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형용사는 중요한 의사소통 대상인 감정을 표현하는 어휘로서 의사소통을 이루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유형의 형용사보다 감정형용사의 유의어가 더욱 많기 때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45452
부산 :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 한국어교육학과 , 2024. 8
2024
한국어
부산
; 26 cm
지도교수: 조윤경
I804:21022-20000080605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감정형용사는 중요한 의사소통 대상인 감정을 표현하는 어휘로서 의사소통을 이루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유형의 형용사보다 감정형용사의 유의어가 더욱 많기 때문...
감정형용사는 중요한 의사소통 대상인 감정을 표현하는 어휘로서 의사소통을 이루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유형의 형용사보다 감정형용사의 유의어가 더욱 많기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에게 복잡하고 미묘한 감정을 표현하는 감정형용사들을 정확하게 구분하고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한국어 화자가 유의어의 의미 차이에 대해 확실하지 않더라도 직관에 의해 적절한 감정 표현을 사용할 수 있는 반면에 유의어 간의 차이에 대한 직관이 없는 외국인 학습자들은 사전에 의해 유의어 간의 의미 차이를 구분한 다음에 유의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두 가지 문화 간의 차이로 두 가지 언어의 감정형용사가 일일대응 관계가 아닌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외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 감정형용사를 사용할 때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실정이다. 특히 분노와 관련된 감정형용사는 사용 빈도가 높고 개수도 많다는 반면에 관련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고에서 중국인 학습자가 분노와 관련된 감정형용사를 배울 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분노와 관련된 한국어 감정형용사 유의어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 감정형용사 및 그들 간의 의미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함으로서 분노와 관련된 한중 감정형용사를 구분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우선 『표준국어대사전』, 『연세한국어사전』,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감정형용사의 개념과 유형, 분노의 개념, 특징과 분노와 관련된 감정의 범주 및 유의어의 개념을 정리한다. 다음에 「국제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표준국어대사전』, 『연세한국어사전』등 자료를 활용해 분노와 관련된 한국어 감정형용사를 선정하여 『낱말 유의어사전』을 활용해 유의어 쌍을 구성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주로 네 권의 중국어 소설 <何以笙簫默>, <丁庄梦>, <三體>, <许三观卖血记>와 그들의 한국어 번역본 <하이생소묵>, <딩씨마을의 꿈>, <삼체>, <허삼관 매혈기>로 만든 한·중 병렬말뭉치를 활용하여 분노와 관련된 한국어 감정형용사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 어휘를 찾아내고 분노와 관련된 한중 감정형용사 간의 의미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감정형용사는 소설에서 없는 경우 『韩汉汉韩词典』(한중중한사전), 『韩中词典』(한중사전),『现代中韩词典』(현대중한사전), 『东亚中韩韩中词典』(동아한중중한사전)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는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현장, 특히 한국어 고급 번역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게 되면 학생들의 어휘 습득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분노와 관련된 한국어 감정형용사와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 어휘를 구분하고 한국인 학습자가 중국어를 배우거나, 한국어를 배운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분노와 관련된 어휘를 가르칠 때 학습 자료로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