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거리브랜딩 로고디자인 특성이 브랜드이미지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로컬브랜드 1기 상권을 대상으로 - = The Impact of Street Branding Logo Design Characteristics on Brand Image and Revisit Intention- Focusing on The Seoul Local Brand Commercial District Development Project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738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2022, Seoul has been conducting the Seoul Local Brand Commercial District Development Project, which develops street commercial districts as part of street branding. In the first phase, street branding logo designs were created for four local brands. This study conducted an SEM analysis to examine how the Street Branding Logo Design Characteristics for the first local brand in Seoul affect Brand Image and Revisit Inten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ctual visitors from each commercial district,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FA, Correlation analysis, and SEM. The results showed that Differentiation, Aesthetic, and Ease of Use among the Street Branding Logo Design Characteristics positively affected Brand Image, while Symbolism did not. Brand Image positively influenced Revisit Intention, with Brand Image serving as a complete mediator between the Street Branding Logo Design Characteristics and Revisit Intention. Differentiation, Aesthetics, and Ease of Use strengthened Brand Image and indirectly contributed to Revisit Intention. Seoul Local Brand should explore diverse approaches beyond Street Branding Logo Design to effectively promote the identity of street commercial districts. Moreover, it is suggested that Street Branding Logo Designs should be developed with a focus on Differentiation, Aesthetics, and Ease of Use.
      번역하기

      Since 2022, Seoul has been conducting the Seoul Local Brand Commercial District Development Project, which develops street commercial districts as part of street branding. In the first phase, street branding logo designs were created for four local br...

      Since 2022, Seoul has been conducting the Seoul Local Brand Commercial District Development Project, which develops street commercial districts as part of street branding. In the first phase, street branding logo designs were created for four local brands. This study conducted an SEM analysis to examine how the Street Branding Logo Design Characteristics for the first local brand in Seoul affect Brand Image and Revisit Inten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ctual visitors from each commercial district,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FA, Correlation analysis, and SEM. The results showed that Differentiation, Aesthetic, and Ease of Use among the Street Branding Logo Design Characteristics positively affected Brand Image, while Symbolism did not. Brand Image positively influenced Revisit Intention, with Brand Image serving as a complete mediator between the Street Branding Logo Design Characteristics and Revisit Intention. Differentiation, Aesthetics, and Ease of Use strengthened Brand Image and indirectly contributed to Revisit Intention. Seoul Local Brand should explore diverse approaches beyond Street Branding Logo Design to effectively promote the identity of street commercial districts. Moreover, it is suggested that Street Branding Logo Designs should be developed with a focus on Differentiation, Aesthetics, and Ease of U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서울시는 2022년부터 거리브랜딩의 일환으로 성장 잠재성이 있는 골목 상권을 개발하는 서울시 로컬브랜드 상권 육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중 1기 상권에 해당하는 양재천길, 장충단길, 선유로운, 오류버들 상권에서 거리브랜딩 로고디자인이 개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로컬브랜드 1기 상권의 거리브랜딩 로고디자인 특성이 해당 상권의 브랜드이미지와 재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의문을 품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각 상권의 실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고, 수집된 결과를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델 분석,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1기 상권 4곳의 거리브랜딩 로고디자인 특성 중 차별성, 심미성, 용이성은 브랜드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상징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브랜드이미지는 재방문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1기 상권 4곳의 거리브랜딩 로고디자인의 모든 특성이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브랜드이미지는 거리브랜딩 로고디자인 특성과 재방문의도의 완전 매개변수로 입증되었다. 서울시 로컬브랜드 1기 상권의 거리브랜딩 로고디자인의 차별성, 심미성, 용이성이 브랜드이미지를 강화하고, 이는 방문객의 재방문의도에 직접적으로 기여함을 의미한다. 서울시 로컬브랜드는 거리브랜딩 로고디자인을 통해 해당 상권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있지만, 거리브랜딩 로고디자인 이외 다양한 방법으로 상권의 정체성을 알릴 방법을 모색해야 하며, 차별성, 심미성, 용이성을 중점으로 고려해 거리브랜딩 로고디자인을 개발해야 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서울시는 2022년부터 거리브랜딩의 일환으로 성장 잠재성이 있는 골목 상권을 개발하는 서울시 로컬브랜드 상권 육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중 1기 상권에 해당하는 양재천길, 장충단길, ...

      서울시는 2022년부터 거리브랜딩의 일환으로 성장 잠재성이 있는 골목 상권을 개발하는 서울시 로컬브랜드 상권 육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중 1기 상권에 해당하는 양재천길, 장충단길, 선유로운, 오류버들 상권에서 거리브랜딩 로고디자인이 개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로컬브랜드 1기 상권의 거리브랜딩 로고디자인 특성이 해당 상권의 브랜드이미지와 재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의문을 품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각 상권의 실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고, 수집된 결과를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델 분석,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1기 상권 4곳의 거리브랜딩 로고디자인 특성 중 차별성, 심미성, 용이성은 브랜드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상징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브랜드이미지는 재방문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1기 상권 4곳의 거리브랜딩 로고디자인의 모든 특성이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브랜드이미지는 거리브랜딩 로고디자인 특성과 재방문의도의 완전 매개변수로 입증되었다. 서울시 로컬브랜드 1기 상권의 거리브랜딩 로고디자인의 차별성, 심미성, 용이성이 브랜드이미지를 강화하고, 이는 방문객의 재방문의도에 직접적으로 기여함을 의미한다. 서울시 로컬브랜드는 거리브랜딩 로고디자인을 통해 해당 상권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있지만, 거리브랜딩 로고디자인 이외 다양한 방법으로 상권의 정체성을 알릴 방법을 모색해야 하며, 차별성, 심미성, 용이성을 중점으로 고려해 거리브랜딩 로고디자인을 개발해야 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