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폭력 관련 정책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위(Wee) 프로젝트 공모전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chool Violence Polic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Cases in the Wee Project Essay Conte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19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 of Wee project on students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Wee project policy beneficiaries u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and identifying changes before and after Wee project policy interventio...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 of Wee project on students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Wee project policy beneficiaries u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and identifying changes before and after Wee project policy intervention. To this end, among the best cases of the Wee project in 2019 and 2020, 102 essays submitted by students and teachers were divided into three areas: home and environmental background, Pre-factors, and post-change.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Pre-factor area, <Group 1> was divided into 'inflicted injury and flight problems', and <Group 2> was divided into 'victimization of school violations and bullying problems' and 'other problems'. <Group 1> In 'Inflicted Injury and Flight Problems', texts were clustered in relation to external problems such as school violenc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 smoking and drinking. <Group 2> In the types of 'victimization of school violations and ballooning problems' and 'other problems', keywords related to internal problems such as 'contraction of peer relationship', 'suicide and self-injury', 'depression', and 'anxiety' mainly appeared. Second, in the area of post-change, 'sense of goal', 'improvement of peer relations', and 'mind to help' were found to be keywords that were commonly connecte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ypes. This proves that the Wee project policy has a positive effect in various aspects, ranging from all students regardless of the type of crisi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Wee project policy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Wee project and school violence-related policies for qualitative develop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위(Wee) 프로젝트의 정책 수혜 학생들의 특성을 도출하고, 위(Wee) 프로젝트 개입 전/후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여, 위(Wee) 프로젝트가 학생에게 ...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위(Wee) 프로젝트의 정책 수혜 학생들의 특성을 도출하고, 위(Wee) 프로젝트 개입 전/후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여, 위(Wee) 프로젝트가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과 2020년의 위(Wee) 희망대상 우수사례 중, 학생과 교사가 동일 사례로 제출한 경우인 102개의 에세이를 대상으로, 가정·환경적 배경, 사전적 요인, 사후적 변화의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키워드 추출 및 영역별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전적 요인 영역에서 <그룹 1>은 ‘가해 및 비행 문제’, <그룹 2>는 ‘피해 및 왕따 문제’와 ‘그 외 기타문제’로 구분되었다. <그룹 1> ‘가해 및 비행 문제’에서는 ‘학교폭력가해’, ‘교권침해’, ‘흡연과음주’ 등 외현적 문제와 관련한 텍스트가 군집하였으며, <그룹 2> ‘피해 및 왕따 문제’ 및 ‘기타 그 외 문제’ 유형에서는 ‘또래관계위축’, ‘자살과자해’, ‘우울’, ‘불안’ 등 내현적 문제와 관련된 키워드들이 주로 등장했다. 둘째, 사후적 변화 영역에서는 유형 간 구분되지 않았으며, 공통적으로 많이 연결된 키워드로 ‘목표의식’, ‘또래관계개선’, ‘돕고싶은마음’ 등이 나타났는데, 위(Wee) 프로젝트의 개입이 위기 학생 유형과 상관없이 모든 학생에게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위(Wee) 프로젝트가 질적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위(Wee) 프로젝트 관련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통계청, "한국표준질병 사인분류" 통계청 2021

      2 김지민 ; 노충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와 Wee클래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0 : 95-120, 2015

      3 임채숙 ; 안선회, "학교폭력 예방정책의 정책집행 요인 분석" 교육연구소 27 (27): 23-55, 2021

      4 이주연 ; 정제영 ; 박주형 ; 주현준 ; 정성수, "학교폭력 예방 교육 및 치료 기관으로서 Wee센터 운영 실태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67-89, 2013

      5 정현주, "학교폭력 관련기관들의 학교폭력 문제해결을 위한 연계경험 연구 - CYS-Net·학교·Wee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2 : 247-279, 2015

      6 정제영 ; 김성기 ; 선미숙 ; 남예슬, "학교폭력 관련 정책에 대한 학부모 요구도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9 (49): 19-38, 2018

      7 박계신,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적용을 통한 위기학생 예방 및 지원 방안 모색" 한국행동분석학회 7 (7): 23-50, 2020

      8 김소영 ; 김지은, "학교안전망구축사업(Wee project)의 효과 분석연구: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4 (24): 115-133, 2014

      9 강지운 ; 이효섭, "토픽모델링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관리자 코칭리더십의 국내 연구 동향" 한국성인교육학회 23 (23): 181-210, 2020

      10 박언하, "탈북 청소년 적응 관련 논문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50 : 53-73, 2020

      1 통계청, "한국표준질병 사인분류" 통계청 2021

      2 김지민 ; 노충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와 Wee클래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0 : 95-120, 2015

      3 임채숙 ; 안선회, "학교폭력 예방정책의 정책집행 요인 분석" 교육연구소 27 (27): 23-55, 2021

      4 이주연 ; 정제영 ; 박주형 ; 주현준 ; 정성수, "학교폭력 예방 교육 및 치료 기관으로서 Wee센터 운영 실태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1 (31): 67-89, 2013

      5 정현주, "학교폭력 관련기관들의 학교폭력 문제해결을 위한 연계경험 연구 - CYS-Net·학교·Wee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2 : 247-279, 2015

      6 정제영 ; 김성기 ; 선미숙 ; 남예슬, "학교폭력 관련 정책에 대한 학부모 요구도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9 (49): 19-38, 2018

      7 박계신,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적용을 통한 위기학생 예방 및 지원 방안 모색" 한국행동분석학회 7 (7): 23-50, 2020

      8 김소영 ; 김지은, "학교안전망구축사업(Wee project)의 효과 분석연구: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4 (24): 115-133, 2014

      9 강지운 ; 이효섭, "토픽모델링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관리자 코칭리더십의 국내 연구 동향" 한국성인교육학회 23 (23): 181-210, 2020

      10 박언하, "탈북 청소년 적응 관련 논문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50 : 53-73, 2020

      11 이광빈 ; 황미영 ; 박종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직업교육연구 학회지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40 (40): 97-116, 2021

      12 강승지 ; 정혜영 ; 이연선,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 놀이공간에 대한 부모 인식 연구: 놀이터와 키즈카페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281-304, 2018

      13 한길자 ; 손진희, "청소년이 지각한 Wee 스쿨 도움 요인"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2 (32): 53-70, 2011

      14 김미희 ; 이미나, "청소년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감정코칭 집단프로그램 효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937-949, 2019

      15 이원이 ; 김동일,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류"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89-118, 2009

      16 손재환 ; 전미이 ; 이정주 ; 정주희, "청소년들의 Wee스쿨 참여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40 (40): 5-34, 2013

      17 한상철, "청소년 심리학" 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18 소수연 ; 주지선 ; 조은희 ; 손영민 ; 백정원, "청소년 불안․우울 경험과 회복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9 (29): 229-254, 2021

      19 김경숙 ; 김인희, "중․고등학교의 학업중단 위기학생이 경험하는 소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253-285, 2016

      20 교육부, "제4차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5개년 기본계획" 교육부 2020

      21 Robert Plutchik., "정서심리학[Emotions and life]" 학지사 2004

      22 푸른나무재단, "전국학교폭력실태조사" 푸른나무재단 2019

      23 김순양 ; 손능수, "일선 학교현장에서의 학교폭력 대응체계 분석 및 정책적 제언" 한국정책과학학회 19 (19): 241-271, 2015

      24 한국교육개발원, "위(Wee)프로젝트 운영으로 인한 위기학생 비율 변화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18

      25 한국교육개발원, "위(Wee)프로젝트 운영 지원 사업 운영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21

      26 한국교육개발원, "위(Wee)프로젝트 온라인 상담 사례집" 한국교육개발원 2019

      27 한국교육개발원, "위(Wee)프로젝트 온라인 상담 사례집" 한국교육개발원 2020

      28 한국교육개발원, "위(Wee)프로젝트 성과분석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20

      29 한국교육개발원, "위(Wee)프로젝트 만족도 조사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18

      30 한국교육개발원, "위(Wee)센터 운영 가이드" 한국교육개발원 2021

      31 한국교육개발원, "위(Wee)상담시스템 상담기록 가이드라인" 한국교육개발원 2018

      32 김소아, "위(Wee) 프로젝트 성과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21

      33 박혜숙 ; 이금희 ; 강영심, "위(Wee) 클래스 학업중단숙려프로그램에 참여한 인문계 여고생의 학업지속 경험" 한국교육치료학회 9 (9): 175-205, 2017

      34 김현진, "위(Wee) 상담시스템 자료 분석 및 활용 방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8

      35 Philip C. Kendall., "아동 청소년 심리 치료[Child and adolescent therapy]" 학지사 2015

      36 손요한, "소셜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활용한 위(Wee)프로젝트 인식" 전주대학교 2021

      37 John Scott, "소셜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38 이정자 ; 유영숙 ; 정현주, "사회적 유능성 프로그램이 Wee센터에 의뢰된 위기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재활심리학회 19 (19): 43-61, 2012

      39 김용학, "사회 연결망 분석" 박영사 2013

      40 손동원, "사회 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2013

      41 김효선 ; 배희분 ; 장덕호, "병원형 Wee센터 운영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99-520, 2019

      42 신은자 ; 정여주 ; 지구덕 ; 박민정 ; 김시내, "병원 형 Wee센터에서의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학교적응, 공감,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교육학회 18 (18): 37-58, 2020

      43 박민정 ; 정여주 ; 지구덕 ; 신은자 ; 김시내, "병원 형 Wee센터에서 집단미술치료를 경험한 청소년의 체험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18 (18): 123-141, 2020

      44 조성희 ; 조영하, "대학에서 명강의란 무엇인가 - 의미연결망분석을 통한 개념의 탐색 -" 교육문제연구소 31 (31): 1-24, 2018

      45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방법의 활용과 한계" 청람 2018

      46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논형 2013

      47 김현수 ; 김성은 ; 박하나, "남녀 청소년의 학업중단 사유: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48 (48): 5-24, 2021

      48 박지순 ; 배달샘 ; 신지연 ; 한정규, "교육디자이너의 역할과 역량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교육발전연구소 28 (28): 251-267, 2018

      49 최상근, "Wee 프로젝트운영 성과 분석 및 발전 계획 수립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50 박명숙, "Wee 프로젝트와 문제행동 유형별 상담" 45 : 217-227, 2010

      51 김인규, "Wee 프로젝트 발전방안 연구" 교육종합연구원 11 (11): 137-156, 2013

      52 한길자 ; 손진희, "Wee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학생, 교사, 상담자의 인식 비교 -천안 Wee 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3 (13): 2203-2227, 2012

      53 심재휘 ; 이기혜, "Wee 클래스 운영이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안암교육학회 22 (22): 255-281, 2016

      54 사이람, "SNA를 활용한 연구동향 분석" 사이람 2021

      55 사이람, "NetMiner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 사이람 2020

      56 이정민, "Gilbert & Terrell의 산출분석틀을 활용한 위(Wee) 프로젝트 정책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7 (27): 255-281, 2020

      57 구산 ; 이유정 ; 정현석 ; 김희진 ; 김영교 ; 서민정 ; 서완석, "COVID-19 이후 일 대학병원 Wee센터에 의뢰된 학생의 정서·행동적 특성 변화 비교"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7 (27): 180-189,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