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래 전망과 사회 갈등인식이 청년의 결혼 및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 사회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Future Prospects and Perception on Social Conflicts on Young Adults' Marriage Intention and Intention to Have Childre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Tru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488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청년의 결혼과 출산이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으며 다양한 정책이 만들어졌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했고 혼인율과 출산율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청년의 결혼 및 출산의향을 주거, 소득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과 관련지어 진행되어 왔다. 미래에 대한 전망, 갈등인식, 신뢰와 같은 청년의 주관적 인식이 청년의 결혼,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의 미래 전망과 청년이 인식한 사회갈등이 사회신뢰를 매개로 결혼 및 출산의향에 미치 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한 연구대상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에서 실시한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에 응답한 19-34세 미혼 청년 13,268명, 기 혼 청년 1,570명이다. 미래 전망, 갈등인식, 사회신뢰도, 그리고 결혼 및 출산 의향의 직접적, 간접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으며 매개 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법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미래 전망을 높게 인식 할수록 미혼 청년의 결혼의향이 높아졌고, 사회 갈등인식이 높을수록 결혼 의향이 낮 아졌다. 미래 전망과 갈등인식 두 독립변수 모두 사회신뢰도를 매개하여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혼 청년의 경우 자녀가 없는 무자녀 청년 그룹 에서 사회신뢰도는 매개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자녀가 있는 유자녀 청년 그룹 에서는 사회신뢰도가 미래 전망과 갈등인식을 매개하여 출산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년이 인식하는 사회 갈등의 완화와 자신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통해 사회 신뢰수준을 높이고 청년의 결혼과 출산의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청년의 결혼과 출산이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으며 다양한 정책이 만들어졌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했고 혼인율과 출산율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청년의 결혼 및 출산...

      청년의 결혼과 출산이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으며 다양한 정책이 만들어졌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했고 혼인율과 출산율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청년의 결혼 및 출산의향을 주거, 소득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과 관련지어 진행되어 왔다. 미래에 대한 전망, 갈등인식, 신뢰와 같은 청년의 주관적 인식이 청년의 결혼,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의 미래 전망과 청년이 인식한 사회갈등이 사회신뢰를 매개로 결혼 및 출산의향에 미치 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한 연구대상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에서 실시한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에 응답한 19-34세 미혼 청년 13,268명, 기 혼 청년 1,570명이다. 미래 전망, 갈등인식, 사회신뢰도, 그리고 결혼 및 출산 의향의 직접적, 간접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으며 매개 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법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미래 전망을 높게 인식 할수록 미혼 청년의 결혼의향이 높아졌고, 사회 갈등인식이 높을수록 결혼 의향이 낮 아졌다. 미래 전망과 갈등인식 두 독립변수 모두 사회신뢰도를 매개하여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혼 청년의 경우 자녀가 없는 무자녀 청년 그룹 에서 사회신뢰도는 매개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자녀가 있는 유자녀 청년 그룹 에서는 사회신뢰도가 미래 전망과 갈등인식을 매개하여 출산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년이 인식하는 사회 갈등의 완화와 자신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통해 사회 신뢰수준을 높이고 청년의 결혼과 출산의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rriage and childbearing among young people have received a lot of social attention. However, marriage and childbearing rates have been steadily declining. Previous studies have related young people's marriage and childbearing behavior to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housing and incom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youth's subjective perceptions such as future prospects, perception on social conflict, and trust on their intention to marry and have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youth's future prospects and perceived social conflict on their intention to marry and have children through social trust. The sample for the analysis is 13,268 unmarried young adults aged 19-34 and 1,570 married young adults who responded to the '2022 Youth Lif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Research.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o analyze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future prospects, perception on social conflict, social trust, and intention to marry and have children.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future prospects, higher the intention to marry among unmarried youth, an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ocial conflict, the lower the intention to marry. Both future prospects and perception on social conflict were found to influence marriage inten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social trust. Among married young adult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trust was not significant among childless young adults, but among married young adults with children, social trus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intention to have children through future prospects and perception on confli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discussion on how to increase the level of social trust and increase young people's intention to marry and have children through the alleviation of social conflicts perceived by young people and positive prospects for their future.
      번역하기

      Marriage and childbearing among young people have received a lot of social attention. However, marriage and childbearing rates have been steadily declining. Previous studies have related young people's marriage and childbearing behavior to socioeconom...

      Marriage and childbearing among young people have received a lot of social attention. However, marriage and childbearing rates have been steadily declining. Previous studies have related young people's marriage and childbearing behavior to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housing and incom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youth's subjective perceptions such as future prospects, perception on social conflict, and trust on their intention to marry and have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youth's future prospects and perceived social conflict on their intention to marry and have children through social trust. The sample for the analysis is 13,268 unmarried young adults aged 19-34 and 1,570 married young adults who responded to the '2022 Youth Lif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Research.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o analyze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future prospects, perception on social conflict, social trust, and intention to marry and have children.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future prospects, higher the intention to marry among unmarried youth, an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ocial conflict, the lower the intention to marry. Both future prospects and perception on social conflict were found to influence marriage inten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social trust. Among married young adult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trust was not significant among childless young adults, but among married young adults with children, social trus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intention to have children through future prospects and perception on confli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discussion on how to increase the level of social trust and increase young people's intention to marry and have children through the alleviation of social conflicts perceived by young people and positive prospects for their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1
      •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구성 3
      • 제2장 이론적 배경 5
      • 제1절 청년의 결혼과 출산 5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1
      •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구성 3
      • 제2장 이론적 배경 5
      • 제1절 청년의 결혼과 출산 5
      • 제2절 결혼 및 출산 의향 16
      • 제3절 미래전망과 갈등인식 27
      • 제4절 청년과 사회 신뢰 32
      • 제3장 연구방법 38
      • 제1절 분석자료 및 연구대상 38
      • 제2절 연구모형 및 가설 40
      • 1. 연구모형 40
      • 2. 연구가설 42
      • 제3절 변수의 측정 42
      • 1. 변수의 정의 42
      • 2. 자료분석방법 44
      • 제4장 연구결과 46
      • 제1절 기술통계 분석결과 46
      • 1. 일반적 특성 46
      • 2. 주요 변수들의 특성 및 정규성 검증 50
      • 3. 미혼 청년의 결혼의향 52
      • 4. 기혼 청년의 출산의향 54
      • 5. 상관관계 분석 55
      • 1) 미혼청년 대상 주요 변수간 상관관계 분석 55
      • 2) 기혼청년 대상 주요 변수간 상관관계 분석 57
      • 제2절 결혼의향에 대한 가설검증 57
      • 1. 미혼 청년의 미래 전망과 결혼의향 간 사회신뢰도의 매개효과 57
      • 2. 미혼 청년의 갈등인식과 결혼의향 간 사회신뢰도의 매개효과 60
      • 제3절 출산의향에 대한 가설검증 63
      • 1. 무자녀 기혼청년의 미래 전망과 출산의향 간 사회신뢰도의 매개효과 63
      • 2. 무자녀 기혼청년의 갈등인식과 출산의향 간 사회신뢰도의 매개효과 66
      • 3. 유자녀 기혼청년의 미래 전망과 출산의향 간 사회신뢰도의 매개효과 68
      • 4. 유자녀 기혼청년의 갈등인식과 출산의향 간 사회신뢰도의 매개효과 71
      • 제4절 가설검증 결과 74
      • 제5장 결론 77
      • 제1절 요약 및 논의 77
      • 제2절 사회복지적 함의 및 제언 79
      • 제3절 연구의 한계 81
      • 참고문헌 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