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터넷 중독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10991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단국대학교, 2007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62.707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Influence of Internet Addition on Juveniles

      • 형태사항

        v,66장: 삽도;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김성종
        참고문헌: 58-64장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실에서 인터넷이 존재하지 않는 세상은 상상도 할 수 없을 것이다. 인터넷은 이제 우리생활에서 우리들을 점점 정보의 바다에 빠져들게끔 하고 있으며, 세계 어느 곳을 가던지 인터넷을 통해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었다. 이런 세상은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감히 엄두도 내지 못했다. 하지만 지금은 그 변화 속도에 인간이 같이 하기에는 왠지 부족해 보인다.
      인터넷이 우리 삶을 조금 더 좋은 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있지만 반대로 역기능도 발생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인간이 인터넷에 중독되어 버리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장래가 한 없이 밝은 우리 청소년들이 인터넷의 바다에서 탈출하지 못하고 끝없이 헤매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게임중독과 무차별적으로 들어오는 성인물에 대한 중독은 인터넷의 어두운 단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피해가 점점 더 많이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첫째, 청소년과 인터넷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나타나는 관계와 특징들로 익명성과 자아 존중감(Self-Esteem)의 결핍, 심리적인 해방감을 이론적 배경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여러 이론적 근거들을 제시하고 인터넷 중독에 관한 주요 특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가장 최근 자료인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조사한 2006년 인터넷실태조사를 통해서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 실태를 구체적인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인터넷 중독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넷째, 인터넷 중독의 해결방안으로 가족과 학교, 사회의 종합적인 환경접근을 통하여 새로운 청소년 여가 문화 활동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결국 인터넷 중독이라는 문제는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문제로 인식하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청소년 문화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현실에서 인터넷이 존재하지 않는 세상은 상상도 할 수 없을 것이다. 인터넷은 이제 우리생활에서 우리들을 점점 정보의 바다에 빠져들게끔 하고 있으며, 세계 어느 곳을 가던지 인터넷을 ...

      현실에서 인터넷이 존재하지 않는 세상은 상상도 할 수 없을 것이다. 인터넷은 이제 우리생활에서 우리들을 점점 정보의 바다에 빠져들게끔 하고 있으며, 세계 어느 곳을 가던지 인터넷을 통해 모든 작업을 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었다. 이런 세상은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감히 엄두도 내지 못했다. 하지만 지금은 그 변화 속도에 인간이 같이 하기에는 왠지 부족해 보인다.
      인터넷이 우리 삶을 조금 더 좋은 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있지만 반대로 역기능도 발생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인간이 인터넷에 중독되어 버리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장래가 한 없이 밝은 우리 청소년들이 인터넷의 바다에서 탈출하지 못하고 끝없이 헤매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게임중독과 무차별적으로 들어오는 성인물에 대한 중독은 인터넷의 어두운 단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피해가 점점 더 많이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첫째, 청소년과 인터넷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나타나는 관계와 특징들로 익명성과 자아 존중감(Self-Esteem)의 결핍, 심리적인 해방감을 이론적 배경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여러 이론적 근거들을 제시하고 인터넷 중독에 관한 주요 특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가장 최근 자료인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조사한 2006년 인터넷실태조사를 통해서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 실태를 구체적인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인터넷 중독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넷째, 인터넷 중독의 해결방안으로 가족과 학교, 사회의 종합적인 환경접근을 통하여 새로운 청소년 여가 문화 활동을 개발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결국 인터넷 중독이라는 문제는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문제로 인식하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청소년 문화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w we may not imagine a world in which internet does not exist. Internet is gradually letting us plunge into a sea of information in daily life, and has made a world in which we may do all kinds of business through internet wherever we may go. We may not even think about this world several years ago. But, today human ability seems lacking in keeping pace with its changing speed.
      Even though internet is leading us toward a little bit better life, on the contrary it generates negative-function. Its representative example is an internet addition, particularly juveniles whose future should be boundlessly bright are straying about, not escaping from the sea of internet.
      Typically, addiction to game and X-rated movie introduced indiscreetly shows a dark side of internet, generating increasing number of damage. Accordingly, this essay is intended to examine, first, anonymity, lack of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feeling of freedom, as relations and characteristics shown through the studies on juveniles and internet, as a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 it suggested various theoretical grounds regarding internet addition and examined major property as to the internet addition. Third, it found out actual problems of internet addition by utilizing concrete statistical data, through the latest actual status of internet surveyed by Korea Agency Digital Opportunity & Promotion in 2006. Fourth, it proposed an alternative solution for internet addition, through integrated access of family, school and society, developing and improving new leisure and culture activities for juveniles.
      After all, internet addition should be recognized as a problem of the whole society, not a personal matter, and effort for developing integrated and systematic juvenile cultural programs is keenly required.
      번역하기

      Now we may not imagine a world in which internet does not exist. Internet is gradually letting us plunge into a sea of information in daily life, and has made a world in which we may do all kinds of business through internet wherever we may go. We may...

      Now we may not imagine a world in which internet does not exist. Internet is gradually letting us plunge into a sea of information in daily life, and has made a world in which we may do all kinds of business through internet wherever we may go. We may not even think about this world several years ago. But, today human ability seems lacking in keeping pace with its changing speed.
      Even though internet is leading us toward a little bit better life, on the contrary it generates negative-function. Its representative example is an internet addition, particularly juveniles whose future should be boundlessly bright are straying about, not escaping from the sea of internet.
      Typically, addiction to game and X-rated movie introduced indiscreetly shows a dark side of internet, generating increasing number of damage. Accordingly, this essay is intended to examine, first, anonymity, lack of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feeling of freedom, as relations and characteristics shown through the studies on juveniles and internet, as a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 it suggested various theoretical grounds regarding internet addition and examined major property as to the internet addition. Third, it found out actual problems of internet addition by utilizing concrete statistical data, through the latest actual status of internet surveyed by Korea Agency Digital Opportunity & Promotion in 2006. Fourth, it proposed an alternative solution for internet addition, through integrated access of family, school and society, developing and improving new leisure and culture activities for juveniles.
      After all, internet addition should be recognized as a problem of the whole society, not a personal matter, and effort for developing integrated and systematic juvenile cultural programs is keenly requi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배경 = 1
      •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 3
      • 제2장 이론적 배경 = 5
      • 제1절 청소년과 인터넷 = 5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배경 = 1
      •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 3
      • 제2장 이론적 배경 = 5
      • 제1절 청소년과 인터넷 = 5
      • 1. 청소년의 개념 = 5
      • 2. 청소년기와 인터넷 = 6
      • 3.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 중에 나타나는 특성 = 8
      • 제2절 인터넷 중독 = 13
      • 1. 인터넷 중독의 개념 = 13
      • 2. 인터넷 중독의 측정 = 14
      • 3. 인터넷 중독의 원인 = 16
      • 4. 인터넷 중독의 특성 = 18
      • 제3장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발생현황 = 21
      • 제1절 청소년 인터넷 중독 현황 = 21
      • 1. 게임중독현황 = 25
      • 2. 통신(채팅)중독 현황 = 27
      • 3. 음란물중독 현황 = 29
      • 제2절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문제점 = 32
      • 1. 게임중독의 문제점 = 32
      • 2. 통신(채팅)중독의 문제점 = 33
      • 3. 음란물중독의 문제점 = 35
      • 4. 인터넷 중독의 개인적 ㆍ 사회적 문제점 = 37
      • 제4장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해결방안 = 41
      • 1. 게임중독의 해결방안 = 41
      • 2. 통신(채팅)중독의 해결방안 = 43
      • 3. 음란물 중독의 해결방안 = 44
      • 4. 인터넷 중독의 개인ㆍ가족ㆍ학교 환경접근별 해결방안 = 46
      • 5. 청소년의 여가 문화 개선을 통한 해결방안 = 51
      • 제5장 결론 = 55
      • 참고문헌 = 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