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 어휘교육의 과제와 방향 = Some Tasks and Directions for Korean Lexical Educ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ome of the main tasks for Korean lexical education, and discuss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fu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oals, contents, methods and guidelines for assessment have not yet been prepared, though lexical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acquisition of lexical functions. Second, the main tasks of lexical education are as follows. (1) Its goals should be to promote use of accurate and rich vocabulary, widen world knowledge,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language culture by enlarging and refining lexical knowledge and lexical awareness. (2) The curriculum should specify the elements involved in achieving the above goals. (3) Its methodology should follow an inquiry-based learning model. (4) Appropriate assessment criteria should be developed, focusing on the extent to which the goals have been achieved, and this assessment should be closely related to the curriculum contents. Third, desirable directions for lexical education are as follows. (1) It should follow a human-centered approach and an integrative and encyclopedic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open-ended conceptualistic language view. (2) It should lead to inquiry-based learning, activating the learner's interest through precise observation, systematic analysis and description, and rational explanation. (3) It should enrich the learner's daily use of language by focusing on personal meaning. (4) It should inform the learner about the present state of Korean vocabulary and offer ways of mastering it, while motivating him or her to comprehend its properties and love its purified form.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ome of the main tasks for Korean lexical education, and discuss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fu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oals, contents, methods and guidelines for assessment have not yet be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ome of the main tasks for Korean lexical education, and discuss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fu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oals, contents, methods and guidelines for assessment have not yet been prepared, though lexical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acquisition of lexical functions. Second, the main tasks of lexical education are as follows. (1) Its goals should be to promote use of accurate and rich vocabulary, widen world knowledge,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language culture by enlarging and refining lexical knowledge and lexical awareness. (2) The curriculum should specify the elements involved in achieving the above goals. (3) Its methodology should follow an inquiry-based learning model. (4) Appropriate assessment criteria should be developed, focusing on the extent to which the goals have been achieved, and this assessment should be closely related to the curriculum contents. Third, desirable directions for lexical education are as follows. (1) It should follow a human-centered approach and an integrative and encyclopedic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open-ended conceptualistic language view. (2) It should lead to inquiry-based learning, activating the learner's interest through precise observation, systematic analysis and description, and rational explanation. (3) It should enrich the learner's daily use of language by focusing on personal meaning. (4) It should inform the learner about the present state of Korean vocabulary and offer ways of mastering it, while motivating him or her to comprehend its properties and love its purified for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정선, "중학생 어휘력 신장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 임지룡, "인지의미론" 탑출판사 1997

      3 임지룡,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한국문화사 2008

      4 임지룡, "의미교육의 학습 내용에 대하여: 제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3 : 87-116, 2006

      5 Miller, G.A., "언어의 과학" 민음사 1998

      6 김우창, "언어·사회·문체: 토착어를 중심으로 한 성찰" 동아일보사 26 : 262-271, 1983

      7 김광해, "언어 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 방법"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국어교육연구소 2 : 209-255, 1995

      8 김광해, "어휘력과 어휘력 평가"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5 : 1-29, 1997

      9 이영숙, "어휘력과 어휘 지도"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5 : 189-208, 1997

      10 임지룡, "어휘력 평가의 기본 개념" 국어교육학회 30 : 1-41, 1998

      1 임정선, "중학생 어휘력 신장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 임지룡, "인지의미론" 탑출판사 1997

      3 임지룡,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한국문화사 2008

      4 임지룡, "의미교육의 학습 내용에 대하여: 제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3 : 87-116, 2006

      5 Miller, G.A., "언어의 과학" 민음사 1998

      6 김우창, "언어·사회·문체: 토착어를 중심으로 한 성찰" 동아일보사 26 : 262-271, 1983

      7 김광해, "언어 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 방법"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국어교육연구소 2 : 209-255, 1995

      8 김광해, "어휘력과 어휘력 평가"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5 : 1-29, 1997

      9 이영숙, "어휘력과 어휘 지도"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5 : 189-208, 1997

      10 임지룡, "어휘력 평가의 기본 개념" 국어교육학회 30 : 1-41, 1998

      11 김형철, "어휘 교육의 방법"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7 (7): 155-172, 1997

      12 신명선, "어휘 교육의 목표로서의 어휘 능력(lexical competence)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26 (26): 263-296, 2004

      13 조안나, "어휘 교육 연구: 중학교 『생활 국어』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4 임지룡, "심리언어학: 머릿속 사전의 신비를 찾아서" 경북대학교출판부 1993

      15 채영희, "생태학적 언어관에 의한 국어 어휘 교육" 배달말학회 36 : 365-388, 2003

      16 閔賢植,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語法 및 語彙의 수준별 교육 방안 연구: 제7차 교육과정의 수준별 교육과정을 대비하여" 한국어교육학회 105 : 193-232, 2001

      17 임지룡, "문법 교육론" 역락 2010

      18 이정화, "말하기 전략 활성화를 위한 어휘 교육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9 김수업, "말꽃 타령" 지식산업사 2006

      20 임지룡, "국어의 기초어휘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회 23 : 87-131, 1991

      21 임지룡, "국어교육과 평가: 어휘력 평가 연구(연구보고서 98-4)"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국어교육연구소 1998

      22 손영애, "국어과 어휘 지도의 내용 및 방법" 한국어교육학회 103 : 53-78, 2000

      23 임지룡, "국어 지식 영역의 교재 구성 방안: 대단원 ‘우리말 사랑’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2 : 1-26, 2000

      24 윤현주, "국어 어휘 지도 방안 연구: 중학교 국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5 이충우, "국어 어휘 교육의 위상" 국어교육학회 13 : 467-490, 2001

      26 이문규, "국어 교육의 이념과 어휘 교육의 방향" 배달말학회 38 (38): 383-402, 2003

      27 임지룡, "20세기의 국어 어휘와 어휘연구" 국어국문학회 6 (6): 63-98,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6 1.50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