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憲法上 個人情報保護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the Constitutional La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5153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명지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 2009. 8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4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x, 253 p. ; 26cm

      • 일반주기명

        명지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조병륜
        참고문헌 : p.234-248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ur society is often referred to as an information society. The rapid growth of information society has changed human's life in quality and quantity, but it also has the reverse function. One of the reverse function is the infringement of the personal...

      Our society is often referred to as an information society. The rapid growth of information society has changed human's life in quality and quantity, but it also has the reverse function. One of the reverse function is the infringemen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Recently, the fact of the spill of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million of people is very serious problem.
      The possibility of infringement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increases not only at the state level but the corporation and interpersonal basis. It is also true that the liberal democratic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human dignity and rights is endangered when personal information can not be protected according to his will.
      There since the late 19th century, the need to protect of privacy has been proposed. In the 1960s, the protection of privacy has been accepted as a constitutional rights after the case of 'right ti be alone' by Judge Cooley.
      Since then, as affected by the U.S., the rights of privacy has been authorized as a constitutional rights in the Germany, the Japan, and the Korea. At the outset, the concept of privacy was considered as traditional and passive one, but, as possibility of leak-out and its illegal usage increase, it has extended to the 'information privacy', as a broad concept, which means one should decide the usage of his own information.
      As a modern and active concept, 'information privacy' is defined as one's rights to control of the information flow related to him, which can also be called as the right to control of personal information, the right to management and control of personal information, or the right to decision to information.
      However Korean constitutional has not a clear definition about the 'information privacy', which has incurred the debates about related constitutional grounds in the leading cases and in the circle of academia.
      The arguments about constitutional ground of information privacy are various along commentators. Some commentators have argued that the constitutional ground for the information privacy can be founded from Article 10(human dignity and worth). Some argues Article 17(right of privacy), Article 16(freedom of residence and movement), and Article 18(privacy of correspondence) respectively, while others have considered both Article 10 and Article 17 as a constitutional ground.
      Though the analysis, I thought that Article 10 and Article 17 should be considered as a related constitutional ground because the Korean constitu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Germany and the U.S. It is because Korean constitution prescribes separately general human rights such as human dignity and pursuit of happiness in Article 10 and right of privacy in Article 17.
      Because 'Information privacy' implies two features in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derivative right from 'Information privacy' such as the right to anonymity, the petition for prohibi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petition for perusal, revision, deletion are needed to effectively protect the 'Information privacy'. Thus the article explains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light of constitutional law.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roblem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ith the current related laws based on the basic understanding. The research effort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ChapterⅡ, described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personal information. Thought there are so many personal information,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personal information on internet, e -governance etc.
      First, the article explains the defini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n
      explains the legal form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Though, A view is that the righ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is recognized as the right of ownership, and that of the privacy, the article explains the protec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in the light of the individual right of personality as the righ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is the most proper. The reason why the legal theory is that the protection can be by the claim for omission, damage, injunction in the process of the collection and management.
      One side introduced the law in order to protect the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to EU, OECD, U.S.A, Germany, France, England, Sweden, Ireland, and Portugal at the international level. Especially, this chapter analyzed the act of "promoting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tecting information" in Korea.
      Chapter Ⅲ, The Law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y Public Agencies of Korea need to be revised to reflect the international principles 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to make data subject's rights practical. Further, it's urgent to make the regulations to restrict data retrieval for computer matching and to establish an organ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hich will perform the outside control.
      In the private sector, although law and self regulations are applied, the law about the promotion of information protects only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mputer and does not protect the information not processed by computer.
      In addition, it has been criticized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has not been well protected because of the deficiency of regulations to control the gathering, storing the information by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 and the low public recognition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sense, compared with international and other countries' laws, Korean law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re not sufficient because Korea has no basic law and no professional agencies. There it is urgent to enact a basic law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hapter Ⅳ, It's necessary to establish a law prescribing the major contents of a census, to make it compulsory to provide concrete safety measure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to statistical work under supervision of the organ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s for checking one's backgrounds, a law that directly stipulates for it should be enacted or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Act should include a provision that clearly regulates the major contents of it.
      In the long term, The law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established both in public and private sector, and the matter of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settled by the law. But the law is not enough to protect the personal information. The reason why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discussed in the light of constitutional law. It is time to discuss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the light of constitutional law.
      Especially The state agencies should be required of the rational and strict legal requirements in their tasks related to information in order to protect the pers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emphasis on the protec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should not hinder the flow of information and business activities. Hence it need to harmonize and balance betwee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haring of information and e-commerce, with the efforts of state and private in order to protect the personal inform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4
      • 제2장 헌법상의 개인정보보호 = 7
      • 제1절 정보사회에서의 개인정보보호 = 7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 = 1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4
      • 제2장 헌법상의 개인정보보호 = 7
      • 제1절 정보사회에서의 개인정보보호 = 7
      • 제1항 정보사회의 의의 = 7
      • 1. 정보사회의 개념 = 7
      • 2. 정보사회의 특성 = 8
      • 제2항 정보사회와 인터넷 = 10
      • 1. 인터넷의 확산과 국가가능 = 10
      • 2. 정보환경의 변화 - 전자정부의 등장 = 13
      • 제3항 개인정보보호 침해 = 16
      • 1. 개인정보침해 가능성의 증대 = 16
      • 2. 개인정보 침해 유형 및 현황 = 19
      • (1) 개인정보 침해 유형 = 19
      • (2) 개인정보 침해유형에 따른 현황 = 24
      • 3. 개인정보보호의 필요성 = 26
      • 제2절 정보사회에서의 헌법의 역할 = 28
      • 제1항 정보사회에서 국가의 역할 = 28
      • 제2항 국가역할설정 기초로서 헌법 = 30
      • 제3항 정보국가에 관한 헌법적 규율 = 32
      • 제4항 정보사회에서의 헌법의 과제 = 33
      • 제3절 개인정보보호제도의 헌법적 의의 = 35
      • 제1항 개인정보보호의 개념 = 35
      • 1. 외국의 법률상 개인정보의 개념 = 35
      • 2. 우리나라의 법률상 개인정보의 개념 = 36
      • (1) 개인에 관한 정보 = 38
      • (2)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 38
      • 제2항 개인정보보호제도의 헌법적 의의 = 40
      • 1. 프라이버시권의 발전과 개념 = 40
      • 2. 헌법상 개인정보보호의 근거와 법적 성격 = 42
      • (1) 인간의 존엄·가치·행복추구권설 = 42
      • (2) 자유권과 인격권의 결합설 = 43
      • (3) 독자적인 인격설 = 44
      • 3. 프라이버시보호와 개인정보보호의 관계 = 44
      • 4. 프라이버시권과 정보자기결정권의 개념적 관계 = 47
      • 제3항 헌법상 정보자기결정권의 기초로서 개인정보 = 47
      • 1. 헌법상 정보자기결정권의 문제 = 47
      • 2. 헌법상 정보자기결정권에 대한 일반적 논의 = 50
      • 3. 정보자기결정권의 구체적 내용 = 59
      • 4. 정보자기결정권의 제한과 한계 = 60
      • (1) 제한의 필요성 = 60
      • (2) 충돌하는 규범적 가치 = 61
      • (3) 정보자기결정권의 제한의 원리 = 63
      • (4) 정보자기결정권의 한계 = 68
      • 제3장 개인정보보호법제와 기구 = 71
      • 제1절 우리나라 개인정보기구 = 71
      • 제1항 개인정보보호기구의 연혁과 적용범위 = 71
      • 1. 개인정보보호법제의 연혁 = 71
      • 2. 개인정보활용의 적용범위 = 72
      • (1) 개인정보활용 의의 = 72
      • (2) 민간부문에서 개인정보보호법의 적용범위에 관한 논쟁 = 73
      • (3)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기구 = 73
      • 제2항 공공부문의 개인정보보호기구 = 75
      • 1. 개인정보보호 심의위원회 = 75
      • 2. 행정자치부 = 76
      • 제3항 민간부문의 개인정보보호기구 = 79
      • 1. 온라인부문의 집행체계와 개인정보보호기구 = 79
      • (1)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79
      • (2)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80
      • (3) 정보통신부 = 81
      • (4) 평가 및 문제점 = 82
      • 2. 신용정보부문의 집행체계와 개인정보보호기구 = 83
      • (1) 금융감독위원회와 금융감독원 = 83
      • 3. 유전정보부문의 집행체계와 개인정보보호기구 = 85
      • 제4항 기타 관련 기구 = 86
      • 1. 국가인권위원회 = 86
      • (1) 설립근거 = 86
      • (2) 역할과 권한 = 87
      • (3) 한계 = 88
      • 2. 사이버테러대응센터 및 대검찰청 인터넷범죄수사센터 = 88
      • 제2절 외국의 개인정보보호기구 = 89
      • 제1항 유럽연합(EU)의 개인정보보호기구 = 90
      • 1. EU(유럽연합)의 개인정보보호지침의 분석 = 90
      • (1) EU(유럽연합)의 개인정보보호정책의 발전 = 90
      • (2) 유럽연합(EU)의 개인정보보호정책현황 = 92
      • 2. 회원국(EU)의 개인정보보호법제 = 93
      • (1) 독일 = 94
      • (2) 프랑스 = 99
      • (3) 영국 = 105
      • (4) 기타 유럽연합(EU)회원국가 = 111
      • 제2항 미국의 개인정보보호체계와 기구 = 117
      • 1. 미국의 개인정보보호체계와 기구 = 117
      • (1) 보호입법체계와 개인정보보호(공공 ·민간부문 분리형) = 117
      • (2) 공공부문의 개인정보보호 = 119
      • (3) 민간부문의 개인정보보호 = 122
      • (4) 미국의 민간단체로서의 개인정보보호기구 = 124
      • 2. 개인정보관련 미국연방대법원의 판례 = 125
      • (1) 프라이버시의 개념 관련 판례 = 125
      • (2)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프라이버시권 관련 판례 = 127
      • (3) 익명성 관련 판례 = 127
      • (4) 언론보도 관련 판례 = 128
      • (5) 연방법원의 태도 = 130
      • 제3항 일본의 개인정보보호기구와 실제 = 132
      • 1. 개인정보보호법제의 개요 = 132
      • (1)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의 제정 배경 = 132
      • (2) 개인정보보호법의 내용 = 134
      • 2. 일본의 개인정보보호 법제의 문제점 = 136
      • 3. 일본의 개인정보관련 판례 = 137
      • 4. 일본의 개인정보보호기구 = 139
      • (1) 일본 정보처리 개발협회(JIPDEC) = 139
      • (2) 인정개인정보보호단체: 민간단체의 의한 자율규제 = 140
      • 제3절 개인정보보호기구의 개선방안 = 140
      • 제1항 개선필요성 = 140
      • 제2항 개인정보보호기구의 개선방안 = 141
      • 1. 개인정보보호기구의 독립성 강화 = 141
      • 2. 보호범위의 확장 = 142
      • 3. 개인정보보호기구 설립방안 = 143
      • (1) 대통령소속 독립위원회 설치 = 143
      • (2) 중앙행정기관화 = 144
      • (3) 국가인권위원회 부서화 = 145
      • (4) 각 대안의 비교 = 145
      • 제4절 개인정보보호 법제의 개선을 위한 주요 외국법제의 시사점 = 146
      • 제1항 미국 = 146
      • 제2항 독일 = 148
      • 제3항 영국 = 149
      • 제4항 프랑스 = 150
      • 제4장 개인정보보호의 현황과 문제점 = 153
      • 제1절 민간부문의 개인정보보호법제의 문제점 = 154
      • 제1항 개인정보에 관한 일반법 = 155
      • 1. 정보통신망법의 주요내용 = 157
      • (1)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등에 대한 지원 = 157
      • (2)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및 제공의 제한 = 158
      •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의 지정 = 159
      • (4) 개인정보취급방침의 공개와 자율규제 = 160
      • (5)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의 설치 = 161
      • (6) 정보통신망의 안정성 확보 = 162
      • 제2항 정보통신망법 관련 문제점 = 163
      • 1. 법체계상 혼란 = 163
      • 2. 법적용범위의 한계 = 164
      • 3. 효율적 개인정보보호 체계의 미흡 = 164
      • 4. 국제사회에서 개인정보보호의 협력의 필요성 = 165
      • 제2절 공공부문의 개인정보보호 법제 현황과 문제점 = 166
      • 제1항 공공부문의 개인정보보호 법제도 = 166
      • 제2항 공공부문의 의의 및 특수성 = 167
      • 1. 공공부문의 법적 의미 = 167
      • 2. 공공부문 개인정보보호의 특수성 = 169
      • 3. 공공부문 개인정보보호법제에 관한 논의 = 170
      • 제3항 공공부문에서의 개인정보보호의 원칙 = 172
      • 1. 개인정보보호기본원칙에 대한 국제적 컨센서스의 형성 = 172
      • 2. 현행법 및 개인정보보호법률(안) 원칙 = 174
      • 3. 개인정보보호법의 분석 = 175
      • 제3절 국가의 규제에 관한 문제점 = 176
      • 제1항 규제의 개념 = 177
      • 제2항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규제 유형 = 179
      • 1. 자율규제 = 180
      • 2. 국가규제 = 183
      • 제3항 규제원리 = 184
      • 제4항 규제수단 = 185
      • 제5항 규제효과 = 186
      • 제5장 개인정보보호법제의 개선방안 = 188
      • 제1절 정보통신망법의 개선방안 = 189
      • 제1항 정보통신망법의 해체 = 189
      • 1. 정보통신윤리 및 청소년보호 관련 규정들의 개별법화 = 189
      • 2. 광고성정보의 전송규제에 관한 규정들의 개별법화 여부 = 190
      • 3. 개인정보보호와 관련된 규정들의 개별법화 = 190
      • 4. 정보화촉진기본법과 상호 관련 규정 이관 여부 = 191
      • 제2항 정보통신망법의 통합 = 192
      • 1. 정보통신기반보호법의 내용 = 192
      • 2. 통합의 필요성 및 방향 = 192
      • 3. 통합의 내용 = 193
      • 제2절 공공부문의 개인정보보호 법제의 개선방안 = 195
      • 제1항 수집제한의 강화 = 195
      • 제2항 보유제한의 실질화 = 196
      • 제3항 개인정보의 이용·제공 제한의 강화 = 197
      • 제4항 정보주체의 권리확대 = 198
      • 제5항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설치 = 200
      • 제3절 민간부문의 개인정보보호 법제의 개선방안 = 201
      • 제1항 개인정보의 수집과 이용에 관한 개선 필요성 = 201
      • 1. 개인정보와 수집 = 201
      • 2. 개인정보의 이용 및 제공 = 202
      • 제2항 개인정보의 수집과 이용에 관한 동의제도의 개선방안 = 205
      • 1.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동의의 의의와 효력 = 206
      • 2.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동의의 주체와 객체 = 210
      • (1) 동의의 주제 = 210
      • (2) 동의의 객체 = 211
      • 3.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동의의 방식 = 216
      • (1) 개인의 동의와 동의방식에 관한 논쟁 = 216
      • (2) 사전동의 방식과 사후거부 방식 = 218
      • (3) 우선선택제도(Preference Service) = 220
      • (4) 사전동의 방식과 사후거부 방식의 장단점 비교 = 221
      • 제4항 동의방식에 관한 외국법제의 시사점 = 223
      • 1. 미국 = 223
      • 2. 유럽연합(EU) = 224
      • 3. 일본 = 227
      • 제6장 결론 = 228
      • 참고문헌 = 234
      • Abstract = 24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