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심리적 특권의식이 상대적 박탈감과 역할 내 행동, 동료에 대한 비인격적 행동 및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f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on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In-role Behavior, Co-worker Abuse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655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sychological entitlement is a relatively stable tendency toward highly inflated self-perceptions and a tendency to feel deserving of high levels of praise and rewards, regardless of actual performance levels.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entitlemen...

      Psychological entitlement is a relatively stable tendency toward highly inflated self-perceptions and a tendency to feel deserving of high levels of praise and rewards, regardless of actual performance levels.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has received growing attention for managers in many modern organization, but much of the existing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utside the workplace context, and there is little knowledge of the specific effects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in the workplace. This study investigates three behavioral outcomes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 in-role behavior, co-worker abuse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 and the mediating role of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o-worker exchange, reputation and employ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To tes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a survey of the 25 Korean firms was conducted. After excluding unanswered and untrusted answers, the final sample size for this study totaled 278 employe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s expected, psychological entitle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Second, psychological entitlemen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role behavior, co-worker abuse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Third, the test of mediating mechanism unveiled that psychological entitlement was found to negatively affect in-role behavior through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And,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co-worker abus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on unethical external pro-organization behavior was mediated by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but, unexpectedly, the mediating effect of 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unethical internal pro-organization behavior was not found. Fourth, psychological entitlement–feelings of relative deprivation relationship was moderated by co-worker exchange, reputation and employability, such that these relationship is weaker when employees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co-worker or high level of reputation and employability. Lastly, the indirect effects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on in-role behavior, co-worker abuse and unethical internal pro-organization behavior via relative deprivation were also moderated by co-worker exchange, reputation and employabiltiy.
      Generally, this study provide a meaningful step forward in psychological entitlement literature,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for the effect and underlying mechanism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심리적 특권의식은 실제 성과와 상관없이 높은 수준의 보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느끼는 자기 인식 경향을 의미한다. 최근 연구들에 의하면 심리적 특권의식을 가진 개인이 증가하고 있으...

      심리적 특권의식은 실제 성과와 상관없이 높은 수준의 보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느끼는 자기 인식 경향을 의미한다. 최근 연구들에 의하면 심리적 특권의식을 가진 개인이 증가하고 있으며, 심리적 특권의식이 조직 내 개인의 부정적인 정서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심리적 특권의식에 관한 실증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졌고, 대부분의 연구도 조직상황에서 수행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조직이 종업원의 심리적 특권의식이 직무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어떻게 유지 혹은 관리할 수 있는가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특권의식과 구성원의 역할 내 행동, 동료에 대한 비인격적 행동,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검증과 상대적 박탈감의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검증한다. 또한, 조직 내 동료간 교환관계와 개인의 평판, 고용가능성을 심리적 특권의식의 메커니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절변수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가설의 검증을 위해 국내 소재의 민간기업, 공기업, 공무원 조직 등 25개 조직에 속한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응답이 미비하거나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한 278부의 설문자료가 가설검증에 이용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해 SPSS를 사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추가 검증으로 Sobel Test와 부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특권의식은 상대적 박탈감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특권의식은 역할 내 행동, 동료에 대한 비인격적 행동,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설과는 달리 역할 내 행동과는 정(+)의 관계를 보여 심리적 특권의식의 일부 긍정적인 직접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상대적 박탈감은 심리적 특권의식과 역할 내 행동, 동료에 대한 비인격적 행동, 내부지향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과의 관계를 매개하지만, 심리적 특권의식과 외부지향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과의 관계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리적 특권의식은 상대적 박탈감을 통해 역할 내 행동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동료간 교환관계, 평판, 고용가능성은 심리적 특권의식과 상대적 박탈감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동료와의 좋은 관계, 높은 수준의 평판과 고용가능성은 심리적 특권의식이 상대적 박탈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에서 동료간 교환관계, 평판, 고용가능성은 심리적 특권의식이 상대적 박탈감을 통해 역할 내 행동, 동료에 대한 비인격적 행동, 내부지향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심리적 특권의식이 종업원의 직무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주는 작동 메커니즘 및 상황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보다 포괄적인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심리적 특권의식에 관한 연구의 이론적 확장과 함께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2
      • 3. 연구의 구성 4
      • 제 2 장. 심리적 특권의식의 개념 및 정의 5
      • 제 1 장.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2
      • 3. 연구의 구성 4
      • 제 2 장. 심리적 특권의식의 개념 및 정의 5
      • 1. 심리적 특권의식의 배경 및 정의 5
      • 2. 심리적 특권의식의 선행연구 10
      • 3. 선행연구의 한계점 및 본 연구의 목적 17
      • 제 3 장.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 18
      • 1. 연구 모형 18
      • 2. 연구 가설 18
      • 제 4 장. 연구 방법 35
      • 1. 연구대상 및 표본 35
      •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항목 37
      • 3. 분석방법 39
      • 제 5 장. 연구 결과 40
      • 1. 측정도구의 평가 40
      • 2. 가설 검증 47
      • 제 6 장. 결론 68
      • 1. 연구요약 68
      • 2.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71
      • 3. 한계점 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