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of Long-Term Care Agenci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300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직무소진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노인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와 사회복지사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2월 1일부터 3월 1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직접 방문 또는 우편으로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에 사용된 유효 설문지 254부(사회복지사 85부, 요양보호사 169부)이었다. 분석방법은 SPSS 26.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하였으며, AMOS 26.0을 사용하여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은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직무소진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직무소진을 통하여 이직의도에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적 탈진과 성취감 감소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정책적 제언을 하면 첫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의 향상을 위해 제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의 보호 요인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실천적 제언을 하면 첫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을 강화하는 인적자원관리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사회적 자본의 하위요인인 신뢰, 규범,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직무소진의 보호 요인을 찾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직무소진 하위요인 중 정서적 탈진과 성취감 감소를 낮출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정서적 탈진보다 성취감 감소를 낮출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매개요인을 찾아 적용할 필요가 있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첫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종사자의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 이외의 어떤 변인에 보호 요인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소진 이외의 매개 변인이 있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직무소진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노인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와 사회...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직무소진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노인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와 사회복지사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2월 1일부터 3월 1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직접 방문 또는 우편으로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에 사용된 유효 설문지 254부(사회복지사 85부, 요양보호사 169부)이었다. 분석방법은 SPSS 26.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하였으며, AMOS 26.0을 사용하여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은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직무소진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직무소진을 통하여 이직의도에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적 탈진과 성취감 감소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정책적 제언을 하면 첫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의 향상을 위해 제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의 보호 요인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실천적 제언을 하면 첫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을 강화하는 인적자원관리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사회적 자본의 하위요인인 신뢰, 규범,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직무소진의 보호 요인을 찾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직무소진 하위요인 중 정서적 탈진과 성취감 감소를 낮출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정서적 탈진보다 성취감 감소를 낮출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매개요인을 찾아 적용할 필요가 있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첫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종사자의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 이외의 어떤 변인에 보호 요인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사회적 자본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소진 이외의 매개 변인이 있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그 림 목 차
      • [그림 Ⅲ-1] 연구모형 33
      • [그림 Ⅳ-1] 사회적 자본 1차 확인적 요인분석 52
      • [그림 Ⅳ-2] 사회적 자본 2차 확인적 요인분석 54
      • 그 림 목 차
      • [그림 Ⅲ-1] 연구모형 33
      • [그림 Ⅳ-1] 사회적 자본 1차 확인적 요인분석 52
      • [그림 Ⅳ-2] 사회적 자본 2차 확인적 요인분석 54
      • [그림 Ⅳ-3] 직무소진 1차 확인적 요인분석 57
      • [그림 Ⅳ-4] 직무소진 2차 확인적 요인분석 59
      • [그림 Ⅳ-5] 이직의도 1차 확인적 요인분석 61
      • [그림 Ⅳ-6] 이직의도 2차 확인적 요인분석 62
      • [그림 Ⅳ-7] 측정모형 1차 확인적 요인분석 64
      • [그림 Ⅳ-8] 측정모형 2차 확인적 요인분석 65
      • [그림 Ⅳ-9] 직무소진 매개의 구조모형 분석 결과 73
      • [그림 Ⅳ-10] 직무소진 하위변인 매개의 구조모형 분석 결과 79
      • 표 목 차
      • <표 Ⅱ-1> 사회적 자본의 개념 12
      • <표 Ⅱ-2>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 13
      • <표 Ⅱ-3> 직무소진의 개념 19
      • <표 Ⅱ-4> 직무소진의 구성요소 20
      • <표 Ⅱ-5> 이직의도의 개념 25
      • <표 Ⅲ-1> 사회적 자본의 하위변인 및 신뢰도 36
      • <표 Ⅲ-2> 직무소진의 하위변인 및 신뢰도 37
      • <표 Ⅲ-3> 이직의도 사용문항 및 신뢰도 38
      • <표 Ⅳ-1> 조사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41
      • <표 Ⅳ-2> 조사대상자의 이직 관련 특성 43
      • <표 Ⅳ-3> 주요변수의 기술적 특성 44
      • <표 Ⅳ-4> 성별에 따른 주요 변수의 집단 간 차이 45
      • <표 Ⅳ-5> 학력에 따른 주요 변수의 집단 간 차이 46
      • <표 Ⅳ-6> 나이에 따른 주요 변수의 집단 간 차이 47
      • <표 Ⅳ-7> 근무 경력에 따른 주요 변수의 집단 간 차이 48
      • <표 Ⅳ-8> 직종에 따른 주요 변수의 집단 간 차이 49
      • <표 Ⅳ-9>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 51
      • <표 Ⅳ-10> 사회적 자본의 확인적 요인분석 55
      • <표 Ⅳ-11> 직무소진의 확인적 요인분석 60
      • <표 Ⅳ-12> 이직의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63
      • <표 Ⅳ-13> 측정모형에 대한 경로 검증 결과 66
      • <표 Ⅳ-14> 측정모형의 잠재 변수 간 상관계수 67
      • <표 Ⅳ-15> 측정변수의 집중타당성 및 판별타당성 68
      • <표 Ⅳ-16> 직무소진 매개의 구조모형 측정변수 표준부하량 70
      • <표 Ⅳ-17> 직무소진 매개의 구조모형 통제변수의 영향 71
      • <표 Ⅳ-18> 사회적 자본이 직무소진의 매개를 통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74
      • <표 Ⅳ-19> Bootstrapping 직무소진 간접효과 유의미성 검증 74
      • <표 Ⅳ-20> 사회적 자본이 직무소진의 매개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75
      • <표 Ⅳ-21> 직무소진 하위변인 매개의 측정변수 표준부하량 76
      • <표 Ⅳ-22> 직무소진 하위변인 매개의 통제변수의 영향 77
      • <표 Ⅳ-23> 직무소진 하위변인 매개의 구조모형 분석 80
      • <표 Ⅳ-24> Bootstrapping 정서적 탈진 및 성취감 감소의 간접효과 유의미성 검증결과 81
      • <표 Ⅳ-25> 사회적 자본이 직무소진 하위변인 매개를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직ㆍ간접효과 크기 82
      • <표 Ⅳ-26> 연구가설 검증결과 85
      • 국문초록 ⅶ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3. 조작적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10
      • 1. 사회적 자본 10
      • 가. 사회적 자본의 개념 10
      • 나.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 13
      • 다. 사회적 자본의 영향 16
      • 2. 직무소진 17
      • 가. 직무소진의 개념 17
      • 나. 직무소진의 구성요소 19
      • 다. 직무소진의 원인 및 영향 23
      • 3. 이직의도 24
      • 가. 이직의도의 개념 24
      • 나. 이직의도의 예측 변인 25
      • 다. 이직의도의 영향 27
      • 4. 사회적 자본, 직무소진, 이직의도의 관계 28
      • 가. 사회적 자본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28
      • 나. 사회적 자본과 직무소진과의 관계 29
      • 다.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30
      • 라.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31
      • Ⅲ. 연구방법 32
      • 1. 연구모형 32
      • 2. 연구가설 33
      • 3.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34
      • 4. 측정 도구 34
      • 5. 자료 분석 방법 38
      • Ⅳ. 연구 결과 39
      • 1. 일반적인 특성 39
      • 2. 주요변수의 기술적 특성 43
      • 3.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의 집단 간 차이 44
      • 4.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 49
      • 5. 측정모형 분석 결과 50
      • 6. 구조모형 분석 결과 68
      • 가. 직무소진 매개의 구조모형 분석 결과 68
      • 나. 직무소진 하위변인 매개의 구조모형 분석 결과 73
      • 다. 연구가설 검증 결과 80
      • Ⅳ. 결론 84
      • 1.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84
      • 2. 연구의 함의 92
      • 3. 연구의 결론 및 제언 94
      • 참고문헌 97
      • ABSTRACT 114
      • 설 문 지 1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