa of the plants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변산반도국립공원을 대상으로 2018년도 3월부터 10월까지 총 33일에 걸쳐 조사를 수행하였다. 증거 표본과 사진을 바탕으로 작성한 관속식물은 141과 458속 748종 16아종 59변종 6품종의 총 829분류군으로 기록되었다. 이 중 멸종위기식물은 노랑붓꽃, 삼백초(식재) 등 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희귀식물은 미선나무, 금털고사리 등 5분류군이 관찰되었다. 한반도 고유식물은 붉노랑상사화, 변산향유, 변산바람꽃 등 17분류군 이 조사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II–V등급에 해당하는 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79 분류군으로 생태계교란종은 돼지풀, 가시상추, 양미역취 등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후변화 취약종은 총 39 분류군이 분포하였고, 북방계 2분류군, 남방계 10분류군, 관심식물은 2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조사에 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분류군은 186분류군이었다.
      번역하기

      변산반도국립공원을 대상으로 2018년도 3월부터 10월까지 총 33일에 걸쳐 조사를 수행하였다. 증거 표본과 사진을 바탕으로 작성한 관속식물은 141과 458속 748종 16아종 59변종 6품종의 총 829분류...

      변산반도국립공원을 대상으로 2018년도 3월부터 10월까지 총 33일에 걸쳐 조사를 수행하였다. 증거 표본과 사진을 바탕으로 작성한 관속식물은 141과 458속 748종 16아종 59변종 6품종의 총 829분류군으로 기록되었다. 이 중 멸종위기식물은 노랑붓꽃, 삼백초(식재) 등 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희귀식물은 미선나무, 금털고사리 등 5분류군이 관찰되었다. 한반도 고유식물은 붉노랑상사화, 변산향유, 변산바람꽃 등 17분류군 이 조사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II–V등급에 해당하는 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79 분류군으로 생태계교란종은 돼지풀, 가시상추, 양미역취 등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후변화 취약종은 총 39 분류군이 분포하였고, 북방계 2분류군, 남방계 10분류군, 관심식물은 2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조사에 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분류군은 186분류군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규영, "한반도 특산식물 목록" 한국식물분류학회 47 (47): 264-288, 2017

      2 임효선, "한국산 족도리풀속(Asarum)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에 의한 분류" 한국자원식물학회 32 (32): 344-354, 2019

      3 김무열, "한국산 상사화속(Lycoris 수선화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한국식물분류학회 34 (34): 9-26, 2004

      4 장창기, "한국산 둥굴레속(Polygonatum, Ruscaceae)의 분류학적 재검토" 한국식물분류학회 32 (32): 4-447, 2002

      5 이유미,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 41 (41): 87-101, 2011

      6 유재심, "학술 연구 논의에서 발생하는 귀화식물의 부정적 인식과 문화적 배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6 (16): 63-74, 2013

      7 장현도, "주왕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32 (32): 379-406, 2019

      8 오현경, "변산반도국립공원 특별보호구인 개암사 및 쇠뿔바위 지역의 노랑붓꽃 자생지에 분포하는 식물상"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6 (26): 365-375, 2017

      9 오현경, "변산반도국립공원 작은당 일대의 식물상 및 군락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23 (23): 177-186, 2009

      10 김동갑,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의 새로운 자생지 보고" 한국식물분류학회 38 (38): 573-582, 2008

      1 정규영, "한반도 특산식물 목록" 한국식물분류학회 47 (47): 264-288, 2017

      2 임효선, "한국산 족도리풀속(Asarum)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에 의한 분류" 한국자원식물학회 32 (32): 344-354, 2019

      3 김무열, "한국산 상사화속(Lycoris 수선화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한국식물분류학회 34 (34): 9-26, 2004

      4 장창기, "한국산 둥굴레속(Polygonatum, Ruscaceae)의 분류학적 재검토" 한국식물분류학회 32 (32): 4-447, 2002

      5 이유미,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 41 (41): 87-101, 2011

      6 유재심, "학술 연구 논의에서 발생하는 귀화식물의 부정적 인식과 문화적 배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6 (16): 63-74, 2013

      7 장현도, "주왕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32 (32): 379-406, 2019

      8 오현경, "변산반도국립공원 특별보호구인 개암사 및 쇠뿔바위 지역의 노랑붓꽃 자생지에 분포하는 식물상"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6 (26): 365-375, 2017

      9 오현경, "변산반도국립공원 작은당 일대의 식물상 및 군락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23 (23): 177-186, 2009

      10 김동갑,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의 새로운 자생지 보고" 한국식물분류학회 38 (38): 573-582, 2008

      11 김윤영, "가야산국립공원 기후변화취약종의 분포 및 보전방안" 한국자원식물학회 30 (30): 167-175, 2017

      12 Yonekura, K., "Y List"

      13 Kim, J. S., "Woody Plants of Korea Peninsula" Dolbegae 688-, 2011

      14 Ministry of Environment,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15 Oh, H. K., "Vegetation present and vascular plants of habitats Lycoris flavescens M. Y. Kim et S. T. Lee and Iris koreana Nakai, Byeonsanbando" 42 : 54-67, 2011

      16 Lee, W. T., "The investigation on natural growth reg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21 : 1-8, 1991

      17 Oh, H. -K., "The flora of the Sojeokgol in Byunsan Peninsula" 4 : 29-36, 2008

      18 Oh, H. -K., "The flora of Haseom Island, Byeonsanbando National Park" 2 : 165-172, 2011

      19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1482-, 2007

      20 Korea Forest Service, "The Assessment for Vascular Plant Resources and the Reclassification of Their Usefulness from Korea" Korea Forest Service 10-153, 2014

      21 Im, H. -T., "The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Flora of Mapo Vicinage: Ssangseonbong"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2-, 2006

      22 Sun, B. Y., "The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Flora of Mt. Uisangbong (Buan) and Its Vicinag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86-127, 2001

      23 Oh, B. -U.,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492-, 2010

      24 So, S., "Status on the Korea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in Korea National Park" 7 : 90-103, 2016

      25 Oh, H. K., "Resource Monitering of Byeonsanbando National Park: Habitat Survey of the Specific Plants" Korea National Park Servic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Office 388-, 2013

      26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391-, 2012

      27 Lee, C. S., "Pteridophytes of Korea: Lycophytes and Ferns" Geobook 471-, 2015

      28 Nakai, T, "Plantae novae Coreanae et Japonicae I" 28 : 517-520, 1914

      29 Lee, W. T.,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412-, 2002

      30 Park, S. H,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575-, 2009

      31 Numata, M, "Naturalized Plants" Dai Nippon Printing Co 160-, 1975

      32 Yuk, K. S., "Natural Resource Survey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The General Status"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11-17, 2019

      33 Yang, H. S., "Natural Resource Survey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Flora"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71-110, 2009

      34 Oh, J. G, "Natural Resource Survey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Flora"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6-63, 1999

      35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36 Oh, S. H., "Manual of Conservation Project of Threatened Plants for Climate Change"

      37 Park, M. K, "Keys to the Herbaceous Plants in Korea (Dicotyledoneae)" Jeongeumsa 406-, 1974

      38 Park, S. H.,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547-, 2008

      39 Park, S. H.,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Korean National Arboretum 600-, 2011

      40 Cho, Y. H.,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527-, 2016

      41 Kim, C. H., "Floristics Targe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728-, 2018

      42 Jeom, H. Y, "Flora of Pyonsan Peninsula in Buan" Wonkwang University 1990

      43 Sun, B. Y., "Flora of Pyonsan Peninsula National Park" 34 : 19-48, 1995

      44 Oh, Y. C., "Flora of Korean Pteridophyta II" 32 : 271-301, 1992

      45 Korean Fern Society,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399-, 2005

      46 Chung, J. M., "Ethnobotany in Korea: The Traditional Knowledge and Use of Indigenous Plants" Korea National Arboretum 1276-, 2013

      47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Endemic Specie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912-, 2013

      48 Yim, Y. J.,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23 : 69-83, 1980

      49 Oh, B. -U.,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809-, 2016

      50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ultural heritage search"

      51 Lee, W. T.,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624-, 1996

      52 Lee, T. 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914-, 2003

      5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Climate statistical analysis"

      54 Korea National Arboretum,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1,000-, 2017

      55 Ministry of Environment, "Appoint notice of ecosystem disturbance wild plant"

      56 Jae-Hwa Tho, "An Unrecorded Species in Korea: Monochasma sheareri (S. Moore) Maxim. ex Franch. Et Sav. (Scrophulariaceae)" 한국식물학회 49 (49): 336-338, 2006

      57 Lim, K. B., "An Introduction to Forestry" Hyangmunsa 393-, 1999

      58 Sun, B. Y., "A new species of Eranthis (Ranunculaceae) from Korea: E. byunsanensis" 23 : 21-26, 1993

      59 Christenhusz, M. J. M., "A linear sequence of extant families and genera of lycophytes and ferns" 19 : 7-54, 2011

      60 최창학, "A New species of Elsholtzia (Lamiaceae): E. byeonsanensis M. Kim" 한국식물분류학회 42 (42): 197-201,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9-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43 0.52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