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3.1운동 전후 동학농민전쟁 인식의 변화와 확산 = Change and Spread of Awareness of Donghak Peasant War Before and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86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ies of the Donghak Peasant War in 1894 are based on historical narratives called “Pioneering of the Modern People’s Liberation Movement” leading to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as a people-led anti-feudal and anti-imperialist reform mo...

      The studies of the Donghak Peasant War in 1894 are based on historical narratives called “Pioneering of the Modern People’s Liberation Movement” leading to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as a people-led anti-feudal and anti-imperialist reform movement. These narratives were formed around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and could be spread in conjunction with popular cul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conversion of intellectuals’ perceptions of the peasant war and the process of spreading such perceptions to the public, and to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Donghak peasant war in the national movement process since 1919 along with the meaning of it.
      First of all, immediately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memory of the Donghak peasant war was summoned in earnest and began to be recognized again, which was due to the intellectuals’ expectations of the people’s capabilities demonstrated in the March 1st movement. In addition,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Cheondogyo Youth Association actively summoned the Donghak Peasant War in the process of political empowerment of the Cheondogyo groups centered on them. To this end, ‘Gaebyeok’, a publication of the Cheondogyo Youth Association, actively summoned the memory of the Donghak Peasant War, and sought to secure their political status and legitimacy within the nationalist forces.
      In the process, the Donghak Peasant War was reinterpreted as a people’s movement, and could be spread in combination with various popular cultures. In particular, with the spread of “待望論,” looking forward to the emergence of heroes since the mid-1920s, Jeon Bong-Joon could emerge as the leader of the people. Jeon Bong-Joon’s biography, which was published at the time, was commercialized based on such popularity, and Lim Sun-gyu, the greatest star of the time, also gained considerable popularity by performing the drama “Donghakdang”.
      However, the perception of the Donghak peasant war formed during this period was still limited, and did not escape the framework of civilization in the 1900s. Although evaluated as a people’s movement, the Donghak peasant war was led by the people who were converted (enlightened) by Donghak, and was a political reform movement developed by the guidance of the pioneers such as Jeon Bong-Joon and Choi Si Hyung. This recognition did not deviate greatly from the logic that civilization rehabilitationists in the 1900s attempted to embrace the Donghak Peasant War as part of the political reform movement for the civilization of Joseon.
      Therefore, ‘斥倭倡義’ that was raised during the Donghak Peasant War was still out of their view. Rather, “斥倭” is nothing but outdated anti-foreignism and was evaluated not only as the lack of politic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but also as a cause of the failure of the Donghak Peasant War. However, this limitation of the perception seems to have acted as a factor in which various attempts of the Cheondogyo forces who tried to consolidate the national movement forces through the Donghak Peasant War were frustra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894년 동학농민전쟁 연구는 민중 주도의 반봉건·반제국주의 변혁운동으로서 1919년 3.1운동으로까지 이어지는 ‘근대민족해방운동사의 선구’라는 운동사적 서사에 기반하고 있다. 이러한 ...

      1894년 동학농민전쟁 연구는 민중 주도의 반봉건·반제국주의 변혁운동으로서 1919년 3.1운동으로까지 이어지는 ‘근대민족해방운동사의 선구’라는 운동사적 서사에 기반하고 있다. 이러한 서사는 1919년 3.1운동을 전후로 형성되었으며, 대중문화와 결합되어 확산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인식의 전환과 확산 과정을 살펴보고 그것이 갖는 의미와 함께 1919년 이후 민족운동 과정에서 동학농민전쟁이 차지하는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우선 3.1운동 직후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기억이 본격적으로 소환되어 재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3.1운동에서 보여준 민중적 역량에 대한 지식인들의 기대감 때문이었다. 또한 3.1운동 이후 천도교 청년회를 중심으로 한 천도교세력의 정치세력화 과정에서 이들은 동학농민전쟁을 적극적으로 소환하였다. 이를 위해 천도교청년회 기관지인 『개벽』은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기억을 적극적으로 소환하였으며, 민족주의 세력 내 자신들의 정치적 위상과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동학농민전쟁은 민중운동으로서 재해석되었으며, 다양한 대중문화와 결합되어 확산될 수 있었다. 특히 1920년대 중반 이후 영웅의 출현을 고대하는 ‘待望論’이 확산되는 가운데 전봉준은 민중의 지도자로 부각될 수 있었다. 당시 출간 되었던 전봉준위인전은 이러한 대중적 인기를 기반으로 상업성을 띄고 있었으며, 당대 최고 스타였던 임선규는 연극 「동학당」을 공연하여 상당한 인기를 끌기도 했다.
      하지만 이시기 형성된 동학농민전쟁 인식은 여전히 제한적이었으며, 1900년대 문명론적 인식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비록 민중운동으로서 평가되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동학에 의해서 개조(계몽)된 민중이 주도한 것이었으며, 전봉준이나 최시형과 같은 선각자의 지도에 의해 전개된 정치개혁운동이었다. 이러한 인식은 1900년대 문명개화론자들이 조선의 문명화를 위한 정치개혁운동의 일부로 동학농민전쟁을 포섭하고자 했던 논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들의 시야에서는 동학농민전쟁 당시 제기되었던 ‘斥倭倡義’는 여전히 벗어나 있었다. 오히려 ‘척왜’는 시대에 뒤쳐진 배외주의에 불과한 것으로, 민중의 정치의식 부재로 평가받았뿐 아니라 동학농민전쟁의 실패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인식의 한계는 오히려 동학농민전쟁을 매개로 민족운동 세력을 결집하고자 했던 천도교 세력들의 다양한 시도들이 좌절되는 한 요인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동현, "한말·일제시기 문명론과 ‘東學亂’ 인식" 연세대 2018

      2 정창렬, "한국사연구입문" 한국사연구입문 1981

      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 지식산업사 1988

      4 은정태, "청일전쟁기 한·중·일 삼국의 상호전략" 동북아역사재단 2009

      5 정현숙, "차상찬연구-기초 조사와 학술적 연구를 위한 제언" (16) : 2017

      6 엄찬호, "차기석계 동학농민혁명군의 활동과 이후 동향" 강원사학회 (25) : 319-342, 2011

      7 김옥란, "임선규 국민연극의 문제성 -「빙화」와 「새벽길」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소 (37) : 300-330, 2008

      8 박맹수, "이단의 민중반란" 역사비평사 2008

      9 홍동현, "오지영의 『동학사』를 다시 읽다" (73) : 2018

      10 이윤갑, "손보기박사 정년기념 사학논총" 1988

      1 홍동현, "한말·일제시기 문명론과 ‘東學亂’ 인식" 연세대 2018

      2 정창렬, "한국사연구입문" 한국사연구입문 1981

      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 지식산업사 1988

      4 은정태, "청일전쟁기 한·중·일 삼국의 상호전략" 동북아역사재단 2009

      5 정현숙, "차상찬연구-기초 조사와 학술적 연구를 위한 제언" (16) : 2017

      6 엄찬호, "차기석계 동학농민혁명군의 활동과 이후 동향" 강원사학회 (25) : 319-342, 2011

      7 김옥란, "임선규 국민연극의 문제성 -「빙화」와 「새벽길」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소 (37) : 300-330, 2008

      8 박맹수, "이단의 민중반란" 역사비평사 2008

      9 홍동현, "오지영의 『동학사』를 다시 읽다" (73) : 2018

      10 이윤갑, "손보기박사 정년기념 사학논총" 1988

      11 성주현, "박인호계의 동학혁명과 그 이후의 동향" 동학학회 (17) : 7-61, 2009

      12 김현우, "박은식의 동학 인식" 유학연구소 36 : 359-384, 2016

      13 배항섭, "민중사를 다시 말한다" 역사비평사 2013

      14 조경달, "민중과 유토피아" 역사비평사 2009

      15 성주현, "동학혁명 참여자의 혁명 이후 활동" 한국문명학회 6 (6): 2005

      16 이진영, "동학농민혁명의 동아시아적 의미" 서경 2002

      17 이영호, "대한제국시기 영학당운동의 성격" (5) : 1991

      18 김도형, "대한제국기의 정치사상연구" 지식산업사 1994

      19 왕현종, "농민전쟁의 계승과 그 계보" 역사학연구소 (27) : 185-199, 2014

      20 김선경, "농민전쟁 100년의 인식과 쟁점" 거름 1994

      21 길진숙, "근대계몽기 지식개념의 수용과 그 변용" 소명 2004

      22 이기대, "구활자본 <녹두장군>의 서지 사항과 서술 양상에 대한 연구" 동학학회 (32) : 141-181, 2014

      23 이영호, "갑오농민전쟁 이후 동학농민의 동향과 민족운동" (3) : 1990

      24 이광린, "舊韓末 講舊會 選定의 ‘愛國死士’에 대하여" (65) : 1988

      25 최수일, "『개벽』연구" 소명출판 2008

      26 박종린, "‘朝鮮史’의 서술과 역사지식 대중화 - 黃義敦의 『中等朝鮮歷史』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8 (18): 212-238, 2014

      27 배항섭, "19세기 지배질서의 변화와 정치문화의 변용 -仁政 願望의 향방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39) : 109-158, 2010

      28 김도형, "1920년대 천도교계의 민족운동 연구" (30) : 1998

      29 배항섭, "1920-30년대 새로운 ‘동학농민전쟁상’의 형성" 수선사학회 (36) : 179-208, 2010

      30 홍동현, "1900~1910년대 동학교단 세력의 ‘東學亂’에 대한 인식과 교단사 편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76) : 39-76, 2013

      31 홍동현, "1894년 일본 언론의 동학농민전쟁 인식 ― 『時事新報』와 『國民新聞』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4 (14): 239-264, 2010

      32 홍동현, "1894년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문명론적 인식의 형성과 성격" 역사문제연구소 15 (15): 147-169, 2011

      33 배항섭, "1894년 동학농민군의 반일항쟁과 ‘민족적 대연합’ 추진" (35) : 1997

      34 이영호, "1894년 농민전쟁연구 4" 역사비평사 1995

      35 박찬승, "1894년 농민전쟁연구 -농민전쟁의 정치·사상적 배경 3" 역사비평사 1993

      36 안병욱, "1894년 농민전쟁연구 -농민전쟁의 정치·사상적 배경 3" 역사비평사 1993

      37 김인걸, "1894년 농민전쟁연구 -농민전쟁의 전개과정 4" 역사비평사 1995

      38 배항섭, "1894년 농민전쟁연구 -농민전쟁의 전개과정 4" 역사비평사 1995

      39 이영호, "1894년 농민전쟁연구 -농민전쟁의 전개과정 4" 역사비평사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Donghak Studies -> The Korea Journal of Donghak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0.79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