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악기(絃樂器)의 소리전달 방법 연구 : 거문고의 주파수 대역(周波數帶域)과 마이킹(Miking) 중심으로 = Analysis of string instrument's sound transmit : emphasis on Geomungo's frequency range and mi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593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an Analysis of String Instrument's Sound Transmit , searched un instrument's (Geomungo) material characteristic , found a difference between Type of Microphone(Type of convert system) and place of Miking.
      Also, searching for Geomungo's material and sound characteristic, Referenced to original two parts of thesis 'Analysis of String instrument's sound wave and characteristic'- 2.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 Analysis of String instrument(3)(A research communication laboratory New media affiliated with Seoul university, 01/ 01/ 2002) and 'Geomungo's sound characteristic' (Dept. of Electronic engineering Seoul University/ Du, seo-jin, Kim, seung-mo) for apply and analysis infer the whole out of a part.
      To put it in briefly,
      Frist, On average Frequency Range of Geomungo's sound is between '58.270Hz ~ 466.16Hz', from playing technical skill 'Dae-jjum''s sound(Hitting sound is coming out when it Plays Geomungo 'Dae-jjum') is under the ‘12KHz’ .
      Secend, Microphone placed three sides for recording - ① Soundbox located Bottom of Geomungo ② Upper board's frist Gwae ③ Using Suldae's Playing place 'Dae-mo'.
      In conclusion, Approach to Natural sound recording is rather using two parts-Upper board's frist gwae, and Using Suldae's Playing place 'Dae-mo' than 'Soundbox Which located Bottom of Geomungo'.
      At last, It depends on record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But when we have to Recording soundbox's sound, it's much better to use 'Dynamic Microphone'(Could be feel soft sound), not too much close to the microphone, distance from 15cm.
      Also, The whole string sound and Ambiance should be soundproof . - using 'Condencer Microphone' on Upper board's frist Gwae which carry out like Bridge. - Which is on Geomungo's 'Dae-Mo' Miking has to have Mixing process, so it could be more fully and natural sound.
      Also, All about the results enclosed herewith ‘Audio CD’.
      번역하기

      For an Analysis of String Instrument's Sound Transmit , searched un instrument's (Geomungo) material characteristic , found a difference between Type of Microphone(Type of convert system) and place of Miking. Also, searching for Geomungo's material ...

      For an Analysis of String Instrument's Sound Transmit , searched un instrument's (Geomungo) material characteristic , found a difference between Type of Microphone(Type of convert system) and place of Miking.
      Also, searching for Geomungo's material and sound characteristic, Referenced to original two parts of thesis 'Analysis of String instrument's sound wave and characteristic'- 2.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 / Analysis of String instrument(3)(A research communication laboratory New media affiliated with Seoul university, 01/ 01/ 2002) and 'Geomungo's sound characteristic' (Dept. of Electronic engineering Seoul University/ Du, seo-jin, Kim, seung-mo) for apply and analysis infer the whole out of a part.
      To put it in briefly,
      Frist, On average Frequency Range of Geomungo's sound is between '58.270Hz ~ 466.16Hz', from playing technical skill 'Dae-jjum''s sound(Hitting sound is coming out when it Plays Geomungo 'Dae-jjum') is under the ‘12KHz’ .
      Secend, Microphone placed three sides for recording - ① Soundbox located Bottom of Geomungo ② Upper board's frist Gwae ③ Using Suldae's Playing place 'Dae-mo'.
      In conclusion, Approach to Natural sound recording is rather using two parts-Upper board's frist gwae, and Using Suldae's Playing place 'Dae-mo' than 'Soundbox Which located Bottom of Geomungo'.
      At last, It depends on record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But when we have to Recording soundbox's sound, it's much better to use 'Dynamic Microphone'(Could be feel soft sound), not too much close to the microphone, distance from 15cm.
      Also, The whole string sound and Ambiance should be soundproof . - using 'Condencer Microphone' on Upper board's frist Gwae which carry out like Bridge. - Which is on Geomungo's 'Dae-Mo' Miking has to have Mixing process, so it could be more fully and natural sound.
      Also, All about the results enclosed herewith ‘Audio C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악기(絃樂器)의 소리전달 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악기(거문고)의
      재료(나무)의 특성과 거문고의 음향적 특성을 알아보고, 마이크의 종류
      (변환부의 종류)와 마이킹(Miking)위치에 따라서 거문고의 수음(受音)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고, 그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또한 거문고의 재료(나무)의 특성과 거문고의 음향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악기 울림통의 진동 및 음향특성에 대한 연구’중에서 2. 국악기 기초연구/ 현악기 연구(3)(서울대학교 부설 뉴미디어 통신공동연구소, 2002.01.01)와
      ‘거문고의 음향특성’(서울대학교 공과대학전자공학과 / 두서진, 김성모)에 대해 설명한 두 편의 논문을 참고하여 연구에 응용하고, 분석 및
      발전 시켜 결론을 유추해 내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문고의 발현 음(音) 주파수대역은 평균적으로,
      '58.270Hz ~ 466.16Hz' 사이이며, 연주 기술상의 특성인 ‘대점’에 의하여(정확하게는 대점 연주시 술대에 의한 거문고의 ‘대모 타격음’)거문고
      연주시 발생되는 주파수 대역은 ‘12KHz’ 이하라는 결론을 유추해 낼 수
      있었다.
      둘째로, 거문고의 소리 수음(受音)시 마이크의 위치를 ① 거문고의 하판에 위치한 울림통 ② 상판 1괘 위쪽 그리고, ③ 술대연주가 이루어지는
      '대모' 이렇게 3곳을 기준으로 녹음을 해보았고 그 결과,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거문고의 ‘하판에 위치한 울림통쪽’에서만의 수음하는 방법보다는
      최소한 두 군데 이상 즉 ‘상판 1괘 위쪽’이나 ‘대모’부분에서 같이 수음하는 것이 훨씬 거문고에 본래 소리에 가까운 소리를 수음해 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녹음하는 사람과 음악을 만드는 사람마다의 개인적 차이는 있겠으나, 울림통 쪽에서의 소리 수음은 ‘다이나믹 마이크’(소리의 수음이 따뜻하게 느껴질수 있는)를 쓰는 것이 좋고, 너무 울림통 쪽으로 마이크를 대는 것 보다는 ‘15Cm’ 이상 거리를 두는 것이 좋았다.
      또한 거문고에서 브릿지(Bridge)역활을 하는 ‘1괘’ 위쪽으로 ‘컨덴서 마이크’를 사용하여 전반적인 줄소리 와 주위음(Ambiance)를 잡아주는 것이 좋고, 거문고의 ‘대모’ 방향의 마이킹(Miking)은 약간의 믹싱(Mixing)작업을 통해 풍부하고 악기 본연의 소리에 충실할 수 있었다.
      또한, 위의 연구에서 얻게 된 결과물들은 ‘Audio CD’로 별첨 하였다.
      번역하기

      현악기(絃樂器)의 소리전달 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악기(거문고)의 재료(나무)의 특성과 거문고의 음향적 특성을 알아보고, 마이크의 종류 (변환부의 종류)와 마이킹(Miking)위치에 따라서 ...

      현악기(絃樂器)의 소리전달 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악기(거문고)의
      재료(나무)의 특성과 거문고의 음향적 특성을 알아보고, 마이크의 종류
      (변환부의 종류)와 마이킹(Miking)위치에 따라서 거문고의 수음(受音)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고, 그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또한 거문고의 재료(나무)의 특성과 거문고의 음향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악기 울림통의 진동 및 음향특성에 대한 연구’중에서 2. 국악기 기초연구/ 현악기 연구(3)(서울대학교 부설 뉴미디어 통신공동연구소, 2002.01.01)와
      ‘거문고의 음향특성’(서울대학교 공과대학전자공학과 / 두서진, 김성모)에 대해 설명한 두 편의 논문을 참고하여 연구에 응용하고, 분석 및
      발전 시켜 결론을 유추해 내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문고의 발현 음(音) 주파수대역은 평균적으로,
      '58.270Hz ~ 466.16Hz' 사이이며, 연주 기술상의 특성인 ‘대점’에 의하여(정확하게는 대점 연주시 술대에 의한 거문고의 ‘대모 타격음’)거문고
      연주시 발생되는 주파수 대역은 ‘12KHz’ 이하라는 결론을 유추해 낼 수
      있었다.
      둘째로, 거문고의 소리 수음(受音)시 마이크의 위치를 ① 거문고의 하판에 위치한 울림통 ② 상판 1괘 위쪽 그리고, ③ 술대연주가 이루어지는
      '대모' 이렇게 3곳을 기준으로 녹음을 해보았고 그 결과,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거문고의 ‘하판에 위치한 울림통쪽’에서만의 수음하는 방법보다는
      최소한 두 군데 이상 즉 ‘상판 1괘 위쪽’이나 ‘대모’부분에서 같이 수음하는 것이 훨씬 거문고에 본래 소리에 가까운 소리를 수음해 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녹음하는 사람과 음악을 만드는 사람마다의 개인적 차이는 있겠으나, 울림통 쪽에서의 소리 수음은 ‘다이나믹 마이크’(소리의 수음이 따뜻하게 느껴질수 있는)를 쓰는 것이 좋고, 너무 울림통 쪽으로 마이크를 대는 것 보다는 ‘15Cm’ 이상 거리를 두는 것이 좋았다.
      또한 거문고에서 브릿지(Bridge)역활을 하는 ‘1괘’ 위쪽으로 ‘컨덴서 마이크’를 사용하여 전반적인 줄소리 와 주위음(Ambiance)를 잡아주는 것이 좋고, 거문고의 ‘대모’ 방향의 마이킹(Miking)은 약간의 믹싱(Mixing)작업을 통해 풍부하고 악기 본연의 소리에 충실할 수 있었다.
      또한, 위의 연구에서 얻게 된 결과물들은 ‘Audio CD’로 별첨 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3
      • Ⅱ. 본 론 5
      • Ⅰ. 서 론 1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3
      • Ⅱ. 본 론 5
      • 1. 거문고의 악기특성 5
      • 2. 거문고의 음역과 주파수 특수성 14
      • 3. 소리(Sound) 18
      • 4. 마이크로폰(Microphone) 22
      • 1) 마이크로폰(Microphone) 22
      • 2) 마이크의 기술적 특성 26
      • 5. 환경 설정 31
      • 6. 현악기의 소리전달 방법 연구 35
      • 1) 울림통 밑에 1개의 다이나믹 마이크를 이용한 녹음.(MD-421) 35
      • 2) 울림통 밑에 1개의 컨덴서 마이크를 이용한 녹음.(U87Ai) 36
      • 3) 줄 위에 1개의 컨덴서 마이크를 이용한 녹음.(1) (C-414) 37
      • 4) 줄 위에 1개의 컨덴서 마이크를 이용한 녹음(2) (U87Ai) 38
      • 5) 울림통 밑에 1개의 다이나믹 마이크와 줄 위에 1개의 컨덴서 마이크를 이용한 녹음.(MD-421 / C-414) 39
      • 6) 울림통 밑에 1개의 컨덴서 마이크 와 줄 위에 1개의 컨덴서 마이크를 이용한 녹음.(U87Ai / C-414) 40
      • 7) 울림통 밑에 1개의 다이나믹 마이크와 줄 위에 1개의 컨덴서와 대모 쪽에 1개의 다이나믹 마이크를 이용한 녹음.(MD-421 / C-414 / MD-421) 41
      • 8) 울림통 밑에 1개의 다이나믹 마이크와 줄 위에 1개의 컨덴서 마이크와 대모 쪽에 1개의 컨덴서 마이크를 이용한 녹음.(MD-421 / C 414(U87) / MD-441) 43
      • 9) 울림통 밑에 1개의 컨덴서 마이크와 줄 위에 1개의 컨덴서 마이크와 대모 쪽에 1개의 다이나믹 마이크를 이용한 녹음.
      • (U87Ai / C-414 / MD-421) 45
      • 10) 울림통 밑에 1개의 컨덴서 마이크와 줄 위에 1개의 컨덴서 마이크와 대모 쪽에 1개의 컨덴서 마이크를 이용한 녹음.
      • (U87Ai / C-414 / MD-441) 46
      • Ⅲ. 결 론 48
      • 참고문헌 51
      • ABSTRACT 5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