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일문제와 유럽의 평화정책 = German question and a peace policy in Euro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917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960년대 독일정책과 동방정책을 중심으로 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노력과 구상을 분석했다. 당시 독일문제와 유럽의 분할을 연결하여 유럽의 안보 및 긴장완화를 기하려 한 브란트 수상의 구상을 중심으로 그의 안보정책과 평화
      정책의 성격에 대해 규명하려 했다. 그는 1968년에 유럽의 평화정책 (Friedenspolitik in Europa)이란 저서를 저술하였고 여기에서 독일문제를 유럽차원에서 해결할 것과 유럽안보협력회의(CSCE)를 전 유럽이 신중히 수용할 것을 밝히며 북미가 반드시 참여해야 된다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본고는 그의 안보와 평화정책을 보다 객관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연구 목적을 두었으며 그의 정책이 평화체제 구현을 위해 재통일을 일정 부분 포기한 측면을 연구했다. 또한 각 수상들의 동방정책을 비교하여 어떠한 성격을 갖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브란트의 동방정책이 통일정책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의 정책은 평화와 긴장완화정책에는 기여했으나 현상을 고착화시켰기 때문에 당시 서독에서는 분단정책이라는 비난을 받은바 있다. 그러나 바꾸기 위해 불가피한 현실을 인정한 점은 양 독일 간 긴장완화와 평화정착에 큰 기여를 하였다. 브란트는 아데나워가 기초한 든든한 외교적 토대와 미·소간 데탕트 합의라는 당시의 시대 상황을 잘 활용했다. 이를 통해 양 독일 간 이질감해소에 기여했다. 브란트는 수상이 되었을 때 비로소 독일의 패망을 절실히 실감했다고 회고한다. 이는 독일이 책임져야 하는 앞으로의 짐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책임을 통감하여 그 동안에 주장했던 영토 및 외교적 대표권 등 독일의 권리를 과감히 포기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책 노선은 주변국들과 유럽의 평화정착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렇듯 전후 각 수상들의 일련의 동방정책은 단순히 독일만의 문제에서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통일 및 이질감 해소에 대한 기여도 이외에 유럽의 평화체제구축과 당시의 시대 상황 등을 종합하여 검토해 나가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1960년대 독일정책과 동방정책을 중심으로 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노력과 구상을 분석했다. 당시 독일문제와 유럽의 분할을 연결하여 유럽의 안보 및 긴장완화를 기하려 한 브란트 ...

      본고는 1960년대 독일정책과 동방정책을 중심으로 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노력과 구상을 분석했다. 당시 독일문제와 유럽의 분할을 연결하여 유럽의 안보 및 긴장완화를 기하려 한 브란트 수상의 구상을 중심으로 그의 안보정책과 평화
      정책의 성격에 대해 규명하려 했다. 그는 1968년에 유럽의 평화정책 (Friedenspolitik in Europa)이란 저서를 저술하였고 여기에서 독일문제를 유럽차원에서 해결할 것과 유럽안보협력회의(CSCE)를 전 유럽이 신중히 수용할 것을 밝히며 북미가 반드시 참여해야 된다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본고는 그의 안보와 평화정책을 보다 객관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연구 목적을 두었으며 그의 정책이 평화체제 구현을 위해 재통일을 일정 부분 포기한 측면을 연구했다. 또한 각 수상들의 동방정책을 비교하여 어떠한 성격을 갖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브란트의 동방정책이 통일정책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의 정책은 평화와 긴장완화정책에는 기여했으나 현상을 고착화시켰기 때문에 당시 서독에서는 분단정책이라는 비난을 받은바 있다. 그러나 바꾸기 위해 불가피한 현실을 인정한 점은 양 독일 간 긴장완화와 평화정착에 큰 기여를 하였다. 브란트는 아데나워가 기초한 든든한 외교적 토대와 미·소간 데탕트 합의라는 당시의 시대 상황을 잘 활용했다. 이를 통해 양 독일 간 이질감해소에 기여했다. 브란트는 수상이 되었을 때 비로소 독일의 패망을 절실히 실감했다고 회고한다. 이는 독일이 책임져야 하는 앞으로의 짐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책임을 통감하여 그 동안에 주장했던 영토 및 외교적 대표권 등 독일의 권리를 과감히 포기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책 노선은 주변국들과 유럽의 평화정착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렇듯 전후 각 수상들의 일련의 동방정책은 단순히 독일만의 문제에서
      한정되지 않기 때문에 통일 및 이질감 해소에 대한 기여도 이외에 유럽의 평화체제구축과 당시의 시대 상황 등을 종합하여 검토해 나가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mainly analyzes the German Policy(Deutschlandpolitik) in late 1960's and early 1970's and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process of easing tension through Ostpolitik. This study focuses on the Ostpolitik of the FRG(Federal Republic of Germany, hereafter FRG) in the viewpoint that Willy Brandt embodied. He wrote the A Peace
      Policy for Europe in 1968. In this book, he stressed the European security conference for settlement of European peace order. In viewing the past geopolitical position of Germany, which is located in the middle of Europe, ostpolitik was an important diplomatic policy of Germany. Adenauer's ostpolitik was a policy that
      did not renounce representation of Germany and did not consider Eastern Europe. He sought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status of FRG that can change the status quo. so, His ostpolitik was based on strong power and priorities of the FRG. so, his ostpolitik contributed the diplomatic foundation of FRG. Brandt's ostpolitik recognized two German nations and abolished Hallstein doctrine. this doctrine was the strategy that adheres as the only one German nation, FRG. By the changing of international situation this strategy fell into a dilemma. so, Brandt tried to overcome this dilemma and he sought the coexistence with the eastern bloc. His ostpolitik aimed at a peaceful realization and easing tensions. and he enlarged the German question(die deutsche Frage)
      to the European level question. and He linked German question and CSCE. Soviet needed the economic cooperation with FRG and promoted European security conference. He used the these leverage for his ostpolitik. but his ostpolitik was recognized as the division policy because, his ostpolitik recognized the GDR(German Democratic
      Republic, hereafter GDR) and did not set reunification at the priority order. Brandt brought on lawsuit by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in 1973. His ostpolitik violated the unification policy that was provided in the fundamental law of FRG, but the court abandoned this case. The first thing, Brandt's ostpolitik accepted the status quo to change that situation in Germany. Brandt could promote his policy by Adenauer's diplomatic foundation and the situation at that time that Détente between U.S. and Soviet. It is very interesting that GDR promoted interception policy (Abgrenzung) against brandt's ostpolitik. The government of GDR felt the crisis of the government system collapse. Brandt remembered that he felt Germany was defeated entirely when he was elected chancellor. This means Germany should abandon the previous rights like territorial rights and reunification etc. In reality, at that time the FRG tried to approach the German question through ostpolitik that abandoned the rights of Germany and used the political and economic leverage .
      번역하기

      This Study mainly analyzes the German Policy(Deutschlandpolitik) in late 1960's and early 1970's and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process of easing tension through Ostpolitik. This study focuses on the Ostpolitik of the FRG(Federal Republic of Germany...

      This Study mainly analyzes the German Policy(Deutschlandpolitik) in late 1960's and early 1970's and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process of easing tension through Ostpolitik. This study focuses on the Ostpolitik of the FRG(Federal Republic of Germany, hereafter FRG) in the viewpoint that Willy Brandt embodied. He wrote the A Peace
      Policy for Europe in 1968. In this book, he stressed the European security conference for settlement of European peace order. In viewing the past geopolitical position of Germany, which is located in the middle of Europe, ostpolitik was an important diplomatic policy of Germany. Adenauer's ostpolitik was a policy that
      did not renounce representation of Germany and did not consider Eastern Europe. He sought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status of FRG that can change the status quo. so, His ostpolitik was based on strong power and priorities of the FRG. so, his ostpolitik contributed the diplomatic foundation of FRG. Brandt's ostpolitik recognized two German nations and abolished Hallstein doctrine. this doctrine was the strategy that adheres as the only one German nation, FRG. By the changing of international situation this strategy fell into a dilemma. so, Brandt tried to overcome this dilemma and he sought the coexistence with the eastern bloc. His ostpolitik aimed at a peaceful realization and easing tensions. and he enlarged the German question(die deutsche Frage)
      to the European level question. and He linked German question and CSCE. Soviet needed the economic cooperation with FRG and promoted European security conference. He used the these leverage for his ostpolitik. but his ostpolitik was recognized as the division policy because, his ostpolitik recognized the GDR(German Democratic
      Republic, hereafter GDR) and did not set reunification at the priority order. Brandt brought on lawsuit by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in 1973. His ostpolitik violated the unification policy that was provided in the fundamental law of FRG, but the court abandoned this case. The first thing, Brandt's ostpolitik accepted the status quo to change that situation in Germany. Brandt could promote his policy by Adenauer's diplomatic foundation and the situation at that time that Détente between U.S. and Soviet. It is very interesting that GDR promoted interception policy (Abgrenzung) against brandt's ostpolitik. The government of GDR felt the crisis of the government system collapse. Brandt remembered that he felt Germany was defeated entirely when he was elected chancellor. This means Germany should abandon the previous rights like territorial rights and reunification etc. In reality, at that time the FRG tried to approach the German question through ostpolitik that abandoned the rights of Germany and used the political and economic leverage .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아데나워 시기의 동방정책
      • Ⅲ. 브란트가 구상한 유럽의 평화정책
      • Ⅳ. 브란트 시기의 동방정책과 독일문제 접근
      • Ⅴ. 전후 동방정책의 성격
      • Ⅰ. 머리말
      • Ⅱ. 아데나워 시기의 동방정책
      • Ⅲ. 브란트가 구상한 유럽의 평화정책
      • Ⅳ. 브란트 시기의 동방정책과 독일문제 접근
      • Ⅴ. 전후 동방정책의 성격
      • Ⅵ.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Nolte, Ernst,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과 한국 : 유사점, 차이점, 전망" 1988

      2 권오중, "국가적 통일인가, 서방측으로의 통합인가? ― 독일연방공화국(구 서독)의 정부수립과 아데나워 정부의 독일정책 결정에 관한 문제―" 역사교육연구회 (91) : 217-247, 2004

      3 Bange, Oliver, "“Ostpolitik as a source of intra-bloc tensions”, in the project “Ostpolitik and Détente”"

      4 Löwenthal, Richard, "vom Kalten Krieg zur Ostpolitik" 1974

      5 Prittie, Terence, "Willy Brant ; Portrait of a stetesman" 1974

      6 "Wiedervereinigung und Sicherheit Deutschlands Bd.Ⅱ 1964-1967" Herausgeber des Archivs der Gegenwart

      7 "Wiedervereinigung und Sicherheit Deutschlands Bd.Ⅰ 1944-1963" Herausgeber des Archivs der Gegenwart

      8 Foschepoth, Josef, "Westintegration statt Wiedervereinigung, Adenauer Deutschlandpolitik 1949-1955 in : Adenauer und die Deutsche Frage" 1988

      9 Krell, Gert, "West German Ostpolitik and the German Question" 28 (28): 1991

      10 Sodaro, Michael J., "US-Soviet Relations: Detente or Cold War? in : Economic Relations with the Soviet Union: American and West German Perspectives" 1985

      1 Nolte, Ernst,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과 한국 : 유사점, 차이점, 전망" 1988

      2 권오중, "국가적 통일인가, 서방측으로의 통합인가? ― 독일연방공화국(구 서독)의 정부수립과 아데나워 정부의 독일정책 결정에 관한 문제―" 역사교육연구회 (91) : 217-247, 2004

      3 Bange, Oliver, "“Ostpolitik as a source of intra-bloc tensions”, in the project “Ostpolitik and Détente”"

      4 Löwenthal, Richard, "vom Kalten Krieg zur Ostpolitik" 1974

      5 Prittie, Terence, "Willy Brant ; Portrait of a stetesman" 1974

      6 "Wiedervereinigung und Sicherheit Deutschlands Bd.Ⅱ 1964-1967" Herausgeber des Archivs der Gegenwart

      7 "Wiedervereinigung und Sicherheit Deutschlands Bd.Ⅰ 1944-1963" Herausgeber des Archivs der Gegenwart

      8 Foschepoth, Josef, "Westintegration statt Wiedervereinigung, Adenauer Deutschlandpolitik 1949-1955 in : Adenauer und die Deutsche Frage" 1988

      9 Krell, Gert, "West German Ostpolitik and the German Question" 28 (28): 1991

      10 Sodaro, Michael J., "US-Soviet Relations: Detente or Cold War? in : Economic Relations with the Soviet Union: American and West German Perspectives" 1985

      11 Duignan, Peter, "The United States and the New Europe 1945- 1992" 1994

      12 Anderson, Jeffery J., "The German Model and Europe Intergration: Between Unification and Union"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Brown university 1997

      13 Dannenberg Julia, "The Foundations of Ostpolitik: The Making of the Moscow Treaty between West Germany and the USSR" 2008

      14 "Texte zur Deutschlandpolitik, Bd. IV"

      15 "Texte zur Deutschlandpolitik Reihe Ⅱ/Bd. 1"

      16 "Texte zur Deutschlandpolitik Bd. Ⅷ"

      17 "Texte zur Deutschlandpolitik Bd. Ⅱ"

      18 Rubinstein, Alvin Z., "Soviet Foreign policy since World war 2: Imperial and Global" 1993

      19 Grewe, Willhelm G., "Rückblenden 1976-1951" 1979

      20 Bleek, Wilhelm, "Review: From Coldwar to Ostpolitik : Two Germanies in search of separate identities" 29 (29): 119-120, 1976

      21 Schulz, Eberhard, "Ost politische Optione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22 Brandt Willy, "North-South: A programme for survival" 1980

      23 Hakkarainen, Petri, "New Interpretations of Cold War History: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the Conference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CSCE), 1969-72" 9-10, 2003

      24 Ash, Timothy Garton, "Im Namen Europas: Deutschland und der geteilte Kontinent" 1995

      25 Zaborowski, Marcin, "Germany, Poland and Europe: Conflict, cooperation and Europeanisation" 2004

      26 Whetten, Lawrence L., "Germany's Ostpolitik Relations between the Federal Republic and the Warsaw Pact Countries" 1970

      27 Smith, Jean Edward, "Germany the Beyond Wall" 1969

      28 Joffe, Josef, "German Reunification : how, why and why now?" 1990

      29 Brandt Willy, "Fridenspolitik in Europa" 1968

      30 Adenauer, Konrad, "Erinnerungen 1945-1953" 1965

      31 Brandt Willy, "Erinnerungen" 1989

      32 Birnbaum Karl E., "East&West Germany: A Modus Vivendi" 1973

      33 Presse- und Informationsamt der Bundesregierung, "Dokumente zur Ostpolitik"

      34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Documents on Germany 1944-1985"

      35 Schwartz, Hans Peter, "Die Ära Adenauer, Epochen Wechsel 1957-1963" 1983

      36 Meissner Boris, "Die deutsche Ostpolitik 1961-1970: Kontinuität und Wandel" 1970

      37 Hanrieder Wolfram F., "Deutschland, Europa, Amerika: die Aussenpolitik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1949-1994" 1995

      38 Adenauer, Konrad, "Deutschland, Europa und die Atlantische Allianz in : Deutschland und die Welt: Zur Aussenpolitik der Bundesrepublik 1949-1963" 1964

      39 Hillgruber, Andreas, "Deutsche Geschichte 1945-1986: Die Deutsche Frage in der Weltpolitik" 130-, 1984

      40 Brandt Willy, "Der Wille zum Frieden(평화에의 의지)" 1979

      41 Lehmann Axel, "Der Mashall-Plan und das neue Deutschland: die Folgen amerikanischer Besatzungspolitik in den Westzonen" 2000

      42 Bluth, Christoph, "Braitan, Germany, and Western Nuclear Strategy" 1995

      43 "BA(Bundesarchiv Koblenz), B136(Bundeskanzlerment amt)/ 6351, B136/ 6505, B136/ 6506"

      44 Spanier, John W., "American Foreign policy since world war II" 1998

      45 U.S. Department of State Historical Office, "American Foreign Policy 1950-1955: Basic Documents Vol.2" 1957

      46 "Akten zur auswärtigen Politik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AAPD 1970

      47 "Akten zur auswärtigen Politik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AAPD 1969

      48 Bark, Dennis L., "A History of West Germany Vol. 1: From Shadow to Substance 1945-1963"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49 1.216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