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정선, "중학생 어휘력 신장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 임지룡, "인지의미론" 탑출판사 1997
3 임지룡,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한국문화사 2008
4 임지룡, "의미교육의 학습 내용에 대하여: 제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3 : 87-116, 2006
5 Miller, G.A., "언어의 과학" 민음사 1998
6 김우창, "언어·사회·문체: 토착어를 중심으로 한 성찰" 동아일보사 26 : 262-271, 1983
7 김광해, "언어 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 방법"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국어교육연구소 2 : 209-255, 1995
8 김광해, "어휘력과 어휘력 평가"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5 : 1-29, 1997
9 이영숙, "어휘력과 어휘 지도"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5 : 189-208, 1997
10 임지룡, "어휘력 평가의 기본 개념" 국어교육학회 30 : 1-41, 1998
1 임정선, "중학생 어휘력 신장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 임지룡, "인지의미론" 탑출판사 1997
3 임지룡,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한국문화사 2008
4 임지룡, "의미교육의 학습 내용에 대하여: 제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3 : 87-116, 2006
5 Miller, G.A., "언어의 과학" 민음사 1998
6 김우창, "언어·사회·문체: 토착어를 중심으로 한 성찰" 동아일보사 26 : 262-271, 1983
7 김광해, "언어 지식 영역의 교수 학습 방법"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국어교육연구소 2 : 209-255, 1995
8 김광해, "어휘력과 어휘력 평가"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5 : 1-29, 1997
9 이영숙, "어휘력과 어휘 지도"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5 : 189-208, 1997
10 임지룡, "어휘력 평가의 기본 개념" 국어교육학회 30 : 1-41, 1998
11 김형철, "어휘 교육의 방법"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7 (7): 155-172, 1997
12 신명선, "어휘 교육의 목표로서의 어휘 능력(lexical competence)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26 (26): 263-296, 2004
13 조안나, "어휘 교육 연구: 중학교 『생활 국어』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4 임지룡, "심리언어학: 머릿속 사전의 신비를 찾아서" 경북대학교출판부 1993
15 채영희, "생태학적 언어관에 의한 국어 어휘 교육" 배달말학회 36 : 365-388, 2003
16 閔賢植,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語法 및 語彙의 수준별 교육 방안 연구: 제7차 교육과정의 수준별 교육과정을 대비하여" 한국어교육학회 105 : 193-232, 2001
17 임지룡, "문법 교육론" 역락 2010
18 이정화, "말하기 전략 활성화를 위한 어휘 교육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9 김수업, "말꽃 타령" 지식산업사 2006
20 임지룡, "국어의 기초어휘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회 23 : 87-131, 1991
21 임지룡, "국어교육과 평가: 어휘력 평가 연구(연구보고서 98-4)"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국어교육연구소 1998
22 손영애, "국어과 어휘 지도의 내용 및 방법" 한국어교육학회 103 : 53-78, 2000
23 임지룡, "국어 지식 영역의 교재 구성 방안: 대단원 ‘우리말 사랑’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2 : 1-26, 2000
24 윤현주, "국어 어휘 지도 방안 연구: 중학교 국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5 이충우, "국어 어휘 교육의 위상" 국어교육학회 13 : 467-490, 2001
26 이문규, "국어 교육의 이념과 어휘 교육의 방향" 배달말학회 38 (38): 383-402, 2003
27 임지룡, "20세기의 국어 어휘와 어휘연구" 국어국문학회 6 (6): 63-98,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