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의 영국경험론 수용과 그 평가 = Acceptance and Evaluation of British Empiricism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547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 far, the studies on the process of accepting Western Philosophy in Korea mainly have involved German philosophy and British-American Philosophy, and British Empiricism has been discussed as a trend of British-American Philosophy. The present articl...

      So far, the studies on the process of accepting Western Philosophy in Korea mainly have involved German philosophy and British-American Philosophy, and British Empiricism has been discussed as a trend of British-American Philosophy. The present article is the first piece that exclusively investigates the process of accepting British Empiricism in Korea. While existing studies are focused on F. Bacon, J. Locke, G. Berkeley, and D. Hume with the epistemological viewpoint, the current article further includes the research on the political thoughts of Hobbes as well as Locke’s perspectives on politics and education. Furthermore, this paper mentions philosophers as B. Mandeville, T. Reid, and A. Smith that previous studies have not examined. These attempts are based on the author’s opinion that British Empiricism researchers should extend their interests beyond major philosophers and epistemology. The current paper is based on the statistics of existing studies that are categorized as philosophers, subjects, and researchers. The article also includes the trend of translation and book review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British Empiricism in Korea and to seek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제까지 한국의 서양철학 수용 과정에 대한 연구는 주로 독일 철학과 영미철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영국 경험론은 영미 철학의 한 사조로 포함되어 고찰되었다. 이 글은 한국의 영국...

      이제까지 한국의 서양철학 수용 과정에 대한 연구는 주로 독일 철학과 영미철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영국 경험론은 영미 철학의 한 사조로 포함되어 고찰되었다. 이 글은 한국의 영국 경험론 수용 과정을 독자적으로 고찰한 최초의논문이다. 기존의 연구가 베이컨, 로크. 버클리, 흄을 중심으로 주로 인식론적관점에서 이루어졌던 반면에, 이 글에서는 홉스의 정치 사상, 로크의 정치 사상과 교육 사상에 관한 연구를 포함할 것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던 맨드빌, 리드, 스미스 같은 철학자들을 언급할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영국 경험론 연구자들의 관심을 주요 철학자와 인식론의 영역을 벗어나서 다양화해야 한다는 필자의 생각에 따른 것이다. 연구는 그 동안의 연구 성과물을 철학자별, 주제별, 연구자별로 분류한 통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번역과서평 문화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영국 경험론 연구의 현주소를 진단하고미래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설중, "흄의 회의주의와 퓌론주의" 한국철학회 (82) : 99-136, 2005

      2 탁석산, "흄의 초기 단편과"대화"에서의 악의 문제" 52 : 185-212, 1997

      3 최희봉, "흄의 철학과 근대 과학: 과학의 확장과 그 인식론적 기초" 범한철학회 34 (34): 125-150, 2004

      4 이재영, "흄의 종교론" 19 : 129-149, 1999

      5 최희봉, "흄의 자연주의 프로그램" 20 : 335-354, 1999

      6 박진숙, "흄의 자연주의 윤리론에 대한 고찰" 57 : 131-162, 1996

      7 박진숙, "흄의 자연주의 미론-‘인성론’과 ‘도덕원리탐구’에서의 미론을 중심으로" 62 : 195-212, 1997

      8 최희봉, "흄의 자연주의" 37 : 147-169, 1995

      9 안세권, "흄의 자아동일성 개념" 범한철학회 33 (33): 129-151, 2004

      10 이태하, "흄의 자살론" 철학연구회 (78) : 31-50, 2007

      1 황설중, "흄의 회의주의와 퓌론주의" 한국철학회 (82) : 99-136, 2005

      2 탁석산, "흄의 초기 단편과"대화"에서의 악의 문제" 52 : 185-212, 1997

      3 최희봉, "흄의 철학과 근대 과학: 과학의 확장과 그 인식론적 기초" 범한철학회 34 (34): 125-150, 2004

      4 이재영, "흄의 종교론" 19 : 129-149, 1999

      5 최희봉, "흄의 자연주의 프로그램" 20 : 335-354, 1999

      6 박진숙, "흄의 자연주의 윤리론에 대한 고찰" 57 : 131-162, 1996

      7 박진숙, "흄의 자연주의 미론-‘인성론’과 ‘도덕원리탐구’에서의 미론을 중심으로" 62 : 195-212, 1997

      8 최희봉, "흄의 자연주의" 37 : 147-169, 1995

      9 안세권, "흄의 자아동일성 개념" 범한철학회 33 (33): 129-151, 2004

      10 이태하, "흄의 자살론" 철학연구회 (78) : 31-50, 2007

      11 탁석산, "흄의 인과 : 자유와 필연" 67 : 103-122, 2001

      12 이태하, "흄의 인간학은 반역사적인가?: 철학과 역사의 상보성" 범한철학회 53 (53): 107-132, 2009

      13 탁석산, "흄의 두 원인 정의의 양립가능성과 완전성" 45 : 75-110, 1995

      14 양선숙, "흄의 까베아트" 89 : 267-293, 2004

      15 윤용택, "흄의 ‘인과 관계’ 분석에 대한 비판적 고찰" 41 : 37-65, 1994

      16 이태하, "흄은 영혼의 불멸을 부인하였는가?" 범한철학회 51 (51): 219-238, 2008

      17 양선숙, "흄은 실재론자였는가?" 철학연구회 (64) : 2004

      18 양선이, "흄에 있어서 정념과 자아" 55 : 109-138, 2001

      19 박찬구, "흄과 칸트에 있어서의 도덕감" 44 : 85-110, 1995

      20 이태하, "흄과 종교" 39 : 85-99, 1996

      21 최희봉, "흄과 의미 회의론" 48 : 95-115, 1996

      22 안형관, "흄ㆍ데이빗슨ㆍ화이트헤드 인과론에 관한 소고" 20 : 233-249, 2000

      23 김준연, "흄 철학의 현상학적 이해" 10 : 165-183, 1993

      24 김용환, "홉스의 힘의 정치철학: 폭력과 통제" 한국동서철학회 (29) : 113-138, 2003

      25 이준호, "홉스의 인간론에서 정념과 이성" 대한철학회 101 : 253-272, 2007

      26 한자경, "홉스의 인간 이해와 국가" 36 : 59-80, 1991

      27 김용환, "홉스의 서간문에 나타난 철학적 논쟁들 -홉스와 데카르트-" 철학연구회 (81) : 21-44, 2008

      28 박경자, "홉스의 무신론과 폼포나치의 자연주의" 새한철학회 3 (3): 135-156, 2007

      29 최준호, "홉스와 루소의 인간관 : 심신관계에 대한 가치론적 고찰" 대한철학회 98 : 321-348, 2006

      30 조희영, "현대 한국의 전기 철학사상 연구-일제하의 철학 사상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4 : 1-49, 1975

      31 정종, "한국철학계에 있어서의 미국철학의 수용과 영향"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0 : 1967

      32 조희영, "한국의 현대 사상에 미친 서양철학의 영향-한국에 있어서의 서양철학연구의 제경향(1931-1968)" 대한철학회 19 : 1974

      33 이광래, "한국의 서양사상 수용사" 열린책들 2003

      34 이좌용, "한국에서의 영미철학 수용의 특징과 과제, In 한국철학의 쟁점" 철학과 현실사 2000

      35 김재현, "한국에서 근대적 학문으로서 철학의 형성과 그 특징"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8 (18): 179-217, 2007

      36 조요한, "한국에 있어서의 서양철학 연구의 어제와 오늘" 숭실대학교 철학과 3 : 16-40, 1972

      37 조희영, "한국과 일본에 있어서의 서양철학의 수용형태에 관한 비교 연구" 전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7 : 169-195, 1977

      38 이재영, "토마스 리드의 추상관념 이론" 15 : 205-230, 1997

      39 이재영, "토마스 리드의 지각 이론" 24 : 291-311, 2001

      40 김영례, "칸트의 흄 인과율 비판에 관한 고찰" 6 : 143-172, 1991

      41 유철, "칸트의 버클리 비판" 57 : 185-206, 1996

      42 김재호, "칸트에 전해진 버클리의 유산" 철학연구회 (70) : 19-41, 2005

      43 이태하, "참된 종교와 미신에 대한 흄의 견해" 철학연구회 (67) : 73-91, 2004

      44 이태하, "종교에 대한 흄과 칸트의 견해: 상이한 중용 찾기" 대한철학회 115 : 281-305, 2010

      45 최유신, "존 로크의 종교적 관용론-보수주의적 관용에서 자유주의적 관용에로" 8 : 141-159, 2000

      46 박영식, "인문과학으로서 철학의 수용 및 그 전개과정(1900-1965)"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6 : 105-132, 1972

      47 박채옥, "인과성에 대한 흄과 칸트의 견해" 10 : 317-339, 1995

      48 안세권, "인격동일성과 실체-로크 이론에 대한 분석" 76 : 207-228, 2000

      49 강영안, "우리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궁리 2002

      50 윤사순, "우리사상 100년" 현암사 2001

      51 신오현, "영국경험론의 존재론적 근거" 18 : 17-37, 1982

      52 이재영, "영국경험론에서 수학의 필연성 문제" 12 : 289-318, 1996

      53 이성환, "영국경험론에 있어서 ‘경험’의 개념" 41 : 157-178, 1985

      54 이태하, "역사기술에 있어서 역사가의 도덕판단에 대한 흄의 입장" 범한철학회 59 (59): 129-154, 2010

      55 김위성, "서양철학의 파악과 연구에 있어서의 일본의 영향"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6 : 2000

      56 이기상, "서양철학의 수용과 한국철학의 모색" 지식산업사 2002

      57 진교훈, "서양철학의 수용과 전개, In 한국철학사(하)" 동명사 347-409, 1987

      58 조요한, "서양철학의 도입과 그 연구의 정착, In 서의필선생 회갑기념논문집" 439-457, 1988

      59 신귀현, "서양 철학의 전래와 수용, In 한국문화사상대계 2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0

      60 조희영, "서구 사조의 도입과 전개-철학 사조를 중심으로, In 한국사상사대계 6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77-198, 1993

      61 양선이, "새로운 흄 논쟁: 인과관계의 필연성 문제를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88) : 163-201, 2010

      62 이재영, "버클리의 추상관념 이론" 6 : 121-142, 1991

      63 이재영, "버클리의 시각 이론" 범한철학회 38 (38): 239-265, 2005

      64 문성화, "버클리와 헤겔에 있어서 인식론적 단초와 철학의 분과들" 새한철학회 3 (3): 95-114, 2007

      65 문성화, "버클리 인식론에서 감성적 관념과 정신" 대한철학회 105 : 215-242, 2008

      66 남경희, "리바이어던의 正名 : 홉스와 순자에서 국가권력과 언어 주체" 47 : 5-32, 2008

      67 김성우, "로크의 계몽적 이성주의의 종교적 콘텍스트에 대한 고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3 (13): 261-289, 2002

      68 김성우, "로크, 자유주의, 신자유주의" 12 (12): 301-325, 2001

      69 조병희, "로크 인식론의 토대로서 가쌍디의 감각론" 한국철학회 (88) : 121-142, 2006

      70 윤선구, "라이프니츠의 로크비판에 관한 연구: 본유관념의 존재 증명을 중심으로" 한국철학회 73 : 101-126, 2002

      71 전영갑, "도덕적 이상주의에 대한 흄의 논박" 44 : 243-266, 2008

      72 조인래, "뉴튼의 물질 개념과 방법적 도구론" 28 : 79-109, 1991

      73 이현복, "근대 철학에 있어 본유 원리에 대한 논쟁" 40 : 169-197, 1993

      74 정병훈, "고전적 경험론의 방법과 그 성과" 32 : 77-106, 1993

      75 최희봉, "감성과 취미에 관한 흄의 견해" 한국동서철학회 (42) : 205-225, 2006

      76 박승배, "The Influence of Science on Locke's Distinc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Qualities" 새한철학회 4 (4): 2002

      77 서정자, "Locke의 경험 개념에 대한 존재론적 접근" 20 : 133-149, 1983

      78 김용환, "John Locke의 인간론과 정치론에 대한 한 해석" 32 : 105-123, 1989

      79 김용환, "Hume철학에서의 독단주의와 회의주의" 50 : 65-92, 1997

      80 박진숙, "Hume의 ‘인식론적 자연주의’에 대한 고찰" 12 : 557-587, 1996

      81 김홍우, "David Hume on Moral and Social Life" 14 : 119-136, 1979

      82 김영례, "D. Hume의 인과론" 5 : 247-281, 1990

      83 배용준, "D. Hume의 미학에 관한 연구" 새한철학회 2 (2): 187-214, 2008

      84 이태하, "17~8세기 영국의 이신론과 자연종교" 철학연구회 63 : 89-114,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