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동(永同) 지역의 복수지명 연구 = A Study on the Plural Placenames of Yeongdong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53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충청북도 영동군의 복수지명에 대하여 지역화자들의 조어 방식이라는 기준을 마련하여 그 유형을 분류하였고, 복수지명의 각 유형별 분포와 조어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본 연구는 충청북도 영동군의 복수지명에 대하여 지역화자들의 조어 방식이라는 기준을 마련하여 그 유형을 분류하였고, 복수지명의 각 유형별 분포와 조어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얻은 성과는 다음과 같다. 영동지명 자료 총 4,977개 중에 단수지명의 수는 3,152개로서 전체 지명의 63.3%이고, 복수지명은 1,825개로서 전체의 36.7%(1,825/4,977)에 이른다. 영동지역 단수지명의 지점 수는 3,152곳이고 복수지명의 지점 수는 714곳으로서, 영동지명 총 4,977개를 사용한 지점의 총수는 3,866곳이다. 46개의 전체 의미영역 중에 복수지명이 없는 의미영역은 15개(33.6%)이고, 복수지명을 가진 의미영역은 31개(67.4%)로서 의미영역 전체의 2/3에 해당한다. 의미영역 중 ‘마을’의 복수지명 수가 다른 것에 비해 월등히 많은 이유는 ‘마을’ 관련 지명들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빈도와 깊은 관련이 있을 것이다. 복수지명을 가진 지점 714곳에서 2개의 복수지명을 가진 지점이 448곳으로 거의 2/3 가량의 분포를 보였고, 복수지명의 보유 개수가 늘어날수록 지점의 수는 현저히 줄어들고 있으며, 7개와 9개의 복수지명을 가진 지점의 수는 2곳으로 같지만 복수지명 8개를 가진 지점은 없었다. 영동의 복수지명 총 1,825개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지역화자의 주체적 입장에서 그 유형을 8가지로 대분류하고, 이 유형을 관찰적 입장에서 조어 방식에 따라 16가지로 소분류하였는데, 기존 연구의 유형 분류에서 없던 ‘유래’, ‘축약’, ‘첨가’, ‘혼용’을 본 연구에 추가 도입하여 각각의 조어 방식에 따라 유형을 세분하였다. 복수지명에 사용된 지명접미사 ‘-이’와 각종 음운현상들은 한자지명들을 고유어화하는 데에 활발히 작용하였다. 영동지역 화자들은 ‘한자화>첨가>관련된 유래>유사한 발음>기본부 혼용>생략>고유어화>축약’의 순으로 복수지명을 양산하였는데, 특히 ‘한자화’는 보수지명 양산의 월등한 조어 방식으로서 ‘지명 전체 한자화’, ‘기본부 한자화’, ‘수식부 한자화’, ‘유사발음 한자화’ 등의 조어 방식을 사용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stablished a new criterion for classification of its types, targeting plural placenames in the Yeongdong region of Chungbuk. And it tried to clarify the distribution and naming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plural placename. The results ...

      This study established a new criterion for classification of its types, targeting plural placenames in the Yeongdong region of Chungbuk. And it tried to clarify the distribution and naming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plural placenam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Of the total 4,977 data on Yeongdong placenames, the number of singular placenames is 3,152, 63.3% (3152/4,977) of all placenames, and 1,825 plural placenames, 36.7% (1,825/4,977) of the total. The number of singular placenames in the Yeongdong region is 3,152 and the number of instruction target in pluralplaces is 714, and the total number of instruction target using a total of 4,977 in Yeongdong is 3,866. In the Yeongdong region, the number of instruction target with singular placenames is 3,152, the number of instruction target with plural placenames is 714, and the total number of instruction targets with Yeongdong placenames is 3,866. Among the 46 semantic domains, 15 (33.6%) semantic domains without plural placenames, and 31 (67.4%) semantic domains with plural placenames, which are 2/3 of the total semantic domains. Among the semantic domains, the reason why the number of plural placenames in village is far greater than that of other semantic domains is deeply related to the frequency of using the placenames related to village the most. From 714 targets with plural placenames, 2/3 of the total number of targets with plural placenames is 448, and the number of instruction targets decreases significantly as the number of plural placenames increases. The types of plural placenames in Yeongdong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8 typ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cal speaker, and these types were subdivided into 16 types according to the word formation. In addition, ‘origin’, ‘contraction’, ‘addition’, and ‘mixed use’, which were not found in the type classification of existing studies, were added to this study, and the types were subdivided according to each word formation. The placename suffix ‘-i’(-이) and various phonological phenomena actively worked to make plural placenames in Chinese characters into native language. Speakers in the Yeongdong region produced plural placenames in the quantitative order of “named in Chinese characters > addition > related to origin > similar pronunciation > mixed basics > abbreviation > named in native language > contraction”. In particular, ‘named in Chinese characters’ was an excellent word formation for production of plural placenam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2. 분포 3. 유형 분류 4. 유형 분석 5. 맺음말
      • 1. 머리말 2. 분포 3. 유형 분류 4. 유형 분석 5.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희제, "후부지명소의 분포를 통한 지명어의 지역적 특성 연구-충북 영동의 주요 후부지명소를 중심으로" 어문연구학회 58 : 77-113, 2008

      2 영동문화원, "향토지(지명편)" 1996

      3 김준영, "한국소지명 후부에 대한 어의상 고찰" (10) : 231-323, 1973

      4 성희제, "한국 지명의 구조와 형성" 한국지명학회 29 : 65-93, 2018

      5 성희제, "한국 지명의 구성과 용어 문제-충북 영동 지명을 중심으로" 한국지명학회 27 : 87-119, 2017

      6 성희제, "한국 내륙지명어와 해안지명어의 대비 연구 - 충북 영동과 충남 태안의 후부지명소를 중심으로 -" 한국지명학회 21 : 183-211, 2014

      7 성희제, "충청권 지명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지명학회 18 : 119-159, 2012

      8 전철웅, "청주시지명연구" 서원대호서문화연구회 59-78, 1997

      9 김형주, "지명형성에 나타난 형태소의 유형고-남해지방을 중심으로" 동아대국어국문학과 4 : 19-59, 1982

      10 성희제, "지명어의 구성" 한국지명학회 12 : 129-156, 2006

      1 성희제, "후부지명소의 분포를 통한 지명어의 지역적 특성 연구-충북 영동의 주요 후부지명소를 중심으로" 어문연구학회 58 : 77-113, 2008

      2 영동문화원, "향토지(지명편)" 1996

      3 김준영, "한국소지명 후부에 대한 어의상 고찰" (10) : 231-323, 1973

      4 성희제, "한국 지명의 구조와 형성" 한국지명학회 29 : 65-93, 2018

      5 성희제, "한국 지명의 구성과 용어 문제-충북 영동 지명을 중심으로" 한국지명학회 27 : 87-119, 2017

      6 성희제, "한국 내륙지명어와 해안지명어의 대비 연구 - 충북 영동과 충남 태안의 후부지명소를 중심으로 -" 한국지명학회 21 : 183-211, 2014

      7 성희제, "충청권 지명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지명학회 18 : 119-159, 2012

      8 전철웅, "청주시지명연구" 서원대호서문화연구회 59-78, 1997

      9 김형주, "지명형성에 나타난 형태소의 유형고-남해지방을 중심으로" 동아대국어국문학과 4 : 19-59, 1982

      10 성희제, "지명어의 구성" 한국지명학회 12 : 129-156, 2006

      11 김정태, "지명 형성의 한 유형에 대하여" 한국지명학회 26 : 33-62, 2017

      12 도수희, "지명 해석의 새로운 인식과 방법" 국립국어연구소 9 (9): 99-106, 1999

      13 이철수, "지명 언어학 연구서 설(Ⅰ)-지명 언어학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0 (10): 46-65, 1982

      14 김성렬, "중원지역지명어연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95 : 231-258, 1997

      15 심여택, "제주도 지명의 구성-중문면의 지명을 중심으로-" 제주대국어국문학회 7 : 52-63, 1975

      16 성희제, "전래지명어의 후부지명소 설정 문제에 대하여" 한국지명학회 16 : 245-266, 2010

      17 성희제, "전래지명어에 나타난 지명접미사 '-이'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회 (63) : 29-51, 2007

      18 이돈주, "전남지방의 지명에 관한 고찰" 국어국문학회 (29) : 101-128, 1965

      19 전광현, "영동ㆍ무주 접촉 지역어의 음운론적 고찰" 단국대동양학연구소 13 : 1-20, 1997

      20 조항범, "부여지방의 지명" 국립국어연구원 4 (4): 63-99, 1994

      21 김정태, "복수지명에 대하여" 한국어문학회 (125) : 27-47, 2014

      22 박병철, "복수지명어의 대응 양상 연구-제천지역 지명을 중심으로" 서원대호서문화연구소 9 : 1-35, 1996

      23 성희제, "무표지 후부지명소에 대하여" 어문연구학회 55 : 5-30, 2007

      24 성희제, "대전 서남부 지명어의 음운과 형태연구" 어문연구학회 52 : 2006

      25 강병륜, "고유지명어 연구" 박이정출판사 1997

      26 조항범, "地名의 同義 重複 현상에 대하여- ‘마을, 산, 고개, 들’ 이름을 중심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21 : 221-252, 2006

      27 도수희, "[단행본] 한국 지명 연구" 이회문화사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EOMUNYEONGU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3 0.7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